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례를 통한 단군신화의 와해 - 와우리 단군전을 중심으로 (The Collapse of the Dangun Myth Through Ritual: Focus on the Wawoori Dagan Shrine)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0.06
46P 미리보기
의례를 통한 단군신화의 와해 - 와우리 단군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57호 / 93 ~ 138페이지
    · 저자명 : 박성혜

    초록

    본고는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와우리 단군전을 중심으로 이곳에서 전승되는 의례가 단군신화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의미를 만들어가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단군사묘는 전국적으로 약 40여개가 있는 것으로 추산되는데, 그 중 와우리 단군전은 현전하는 단군전 중에서 그 유래가 가장 오래되고, 단군 영정을 보관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마을 공동체를 중심으로 매년 두 번씩 단군전에서 의례를 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지금까지 신화와 의례의 관계를 다룬 논문들은 주로 무속신화를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었고, 건국신화의 경우 현재적인 사례를 확인한 경우는 없다. 따라서 21세기에 단군 의례가 단군 신화와 서로 어떻게 연관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확인하는 것은 의미가 있는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와우리 단군전은 1910년대에 한 대종교인이 단군영정을 가지고 와서 제향을 드리던 것에서 유래되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의례를 제대로 수행할 수도 없었고, 영정을 보관하는 것도 어려웠으나 해방 이후 지역민들이 단군전을 세우고 단군 영정에 제향을 하다가 1987년 현재의 단군전을 중건하기 시작하고, 의례도 유교식으로 재정비하여 지금까지 이르렀다고 한다. 이곳에 봉안된 단군영정은 20세기 초반에 대종교를 중심으로 전승되던 단군신화에 형상화 된 것으로 신화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단군신화와 비교했을 때 신화도상은 단군으로 의미가 집약되는 것이 특징이다. 단군전은 어천제와 개천제가 지켜지는 것, 영정이 봉안된 것을 근거로 단군영정을 봉안하던 천진전의 전통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의례의 참여자들은 일상과 다른 정형적인 행동의 반복을 통해 신화보다 초점화된 신화적 관념(mythical concept)의 단군을 만나고, 단군이 구현한 세계의 당위성을 행위로 추인하며, 의례의 참여자들에게 이를 현시한다. 행동을 통해 강화된 신성성의 감각은 이미 신화도상이라는 형식을 통해 의미가 집약된 신화적 관념(단군)을 한번 더 응집시키고, 고양시킨다. 그러나 의례의 통해 고양된 신화적 관념은 단군신화와 함께 전승되지 못한다. 단군이라는 신화적 관념이 의례를 통해 고양되는 과정에서 천신에서 국조로 그 의미가 바뀌었고, 신화적 관념에 필요한 형식을 신화적 서사 대신 단군영정과 의례를 수행하는 행위가 대체했기 때문이다. 의례와 관련해서 신화는 와해되지만, 그렇다고 해서 서사(mythical narrative)가 완전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단군전의 의례는 단군전이라는 장소의 유래와 의례라는 행위의 타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증거물인 단군영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단군영정은 이제 그 자체로 영정의 역사성과 단군전 의례의 연원을 설명해주는 유래담의 핵심 증거물이 된다. 그리고 단군신화가 와해된 자리에 단군 영정의 유래담이 확장되고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ritual performed around the Wawoori Dangun Shrine in Unsan-myeon, Seosan-si, South Chungcheong Province, crafts meaning in the context of its relationship with the Dangun myth. The Wawoori Dangun Shrine originated in 1910 when a Daejonggyo believer brought the Dangun portrai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hrine and gave an offer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t was not possible to properly perform any rituals, nor was it easy to preserve the portrait, but after the liberation, locals erected the Dangun shrine and gave offerings before the portrait. In 1987, repair work on the shrine began, and the ritual was reorganized according to Confucian ideals into the ritual that continues to be passed down today. The portrait enshrined in this place is a visualization of the Daejongism-centered Dangun myth that was transmitt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s such, it can be considered a mythical icon. In comparison to the Dangun myth, this mythical icon concentrates its focus on Dangun himself. As evidenced by the preservation of the Dangun portrait and the observation of Eocheonjeol and Gaecheonjeol, the Dangun Shrine can be understood as an extension of the tradition of Cheonjinjeon (Dangun Portrait houses), which enshrined Dangun portraits.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ritual encounter a more focalized mythical concept of Dangun than in the myth through a series of fixed actions that are a departure from the ordinary, endorse the rightfulness of the world realized by Dangun through their actions, and make this manifest to the other participants of the ritual. The sense of sacredness intensified through such actions once again enhances and binds together the mythical concept (Dangun) that has already been focalized through the mythical icon. However, the Dangun myth is not transmitted alongside the mythical concept that is enhanced through the ritual. This is because, as the mythical concept Dangun became enhanced through the ritual, its significance was transformed from that of a divine entity to that of a founding father, and the mythical narrative was replaced by the Dangun portrait and the act of ritual performance as forms necessary for the mythical concept. Although the myth collapses in relation to the ritual, this does not mean that the narrative disappears altogether. This is because the ritual of the Dangun Shrine, which is sustained for the sake of transmitting tradition, possesses the Dangun portrait, which acts as evidence of the validity of the origin of the Dangun Shrine and the performance of the ritual. The Dangun portrait is now in itself a key piece of evidence in the origin tale that explains the source of the Dangun Shrine ritual and the historicity of the portrait. In place of the collapsed Dangun myth, the folktale of the Origin of Dangun portrait is grow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