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居昌 절의 정신의 확산 -俛宇 학맥을 중심으로- (A study on expand of the Geochang’s faithful min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9.12
30P 미리보기
居昌 절의 정신의 확산 -俛宇 학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81호 / 147 ~ 176페이지
    · 저자명 : 박준원

    초록

    俛宇 郭鍾錫(1846~1919)은 거대한 산맥이다. 그가 1896년에 거창지역에 이주하자 그의 문하에서 일제의 침탈에 저항했던 수많은 제자들이 배출되었고, 거창은 독립운동의 요충지가 되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3․1운동이 일어난 1919년에 그는 제자인 重齋 金榥 (1896~1978)을 통해서, 心山 金昌淑(1879~1962)을 파리의 평화회의에 파견하여 조선 독립의 당위성을 세계만방에 알리려고 했다. 이것이 바로 유림들의 독립운동사에 길이 남을 파리장서 사건이다. 이러한 면우의 독립에 대한 투철한 의지와 절의정신은 그 후 많은 제자들에게 전해졌고, 이 제자들은 각각 또 다른 자신의 제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결과적으로 면우의 사상과 행동방식은 이른바 제자의 제자인 ‘再傳弟子’에게까지 산줄기가 뻗어나가서 일제 강점기 우리의 지성사에서 우뚝 솟은 ‘면우산맥’을 이룬 셈이다. 이 재전제자들은 각자의 향리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시대적 소명인 일제에 대한 저항과 절의의 정신을 각각 실천하고 있었다.
    필자는 그 구체적 사례로 면우의 재전제자인 一窩 李冀洙(1896~1974)의 삶과 문학세계를 조명했다. 그는 면우의 제자였던 東菴 李鉉郁(1879∼1948)의 제자이고, 파리장서 사건의 실행자인 김황, 김창숙 등과 친밀한 교유와 교류가 있었던 인물이다. 면우라는 산맥에서 시작된 독립과 절의정신의 발양이라는 견고한 흐름은 그의 재전제자인 이기수에게서 또 다른 마지막 산봉우리를 펼치고 있었던 것이다.
    본고에서는 그의 문집인 『일와사고』에 수록된 시세계를, ‘1) 가문의 화합과 가족애, 2) 자연으로의 회귀와 산수시, 3) 순국의사 추모와 우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중에서 우리의 주목을 끄는 것은 「殉國義士贊」이라는 8편의 연작 찬시이다. 이 8편의 찬시에서 작자는 일제의 침탈에 저항하여 순국한 이순신(1545~1598), 민영환(1861~1905), 이준(1859~1907), 안중근(1879~1910), 이봉창(1901~1932), 윤봉길(1908~1932), 백정기(1896~1934), 유관순(1902~1920) 모두 8분의 우국영웅과 의사들을 소재로 삼아 이들의 숭고하고 감동적인 생애를 그려내고 있다. 그는 이순신과 민영환의 애국적 헌신, 그리고 순국의사들이 거사했던 각각의 구체적인 사건들을 하나하나 상세하게 소개하면서, 자신의 생명을 초개처럼 던져서 독립투쟁에 나섰던 이들의 의거를 칭송하고 있다. 그는 각각의 시편에서 이들의 구체적인 우국충정에 각인된 생애와 의거의 내용을 직접 서술하고, 뒷부분에서 서술된 내용을 바탕으로 이들의 행적을 찬양하고 있다.
    그가 살았던 시기는 구한말 혼란기를 거쳐, 일제에게 나라의 국권을 빼앗기는 매우 암울한 시기였다. 또한 학문적으로도 조선의 국시였던 유학사상이 급격하게 쇠퇴하고, 국외에서 신문물이 밀려들어오던 격동의 시절이었다. 이처럼 난세를 살았던 일와는 일제에 의해 강요된 신학문의 조류를 끝까지 거부하고, 전통 학문인 유학을 고수하는 삶의 방식을 선택하였다. 결국 그는 평생 동안 절의를 지키며 모든 관직에 나아가는 것을 거부하고, 말년에 구국을 위한 일념으로 학교를 설립하여 후진양성에 온 힘을 쏟았다.
    이것은 일제의 국권찬탈에 대해서 저항했던 당대 유학자 지식인들의 전형적인 삶의 모델 중의 하나였다. 그는 면우의 제자 이현욱을 스승으로 삼았고, 파리에 장서를 보내려던 면우의 계획을 직접 실천에 옮긴 중재 김황을 평생의 지기로 두었다. 그래서 면우의 재전제자가 되어, 면우의 학문과 일제에 항거하는 자주독립과 절의라는 거창의 정신적 전통을 이어받았다. 그리하여 면우의 학맥을 계승한 김황, 김창숙, 안정려, 하정규 등의 면우 제자들과 교류하고 그들과 의기투합해서 거창의 절의 정신을 더욱 확산시켰다. 그는 평생을 조국의 독립과 우국적 자세를 견지하는 유학자적 본분을 유지하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Myeonwoo Kwak Jong Seok (1846~1919) is a huge mountain range. When he moved to Geochang in 1896, there were many people under his teaching who resisted the Japanese occupation. It is well known that Geochang has become a hub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especially during the March 1st Movement, he sent Simsan Kim Chang Sook (1879~1962) to the Paris Peace Conference through his disciple, Jungjae Kim Hwang (1896~197), to inform the world of the reasons for Korean independence. This is the Pari Jangseo, which will be remembered as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Confucians. Myeonwoo's commitment to independence and faithful mind have since been passed on to many disciples. Each of these disciples affected others of their own. As a result, Myeonwoo's thoughts and actions were inherited to the disciples of disciples and the ‘Myeonwoo Mountain Range’ mentality stands out from our histor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se disciples of disciples each practiced a resistance to and faith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which was their own calling in their own hometown.
    As a specific example, I reviewed the life and literary world of Ilwa Lee Ki Soo (1896~1974), a disciple of Myeonwoo's disciple. He is a disciple of Dongam Lee Hyun Wook (1879~1948) who was a disciple of Myeonwoo, and he was in close contact with Kim Hwang and Kim Chang Sook, the activist of the Pari Jangseo. The solid flow of independence and faithful mind that began in the range of Myeonwoo unfolded into another mountain peak through Lee Ki Soo.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poems in his collection, 『Ilwasago』, divided into '1) family harmony and family love, 2) return to nature and landscape poetry, and 3) remembrance of the patriots and patriotism. Among these, the series of eight admiration poems called 「Anthology of patriots(殉國義士贊)」 gets attention. In these eight poems, all eight heroes, Lee Soon Shin (1545~1598), Min Young Hwan (1861~1905), Lee Joon (1859~1907), Ahn Jung Geun (1879~1910), Lee Bong Chang (1901~1932), Yoon Bong Gil (1908~1932), Baek Jung Gi (1896~1934), and Ryu Kwan Soon (1902~1920) who died rallying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are depicted through their noble and impressive lives. He introduced the patriotic devotion of Lee Soon Shin and Min Young Hwan, and each of the specific events of the patriots’ deaths. He praised the heroic deeds of those who sacrificed their lives for independence. In each poem, he describes the specific life and heroic deed of each, and praises their deeds at the end.
    He lived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which was a very gloomy period when the nation was deprived of sovereignty by Japan. In addition, the Confucian philosophy, which was the national policy of Joseon, declined sharply. It was a turbulent period when new culture came in from abroad. Ilwa, who lived in this difficult time, rejected the modern sciences imposed by Japanese imperialism and chose a way of life that adhered to traditional study. Eventually, he refused government jobs in his life, founded a school with the intention of saving the nation, and devoted himself to fostering students during the later part of his life.
    This was one of the typical life models of Confucian intellectuals who resisted the Japanese occupation at that time. He considered Myeonwoo's disciple, Lee Hyun Wook, as his teacher, and set Kim Hwang, who took action for Myeonwoo's plan for the Pari Jangseo, as a role model. So he became a disciple of a disciple of Myeonwoo, and inherited the spiritual tradition of Geochang, independence and a faithful mind against studies and Japanese imperialism. Thus, he interacted with Myeonwoo disciples such as Kim Hwang, Kim Chang Sook, Ahn Jung Ryeo, and Ha Jung Kyu, who inherited Myeonwoo's academic line and expanded the faithful mind of Geochang through cooperation. He remained a Confucian scholar for independence and patriotism for his entire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