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계, 노동, 신체 - 노동소설의 해방전/후와 신체성의 전환- (Machine, Labor, Body -Labor Novel and the Conversion of Body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8.11
37P 미리보기
기계, 노동, 신체 - 노동소설의 해방전/후와 신체성의 전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間SAI / 25호 / 117 ~ 153페이지
    · 저자명 : 차승기

    초록

    인간과 기계의 접속은 새로운 행동과 신체를 발명한다. 기계-기술은 그에 앞서존재한다고 가정되는 인간 주체의 필요에 따라 활용되는 도구가 아니다. 오히려기계-기술은 ‘매체=중심’으로서, 그 ‘안에서’ 인간 주체의 형태가 발명된다. 이렇게볼 때, 기계와 인간이 접속하는 현장을 서술하는 노동소설은, 인간(노동자)이 해당기계-기술 속에서 주체화되고 특정한 사회적 신체를 획득하는 양상을 징후적으로포착한다.
    해방 전후 노동소설에 나타나는 기계-인간 관계를 주목할 때, 흥미롭게도 극단적인 신체성의 전환이 발견된다. 식민지 당국에 의해 그 노동 능력이 체계적으로평가 절하된 피식민 노동자들은 민족의 계급화와 계급의 민족화가 구조화된 식민지 공장에서 기계와 만나야 했다. 그들은 자신의 신체를 기계-도구 연관의 리듬에안정적으로 맞춰갈 수 없었다. 따라서 식민지 노동소설에서, 기계와 만나는 노동자들의 신체는 대부분 기계에 의해 훼손되거나 파괴됨으로써 가시화된다. 그러나 기계를 멈추는 파업을 통해 역설적으로 기계-도구 연관 속에서 형성된 집단적 신체의 내적 리듬이 활성화된다.
    반면, 해방 직후 이북명의 소설에서 볼 수 있듯이, 사회주의적 개조에 복무하는 ‘해방된’ 민족의 노동자는 기계-도구 연관 속에 유기적으로 접속되는 협동적신체성을 획득한다. 사회주의적 테일러리즘과 강력한 도덕성이 결합된 노동 속에서 노동자의 신체는 거대한 노동국가의 세포가 된다. 식민지 시기의 노동소설과 달리 해방 직후 북한소설에서는 ‘휴지’를 위한 협동이 아니라 ‘생산’을 위한 협동만이 존재한다.

    영어초록

    The connection of humans and machines creates new behaviors and bodies. Machine-technology is not a tool which depends on the needs of human subjects assumed to precede that.
    Rather, machine-technology is the ‘media-centered,’ and the form of human body is invented ‘in’ that. In this regard, the labor novel that describes the scene of relation with machine and human captures a symptomatic sign of human beings(laborer) becoming subject and acquiring a specific social body in its relevant machinetechnology.
    Interestingly, when looking at the machine-human relationship in the labor novel before and after liberation, we can discover the extreme conversions of body. The colonial laborers whose labor capacity was systematically devalued by the colonial authorities had to meet machines in colonial factories where classization of people and nationalization of class were structured.
    They couldn’t keep up with the rhythm of the relation between machine and tool. Thus, in labor novel during colonial era, the bodies of laborers who meet machines are visible mostly by being damaged or destroyed by machines. But paradoxically, strikes that stop machines activate the inner rhythms of the collective body formed in the relation of machine and tool.
    Whereas, as seen in Yi Buk-Myoung’s novels right after liberation, the ‘liberated’ nation’s labor serving in the socialist reform gains a cooperative body that is connected organically to the relations between machine and tool. In labor combined with socialist Taylorism and strong morality, the laborer’s body becomes the cell of a huge labor state. Unlike the previous labor novels, North Korean novels right after liberation do not have cooperation for “pause,” but for “produ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이間SAI”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