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말 선초 유학자들의 불교 인식 - 이색, 정도전을 중심으로 - (Perception of confucians in late goryo and early Chosun on Buddhism - A study on Chung, Do jeon and Lee Sack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2.12
34P 미리보기
여말 선초 유학자들의 불교 인식 - 이색, 정도전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12호 / 201 ~ 234페이지
    · 저자명 : 정수동

    초록

    고려시대 유학자들은 대부분 불교를 신봉하거나 호의적인 이해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의 비판은 그다지 심각하지 않았다. 그리고 그들의 비판도 대체로 사찰의 사회적 폐단에 국한되었다. 그러나 여말 선초에는 불교에 대한 유학자들의 비판이 사상적인 측면에서 본격적으로 시도되었다. 그 중 이색(李穡, 1328~1396)은 대표적인 온건 비판론자였다. 이에 반해 정도전(鄭道傳, 1337~1398)은 아주 극단적인 불교 비판자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두 유학자의 불교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불교에 대한 인식과 비판의 요지가 무엇인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이색과 정도전의 배불 또는 척불을 주장하는 그 사상적 근거가 무엇이며 어느 정도 정확한 것인가 하는 점이다. 이것은 두 가지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는데, 하나는 비판하고자 하는 내용이 정확한 것인가 하는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비판하는 잣대로서의 자신의 관점이 어느 정도 정확한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불교에서 신유학(성리학)으로 사상적인 전환을 시도하는 여말 선초 유학자들의 인간과 세계에 대한 해석과 이를 사회와 국가에 어떻게 적용하였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clearify the history and character of Neo-Confucianism in late Koryo period through Sambong Chung Do Chun's works which were written to criticize Buddhism. Since Sambong is the important person who refuted the thought of Buddhism and constructed the ideology of Chosun Dynasty with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The following summarizes what we have shown in this paper.
    Neo-Confucianism in late Koryo period had put much emphasis on the pmctical side of it, consequently had not theoretically criticized on Buddhism. Mokun Lee Saek had started to investgate on the theoretical side of Neo-Confucianism. But he had not theoretically criticized on Buddhism, either. Poun Chung Mong Chu had criticized Buddhism in accordance with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Although Sambong who theoretically criticized on Buddhism had learned by Mokun, there is no record in Sambon’s works that was influenced by him. Rather, his whole works show that he was definitely influenced by Poun. That Sambong was influenced by Poun, not by Mokun is one of the indicatives showing that his Neo-Confucianism was attached with the tendency of putting much emphasis on the theoretical side of it, rather than on the practical side of it.
    Therefore, we can say that Neo-Confucianism in late Koryo period began with the practical side of Neo-Confucianism inherited by Won Dynasty and gradually establi-shed the theoretical side of it started by Mokun and Poun. Since it was found out in this paper that there was a close relation between Poun and Sambong, the relation will provide a clue to understand Neo-Confucianism in the beginning of Chosun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