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유학에서 “직(直)”의 전승관계 및 문제점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nd Problems of Transmission of thought of Jhi(直) in Confucianism of the Joseon Dynast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1.11
38P 미리보기
조선유학에서 “직(直)”의 전승관계 및 문제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57권 / 1 ~ 38페이지
    · 저자명 : 김창경

    초록

    유가(儒家)의 『주역』에서는 기품물욕(氣稟物欲)에 따른 인간의 사사로운 마음에 대해, 경이직내를 통한 존심양성의 수양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요⸱순의 삼대(三代)시대 백성들은 직도(直道)를 행하였다고 전하고 있고, 공자는 인간의 삶은 직(直)이라 하였으며, 맹자는 호연지기를 직으로 기른다하였고, 정명도는 직상직하(直上直下)의 정정당당함이라 하였다. 주희는 직이 유교학문의 요결이라 하고, 천지가 만물을 생(生)하고 성인이 만사에 응하는 이치로써, 성인이 상전한 심법(心法)도 또한 직(直) 한 글자라고 유언으로 남겼다.
    이러한 직설(直說)에 대하여 조선유학에서는 처음으로 송익필이 필두가 되어 제자인 김장생에게 「김은자직백설(金檃字直伯說)」을 통해 직도를 전승하고 있다. 이로부터 이름과 호, 자, 서재명 등에 직을 넣은 글을 통해, 김장생과 송시열, 권상하 등으로부터 한국 근현대 유학자들에게까지 학문적 수수(授受) 형식을 지닌 채 전승되어 내려오고 있다. 이와 같이 요⸱순과 공⸱맹⸱정⸱주로부터 근현대 한국유학자들까지 근 4,500여 년 동안 전승되어 내려오는 직도의 계승은, 전통적인 유교학문뿐만 아니라 한국유학사상적 업적으로서도 크나큰 의의를 지니기에, 학문적 전승형식으로서의 정당성을 지닌다고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유학사에서의 직사상 정립에 대한 연구를 궁극적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조선유학에서 직의 전승관계를 고찰하고 분석하여 도표로 정리해서, 직을 통한 심법(心法) 서통(緖統)의 계승과, 그 정통성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호유학과 영남유학에서의 직설전승에 관한 입장과, 그에 따른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유교학문의 요결이며 심법인 정직(正直)이, 현대 한국인문정신문화의 정수(精髓)가 되는 현대적 의의를 살피고, 한국 인성(도덕윤리)교육에서의 필요성과 활용성을 제고하여, 그 학문적 효과를 기대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I Ching (Book of Changes) of Confucianism presents the private human mind followed by QiPinWuYu (氣稟物欲) as a theory of cultivation where one preserves mind and develops personality by respecting the inner side of the mind through Jhi (directness, 直). In this regard, it is said that the people of the three generations of Yao and Shun emperors had practiced the logic of Jhi. Confucius said that humans live by Jhi and Mencius said that Jhi develops a great spirit. Jeong Myung-do regarded Jhi as the fairness of straight mind. Zhu Xi viewed that the thought of Jhi was the essence of Confucian studies, and the reason by which heaven and earth produced everything and scholars responded to all the things. Also, he left the will where Jhi was the only word concerning the law of mind.
    In regard of this Jhi theory, Gubong Song Ik-pil who became the head of 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for the first time handed down it to his disciple, Kim Jang-saeng through KimEunJaJikBaekSeol. This thought has been inherited in the form of the scholastic exchange from Kim Jang-saeng, Song Si-yeol and Kwon Sang-ha, etc. to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Confucians by adding letter “Jhi” to names, pen names and the names of studies.
    The thought of Jhi, which has been passed on from Yoa and Shun emperors, Confucius, Mencius, Zhu Xi to contemporary Korean Confucian scholars for nearly 4,500 years, can be evaluated as an academic form of transmission as it has a great significance not only in traditional Confucianism but also in the ideological achievement of Korean Confucianism.
    This study ultimately aim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thought of Jhi i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Regarding this purpose, I intend to present views on the succession of the law of mind and its legitimacy through Jhi by considering and analyzing the transmitting relationship of this thought in the Joseon Dynasty, and organizing it into a chart.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amine the situation of transmission of Jhi thought both in Giho and Youngnam Confucian scholars and its resulting problems.
    Finally, I intend to look into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in which the honest mind that is both the summary of Confucian studies and the law of mind becomes the essence of modern Korean culture of humanistic spirit. Additionally, I look forward to its academic influence by reconsidering the necessity and utilization of Korean personality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