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교가 한국인의 수행문화에 미친 영향 ― 불교 절수행의 전개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Buddhism To The Practice Culture of Korea -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Bow Practice of Buddhism in Korea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6.12
33P 미리보기
불교가 한국인의 수행문화에 미친 영향 ― 불교 절수행의 전개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사연구 / 10호 / 110 ~ 142페이지
    · 저자명 : 심준보

    초록

    본고는 불교가 한국인의 수행문화에 끼친 영향을 절수행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본고는 먼저 수행을 갸냐의 길과 요가의 길로 나누고, 큰 의미의 수행을 양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고, 좁은 의미에서는 요가의 길만을 수행이라고 정의하였다. 수행문화란 수행과 관련되어 인간이 인위적으로 만든 모든 것이라고 규정하였다.
    오늘 날과 같은 108배, 1000배, 3000배 형식의 절의 기원을 알 수는 없지만 절수행은 참법수행의 부속적인 수행으로서, 또 과거 7불, 53불신앙 같은 다불신앙과 더불어 신라의 불교 유입 초기부터 행해졌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참법은 신라, 고려중기까지는 주로 『점찰선악업보경』의 참법이 이루어 졌고, 고려 중기 이후는 『자비도량참법』의 참법이 유행하였다. 고려 중기의 료세는 매일 일과로 53불에게 12번의 절을 했다고 한다.
    조선시대는 배불 정책으로 인하여 불교가 부녀자 중심의 기복불교가 되었기 때문에 오히려 절수행이 발전되었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
    현대의 절수행은 청담과 성철에 의해 기복불교를 벗어나고 108배, 3000배의 형태로 불자를 중심으로 전파되었다. 또한 현대의 절수행은 단지 수행으로서 뿐만 아니라 건강법으로서 또 시위의 형태로서도 한국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nsiders the effect of buddhism to the practice culture of Korea through the bow practice. We think that the practice are divided to the road of the enlightenment(jñāna mārga) and the road of the practice(yoga mārga), and the wide concept of the practice includes two roads, but the narrow concept of the practice means only the road of the practice. And, this paper defines the practice culture as everything which man have made related with the practice.
    We do not know when is the beginning of the present bow practice forms as like 108 bows, 1000 bows, and 3000 bows. But we could suppose that the bow practice has been done from the date of early propagation of buddhism to Silla Dynasty as a adjunctive practice of the repentance practice(Chambeop), i.e the practice mode of confession of one's sins, and through the faith to many buddhas as like the faith to the seven ancient buddhas and to 53 buddhas.
    The repentance practice had been done using the method of the repentance practice in Jeomchalseonakeopbogyeong from the period of Silla till the middle of Koryo Dynasty, but since then Jabidoryangchambeop had been used as the method of the repentance practice. It is told that Ryo Se, the famous monk in the middle of Koryo Dynasty bowed to 53 buddhas 12 times everyday.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Buddhism was held down by the government power, so buddhism became a faith for good fortune. But from this reason, we could suppose that the bow practice became more popular, because a buddhist should bow to a buddha for good fortune.
    The modern bow practice have escaped from the buddhism as a faith for good fortune by virtue of works of Seongcheol and Cheongdam, two famous monks of modern Korea, by whom the forms of 108 bows, 3000 bows have been spread in modern Korea. Also the modern bow practice has affected korean society not only as a method of practice but also as a way of the demonstration these d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