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조발생 담론의 전개양상과 지향점 (Direction and Development Aspect of Discoures about Evolution fo Sijo)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07.07
26P 미리보기
시조발생 담론의 전개양상과 지향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조학회
    · 수록지 정보 : 시조학논총 / 27호 / 237 ~ 262페이지
    · 저자명 : 조규익

    초록

    시조 연구가 시작된 이래 발생론은 그 핵심에 놓여 있었다. 시조가 역사적 형태문학이라는 점에서 발생론은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인식되어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간의 연구는 오류의 역사라 할 만큼 많은 문제를 노출시켰다. 첫 단계 발생론의 핵심적 포인트는 ‘시조가 노래’라는 인식이었다. 노래의 근원을 따라 올라가다 보면 아주 이른 시기의 어느 시점, 예컨대 삼국시대쯤에 시조의 원형태가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은 시조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전제 혹은 추정이다. 그러나 이병기가 첫 단계의 후반에 ‘시조의 이세춘 창안설’을 들고 나오면서 첫 단계의 전반에 제시된 합리적 논거는 허물어지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향후 시조 발생담론의 춘추전국시대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런 경향을 계승한 둘째 단계의 발생담론은 형태적인 면에서나 시기적인 면에서 다양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긍정적인 면에서 둘째 단계의 발생담론은 ‘견해나 주장의 다양성’으로 요약될 수 있으나, 사실 풍성한 논의들에 비해 정곡을 짚은 논의의 맥이 빠져있다. 이 현상은 첫 단계의 담론이 비판적으로 수용되지 못한 때문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런 논리적 한계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나온 것이 셋째 단계의 발생담론이다. 첫 단계 논자들의 대전제를 수용했건 그렇지 않았건, 셋째 단계의 논자들은 ‘시조는 노래’라는 인식을 논리의 출발로 삼았다. 말하자면 ‘문학이면서 음악’인 시조의 본질을 셋째 단계의 논자들은 인식하게 되었고, 우리 음악의 통시적 맥락을 전제로 시조의 발생이나 전개를 논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셋째 단계에 들어와 성취한 논의의 수준은 기왕에 이루어온 논의들과는 차원을 달리할 만큼 신선하다. 이제 막 시작된 시조발생담론의 셋째 단계가 보다 발전적이려면 문학과 음악이 ‘하나이면서 둘이고 둘이면서 하나’라는 융합과 상승의 작용을 거쳐 합리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과거에 만들어낸 발생론들을 필자가 담론의 차원에서 종합하고 비판하고자 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영어초록

    The evolution of Sijo is a core of study of Sijo. Because discourse about evolution of Sijo has been recognized as a first problem to solve, in the viewpoint that Sijo is a historical literary form. However, study of Sijo all the while enclosed so many problems that we say history of Sijo study as history of mistakes. The most important point of evolution theory of Sijo in the first step was a recognition that Sijo is a genre of song . An idea that we can find out an archetype of Sijo somewhere in Three Kingdom's Era, when we quest for the source of song is a presupposition or assumption to understand substance of Sijo. However, by Lee, Byeong-Ki's opinion that Lee, Se-Chun made Sijo in the latter half of the first step, the rational ground of the argument about evolution of Sijo was broken, as a necessary consequence it brought about a confusion of evolution of Sijo. The second step evolution discourse of Sijo evolution taken over first step's tendency showed diverse aspects in formal and timing respects. In positive respect, the second step evolution discourse can be summarized as 'diversity of opinions'. However, there is no appropriate substance comparing to flourished discussion. The reason is in that they didn't succeed to receive the first step evolution discourse critically. On the foundation of recognition about limit like this, third step evolution discourse came into being. Whether they accepted first step researchers' presupposition or not, the third step researchers took the recognition 'Sijo is song' as starting point of their logic. As it were, they became to recognize Sijo's substance 'song and literature', and could discuss the evolution and development of Sijo in presupposition of context of music history. The level accomplished in the third step is so fresh comparing to former steps' discussion. We have to make progress towards security about rationality through the process of synthesis and rise 'one is two, two is one'. It is the reason that I want criticize and synthesize the former evolution theories of Sijo in the level of dis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조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