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3·1운동 100주년 기념 기획논문> 같은 사건, 다른 노래: 3·1절의 기념과 추모 (The Same Event, Other Songs: Commemoration and Remembrance of Samiljeol, Independence Movement Day)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9.03
40P 미리보기
&lt;3·1운동 100주년 기념 기획논문&gt; 같은 사건, 다른 노래: 3·1절의 기념과 추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이화음악논집 / 23권 / 1호 / 7 ~ 46페이지
    · 저자명 : 장유정, 신혜승

    초록

    본고는 광복을 기점으로 그 전과 후에 나온 3·1절 기념 노래들이 어떻게 같고 다른 지를 살펴본 것이다. 광복 이전에 나온 3·1절 기념 노래 네 곡과 광복 이후에 나온 3·1절 기념 노래 네 곡을 합쳐서 총 8곡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각 노래의 문학적 분석과 음악적 분석을 시도하여 종합적으로 그 의의를 살펴보고, 광복 이전 노래와 광복 이후 노래의 차이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항일음악 330곡집』에서 가져온 광복 이전에 나온 3·1절 기념 노래 네 곡은 《3·1절가》, 《3·1 소년가》, 《3·1 기념가 1》, 《3·1 기념가 2》이다. 이 노래들은 대체로 다짐과 선동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아직 해방 이전이기 때문에 노래를 통한 정신 무장, 각오, 선동이 필요했고 노래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노랫말에서는 ‘자기충족적 예언’을 통해 독립을 염원했다. 새로운 선율을 작곡하여 노래하기도 했지만, 비교적 좁은 음역 안에서 움직이는 반복이 많은 친숙한 찬송가라는 기존 선율을 사용함으로써 쉽게 부르고 기억할 수 있었다.
    광복 이후에 나온 3·1절 기념 노래는 『대동신문』과 『연합신문』에서 찾은 《삼일절 기념가》와 《삼일 위령가》, 『삼일만세』라는 소책자에 실려 있던 《선열추모가》와 《33인의 노래》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광복 이후에 나온 3·1절 기념 노래들은 주로 기념과 추모에 초점을 맞춘 가사로 이루어졌다. 특히 후대에 나온 노래일수록 추모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났다. 선법의 사용, 변박, 다채로운 화성, 당김음, 비화성음의 세심한 처리, 반음계적 진행, 7화음의 잦은 사용, 그리고 세심한 음악적 표현 등을 통해 위령가, 추모가, 송가로서의 의미를 성취하고 있다.
    1919년 3월 1일이라는 역사적 순간은 국내는 물론 해외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노래로 불리며 기억되고 기념되어 왔다. 3·1운동 관련 노래들은 그 시대를 사는 사람들의 생각과 삶을 엿볼 수 있는 복합적 사회문화 현상으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3·1운동 백주년을 맞이한 현재, 본고에서 소개하고 정리하고 분석한 이러한 3·1절 관련 노래들을 통해 3·1절을 다시 기념하고 그 정신을 계승할 수 있기를 소망한다.

    영어초록

    The study looked at how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Day songs were alike and different. The four songs before Korea’s liberation from Japan’s colonial rule and the four songs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s colonial rule were analyzed. This paper looked at the significance of each song in a comprehensive way by trying to analyze each song’s literary and musical analysis. Through this, this paper tried to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songs before and after Korea’s liberation.
    The four songs before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are Samiljeolga, Samil Sonyeonga, 3·1 Memorial Day Song 1, and 3·1 Memorial Day Song 2. These songs generally had the meaning of determination and agitation. Since it was still before liberation, people needed to be mentally armed, determined and motivated through singing. In the words of the song, they aspired to have independence through their ‘self-fulfilling prophecy.’ Even though they wrote a new melody and sang it, the familiar hymn, which was relatively repetitive, could be easily sung and remembered by using existing melodies.
    The four songs of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s colonial rule were Samiljeol Memorial Song, Samil Requiem Song, Seonyeol Chumoga, and Song of the 33 People.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Day songs, which appeared after Korea’s liberation, were composed mainly of lyrics focused on commemoration and remembrance. Songs are musically characterized by the use of mood, irregular time, various chords, syncopation, chromatic progression, and the frequent use of the seventh chord.
    The historical moment of March 1, 1919 has been remembered and celebrated through a variety of songs not only at home but also in many parts of the world. The songs were made to celebrate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but the songs before and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showed different aspects. Songs related to the March 1st Movement are meaningful as complex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which gives a glimpse into the thoughts and lives of the period. Through these March 1 songs, which are introduced, arranged, and analyzed in this paper, we hope to re-enact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Day and inherit its spir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화음악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