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해시절 김광주의 중국영화평론에 대한 연구-1930년대『晨報·每日電影』의 영화평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riticism of Chinese Films by Kim Kwang-ju in Shanghai-Focusing on the movie reviews of Morning Post·Movie Daily in the 1930s)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3.06
46P 미리보기
상해시절 김광주의 중국영화평론에 대한 연구-1930년대『晨報·每日電影』의 영화평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학 / 160호 / 223 ~ 268페이지
    · 저자명 : 金哲, 장혜문, 김교령

    초록

    1933년 10월 두 번째로 상해에 입성한 작가 김광주는 1934년 6월부터 1936년 1월까지 약 1년 7개월간 상해 신문매체인 『晨報』부간 「每日電影」의 전속 기고인으로 있으면서 중국어로 문학평론과 영화평론들을 다수 발표하여 중국문예비평사에 나름으로 자신의 족적을 남겨놓았다. 그 중에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것은 김광주가 1930년대 중반을 전후하여 상해 『晨報·每日電影』에 발표한 중국영화 관련 평론문장들이다.
    본 논문은 김광주의 영화 관련 평론들을 크게 중국영화작품에 대한 평론과 평론계 비평 상황에 대한 평론으로 나누어 고찰하면서 그 평론들의 특징을 밝혀내고 나름의 의의를 부여하고자 했다. 일단 논의전개를 위해 김광주가 상해 『晨報·每日電影』과 인연을 맺게 된 전후 상황을 간략하게 살펴본 후 그의 구체적인 영화평론들을 살펴보았다. 우선 중국영화작품에 대한 평론을 보면 주로 30년대 전반기 중국영화작품의 주제나 주인공 형상, 그리고 배우들의 연기나 촬영 기법, 영화 편집 등을 논의하면서 거기에 존재하는 문제들을 비교적 객관적이고도 깊이 있게 자세히 지적하고 있다. 다음, 중국영화평론계의 평론에 대한 비평들은 당시 평론계에 존재했던 상업화, 도식화, 저속화 및 권위성 상실 문제들, 그리고 평론가의 자질 문제와 비평 태도 등을 이방인의 시각으로 매우 예리하게 지적하였다. 그러면서 동시에 개선 방향까지 보여주고 있어 주목된다.
    총괄적으로 김광주의 중국영화작품에 대한 평론과 중국영화평론계 실상에 대한 평론은 모두 영화의 본질, 즉 영화는 어디까지 예술이고 사회와 현실 생활의 반영이라는 기본원칙을 지키고 있으며 평론태도가 매우 진지하고 객관적이다. 그의 영화 관련 평론은 동시대 중국인 평론가들과 비슷한 면이 있으면서도 또 자가 나름의 특징이 있는바, 우리는 그러한 영화예술에 대한 주장과 평론자세를 통해 그의 문예의식을 보다 심도 있게 들여다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0세기 30년대 전반기 중국영화평론과 영화비평계의 실상을 보다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시각을 획득하게 된다.

    영어초록

    Writer Kim Kwang-ju, who entered Shanghai for the second time in October 1933, worked as an exclusive contributor to Movie Daily, a supplement of Shanghai newspaper Morning Post, for about 1 year and 7 months from June 1934 to January 1936, and published many literary and film reviews in Chinese, leaving his own footprints in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ry criticism. Among them, this thesis focuses on the critical articles about Chinese movies published in Shanghai's Morning Post·Movie Daily around the mid-1930s.
    This thesis divides these comments into two categories: the comments on Chinese films and the comments on the critical situation in the critical circles, trying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omments and give them their own meanings. This paper briefly reviews the background of Kim Kwang-ju's connection with Shanghai's Morning Post·Movie Daily, and then looks at his film reviews. Firstly, his comments on Chinese film works mainly pays attention to and discusses the themes, protagonists' images, actors' performances, shooting techniques and so on in the first half of 1930s, and points out the existing problems objectively and deeply. Secondly, from the perspective of diaspora, his comments on Chinese film critics pointed out sharply the problems of commercialization, stereotype, vulgarization and loss of authority in critics at that time, as well as the deficiencies in actors' performances and film editing. At the same time, it also puts forward the improvement direction, which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In general, Kim Kwang-ju's comments on Chinese film works and the reality of Chinese film critics always adhere to the artistic of film and the basic principles of film reflecting society and real life. Under this principle, Kim Kwang-ju commented on the creation and theme of the relevant films, the shooting techniques, the actors' performances, the film editing and even the criticism attitudes of the comments, etc. Kim Kwang-ju's film reviews are similar to those of contemporary Chinese critics, and have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Through Kim Kwang-ju's opinion and critical attitude on film art, we can not only reveal his literary and artistic consciousness more deeply, but also get a more objective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Chinese films and the real situation of Chinese film criticism circle in the first half of 193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