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럽에서의 환경단체소송의 변화와 시사점 (Entwicklungen der Umweltverbandsklagen in Europ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2.04
28P 미리보기
유럽에서의 환경단체소송의 변화와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환경법연구 / 34권 / 1호 / 461 ~ 488페이지
    · 저자명 : 송동수

    초록

    우리나라의 행정소송은 개인적 권리구제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주관적 소송에 그 중심이 모아져 있고, 객관적 소송은 법률상의 예외규정을 제외하고는 거의 불가능한 상태이다. 이른바 행정소송법 제12조의 “법률상 이익이 있는 자”라는 원고적격의 엄격한 제한으로 인해 제소권은 행정소송의 제기를 통하여 해결할 만한 직접적 이익을 가진 자에 한하여만 인정되고 있다. 이처럼 오로지 자신의 권익이 침해된 경우에만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기 때문에 행정법규의 적정한 적용을 보장하고 일반 공공의 이익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객관적 행정소송(공익소송)은 처음부터 불가능하게 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특히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행정청이 아무리 위법한 행정작용을 하여도 그로 인해 권익이 침해당한 당사자가 아닌 한 시민단체나 환경단체는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유럽연합의 경우 국제협약인 오루스협약의 영향으로 인하여 환경단체에 대하여 광범위한 원고적격을 인정하는 유럽지침을 제정하였다. 즉 환경영향평가지침과 주민참여지침은 각 나라의 행정소송의 구조가 개인적 권리구제에 치중되어 있든 그렇지 않든 관계없이 제3자적 위치에 있는 환경단체에게 광범위한 원고적격을 인정하여 개발사업으로 인한 환경침해의 통제기능을 담당하게끔 하고 있다.
    이러한 유럽연합의 영향으로 인하여 전통적으로 우리의 행정소송체계와 유사한 독일의 경우도 기존의 주관적 권리구제의 틀에서 벗어나 환경단체에게 특정한 사안에 대하여 원고적격을 인정하는 환경구제법을 2006년 제정하였다. 하지만 환경구제법 제2조는 환경단체의 원고적격을 인정하면서도 권리구제의 범위에 있어 개인적 주관적 권리침해규정을 혼용함으로써 유럽지침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아왔으며, 급기야 2011년 5월 유럽재판소의 Trianel 판결에 의해 무효임이 확정되었다. 그 결과 독일의 환경단체는 이제 환경구제법의 개정이 이루어지기까지 유럽지침에 근거하여 직접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환경단체소송의 시대적 흐름이 대세임을 알 수 있으며, 우리의 경우도 행정소송법의 개정이나 특별법의 제정을 통해 환경단체소송의 도입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Ich beschäftige sich in meinem Beitrag mit den europäischen Umweltverbandsklagen. Der Beitrag befasst sich mit den Neuerungen und Änderungen im geltenden Recht, die durch europäischen Richtlinien entstanden sind. In ihrer Einführung stelle ich zunächst die internationalen und europäischen Rechtsgrundlagen dar, die die Beteiligung der Öffentlichkeit bei der Ausarbeitung bestimmter umweltbezogener Pläne und Programme verbessern und ausbauen sollen. Im Anschluss daran stelle ich die Regelungen im deutschen Umwelt-Rechtsbehelfsgesetz detailliert dar.
    Grundsätzlich liegt dem deutschen Verwaltungsprozessrecht das System des Individualrechtsschutzes zugrunde. Nach § 42 Abs. 2 VwGO ist nur derjenige klagebefugt, der geltend macht, durch den Verwaltungsakt in eigenen Rechten (subjektiv-öffentliches Recht) verletzt zu sein. Ein Umweltschutzverband kann daher nicht ohne weiteres gegen größere Projekte vorgehen, die in die Umwelt eingreifen. Wenn Umweltverbände etwa gegen einen Autobahnbau vorgehen wollten, konnten sie nur klagen, wenn sie selbst Grundstücke im Bereich der Baumaßnahme hatten, die dadurch beeinträchtigt wurden.
    Mit dem Ende 2006 in Kraft getretenen Umwelt-Rechtsbehelfsgesetz wurde die Position der Umweltverbände entscheidend gestärkt. Sie haben nun auch die Möglichkeit, gegen bestimmte umweltrechtliche Zulassungsentscheidungen für Industrieanlagen und Infrastruktur- maßnahmen gerichtlich vorzugehen. Der EuGH urteilte am 12. Mai 2011 im „Trianel-Verfahren“, dass eine die Klagerechte von Umwelt- vereinigungen einschränkende Regelung in § 2 Umwelt-Rechts- behelfsgesetz gegen EU-Recht verstößt. Die Bundesrepublik Deutschland muss nun die Klagerechte von Umweltvereinigungen erweitern. Bis zum Inkrafttreten einer Gesetzesänderung können sich anerkannte Umweltvereinigungen zur Begründung ihrer Klagerechte unmittelbar auf das EU-Recht beruf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환경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