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금융지주회사 제도에 관한 고찰과 그 시사점 (A Study on the Financial Services Modernization Act of the U.S. and its Implications.)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0.05
45P 미리보기
미국 금융지주회사 제도에 관한 고찰과 그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은행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은행법연구 / 3권 / 1호 / 47 ~ 91페이지
    · 저자명 : 류혁선

    초록

    미국은 1999년 일명 그램-리치-블라일리 법(GLBA)이라고 하는 금융서비스현대화법을 제정하였다. GLBA는 종전에 은행과 증권회사간의 계열관계 형성 및 임직원의 상호겸직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던 글래스-스티걸 법(GSA) 제20조와 제32조를 폐지하여, 은행⋅증권회사⋅보험회사 및 기타 금융업을 영위하는 회사를 자회사로 모두 포괄하는 금융지주회사의 설립을 허용하고 있다.
    우량 은행지주회사들은 일정한 전환요건을 갖추어 FRB의 승인에 의해 금융지주회사로 전환함으로써, GLBA가 추가적으로 허용하고 있는 포괄적 금융업무를 영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FRB는 은행지주회사의 예금기관자회사 전부가 자기자본이 충실하고, 경영실태가 우량하며, 지역재투자법(CRA)에 의한 최근 조사에서 반드시 ‘satisfactory’ 이상의 등급을 받은 경우에만 금융지주회사로 전환을 허가하고 있다.
    GLBA는 금융지주회사를 도입하면서 기능별 규제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FRB를 금융지주회사의 포괄적 감독기관으로서 금융지주회사 전반에 대한 감독 권한을 행사하게 하는 반면, 자회사들의 업무행위에 따라 은행, 증권, 보험업에 대해서는 각각 통화감독청(OCC), 증권거래위원회(SEC) 및 주 보험국(state insurance authority) 등이 전문성에 기반을 두고 감독기능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미국의 금융지주회사는 그 자회사의 기능에 따라 기능별로 해당 감독기관의 규제를 받게 된다. 또한 미국 금융지주회사는 힘의 원천이론, 적기시정조치, 상호보증 등 통합규제의 법리 하에서 은행자회사의 부실에 대한 책임을 함께 부담하고 있다. 이러한 통합규제의 법리는 미국 연방법원에서 일관되게 지지되고 있으며, 제정법상으로도 여러 규정에서 구체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미국 금융지주회사에 적용되는 통합규제의 법리가 우리나라 법제에 도입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는 견해의 대립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힘의 원천이론 및 적기시정조치에 의한 통합규제 법리는 도입되어 있다고 보는 견해가 다수이다. 그리고, 우리나라도 최근 겸업화 및 대형화를 통한 금융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금융지주회사법에 대한 개정이 이루어졌고, 개정된 법에서는 금융지주회사를 은행지주회사와 비은행지주회사(보험지주회사, 금융투자지주회사)로 구분하고, 은행을 포함하고 있지 아니한 비은행지주회사의 경우에는 비금융자회사를 소유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는 등 유형에 따라 위험에 상응하는 차등 규제를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금융지주회사의 건전한 발전과 위험 전이를 적극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내부거래에 대한 포괄규정 및 자회사간 고객정보 공유에 대한 추가적 보완이 요구되고 있으며, 통합규제의 법리에 따라 금융지주회사에 자회사등의 경영건전성에 대한 책임을 부담시키기 위해서는 금융지주회사와 자회사등의 운영과 관리에 경제적 통합체로서의 실질을 인정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예컨대, 금융지주회사에 대한 연결납세제도의 확대 및 통합적 내부통제시스템 적용 등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 금융지주회사 제도가 합리적으로 정착되어, 금융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위험의 전이는 적극적으로 차단하되, 이해상충 및 금융기관의 경영건전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통합규제의 법리에 부합하는 통합관리 및 운영이 가능하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함께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Financial Services Modernization Act of 1999, also known as the Gramm-Leach-Bliley Act (hereinafter, GLBA), was enacted on November 12, 1999 in the United States.
    GLBA repealed restrictions on banks affiliating with securities firms which were contained in sections 20 and 32 of the Glass-Steagall Act of 1933. The Glass-Steagall Act prohibited any one institution from acting as any combination of an investment bank, a commercial bank, and an insurance company.
    The GLBA created a new “financial holding company” under section 4 of the Bank Holding Company Act, in which said holding companies can engage in a statutorily provided list of financial activities, including insurance activities, securities underwriting and agency activities, merchant banking, and insurance company portfolio investment activities. Additionally, activities that are deemed “complementary” to financial activities are also authorized.
    Any company which wants to engage in comprehensive financial activities as a financial holding company must get permission from The Federal Reserve. The Federal Reserve may not permit a company to form a financial holding company if any of its insured depository institution subsidiaries are not well capitalized and well managed, or did not receive at least a “satisfactory” rating in their most recent examination by Community Reinvestment Act of 1977.
    The GLBA introduced a functional regulation system by which the Federal Reserve plays an umbrella supervisor’s role and banking activity is regulated by the OCC, securities activity by the SEC, and insurance activity by a state insurance authority. However, the GLBA encourages coordination among the regulators and confidential sharing of information to improve both the efficiency and the quality of the supervision of financial holding companies and their affiliated depository institutions and companies engaged in insurance activities.
    In addition, the GLBA requires clear disclosure by all financial institutions of their privacy policy regarding the sharing of non-public personal information with both affiliates and third parties, and requires a notice to consumers and an opportunity to “opt-out” of sharing of non-public personal information with nonaffiliated third parties subject to certain limited exceptions.
    Furthermore, the Federal Reserve has employed the “Source of Strength Doctrine”, which has been accepted by the Courts, to impose fiscal liability onto holding companies when their financial subsidiaries fail by the Code of Federal Regulation. This doctrine has also been employed by the GLBA. In addition, the U.S. Courts have employed the “Prompt Corrective Action” and the “Cross-Guaranteed Provision” in combination to regulate a holding company and its subsidiaries.
    Recently, Korea amended its financial holding company act in 2009 to allow a company which does not contain a bank to be considered as a non-financial holding company. Non-financial holding companies are regulated less stringently than bank holding companies. They are able to own a non-financial company as a subsidiary. Amended the financial holding company act is reasonable because non-financial holding companies have a different risk structure compared to banks.
    However, the Act needs to be supplemented by making the source of strength doctrine obvious and employing the cross-guaranteed provision to regulate financial holding companies and their subsidiaries effectively. Moreover, in tandem with an integrated regulation system, a financial holding company should also be allowed to be managed as an integrated unitary entity, which would include an expansion of “consolidated tax retur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