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과 일본의 취학 전 아동을 위한 세계명작동화의 어휘 연구 (A Study on the Vocabulary in Fairy Tales for Preschool Children in Korea and Japan)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6.06
14P 미리보기
한국과 일본의 취학 전 아동을 위한 세계명작동화의 어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어교육연구 / 35호 / 133 ~ 146페이지
    · 저자명 : 박성은, 이미숙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취학 전 아동을 위한 세계명작동화 10종의 한·일 번역동화에 나타난 어휘를 대상으로 하여 품사(品詞)·어종(語種)·어구성(語構成)별 분석을 통해 양 언어에 나타난 언어학적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2종 이상에서 공통되는 어휘를 각각 김광해(2003)의 ‘등급별 교육용 어휘 목록’ 및 사카모토(阪本一郎, 1984)의 ‘신교육기본어휘’와 비교함으로써 외국동화 번역에 사용된 어휘가 아동의 발달 단계에 맞는 어휘인지 확인하는 작업을통해 양국의 아동 어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살펴보려는 것도 목적의 하나이다.
    어휘를 ‘품사’별로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개별어수 및 전체어수 모두, 한국은 부사 및 형용사가 많았고, 일본은 동사 및 명사의 비율이 높았다. 상대적으로 한국 동화는 명제의 성질·속성을 나타내는 수식어의 사용률이 높고 일본은명사와 동사를 사용한 명제 자체를 나타내는 표현이 많다고 해석할 수 있다.
    ‘어구성’에서는 양국 모두 단일어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복합어 중에서는 개별어수 및 전체어수 모두, 한국은 합성어가 많고, 일본은 ‘お(ご)-·-さん·-さま’ 등의 사용으로 인해 파생어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어종’의 경우는개별어수 및 전체어수 모두, 일본은 고유어 및 외래어, 한국은 한자어 및 혼종어 비율이 높았다. 이는 한국의 기초어휘 중에 한자어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 기인한다는 것을 밝혔다.
    양국의 번역동화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동일 원작임에도 불구하고 편역, 각색 등으로 인해 내용이 다른 경우가 많았으며, 이에 따라 어휘에도 커다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10종 중 2종 이상에서 공통으로 등장한 어휘는 양국 모두 개별어수의 30%에 불과하였는데, 이를 각각자국어의 ‘교육용 어휘등급’에 비추어 본 결과, 양국 모두 취학 전 아동의 발달 단계에 비해 수준 높은 어휘가 사용되고 있다고 보여, 교육용 기초어휘의 선정과 더불어 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by analyzing word types, and word compositions of vocabulary found in 10 types of foreign fairy tales as well as in the Korean and Japanese translations of the so-called world’s classic fairy tales (10 types in each language).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ocial concern for children’s vocabulary in both countries, by means of a process to determine whether the vocabulary used in the translations of the foreign fairy tales was appropriate to the developmental stage of children. For this, this study compared the vocabulary commonly found in more than 2 types of fairy tales with ‘the Graded List of Vocabulary for Education’ by Kwang-hae Kim (2003) and ‘The New Basic Vocabulary for Education’ by Sakamoto (1984) respectively.
    An examination of the vocabulary according to the parts of speech shows that in both individual lexicon and entire collection of lexicon, fairy tales in Korean contained many ‘adverbs’ and ‘adjectives’whilst those in Japanese had a comparatively high percentage of ‘verbs’ and ‘nouns.’ It can be interpreted that Korean fairy tales had a higher percentage of modifiers or words conveying the attributes of propositions whilst Japanese fairy tales made frequent use of words representing propositions based on nouns and verbs.
    As for word composition, simple words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in both countries. In both individual lexicon and entire collection of lexicon, Korean had a higher percentage of compound words and Japanese had a higher percentage of simple words and derivatives. Alsothe Japanese had a higher percentage of native words and loanwords whilsttheKorean had a higher percentage of Chinese characters and hybrid words.
    This was interpreted to derive from the fact that many basic words were Chinese characters.
    Lastly, words commonly found in more than 2 types of fairy tales, among the 10 types, accounted for only 30% of individual lexicon. An examination of this result, according to the vocabulary ratings for education in both countries, suggests that fairy tales in both countries are using vocabulary of a higher level than the developmental stage of preschool children. This shows that there is a need for more social concer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어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