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朱將軍傳>에 나타난 性 담론의 특징과 의미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sexuality discourse i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4.09

29P 미리보기
&lt;朱將軍傳&gt;에 나타난 性 담론의 특징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81권 / 129 ~ 157페이지
    · 저자명 : 조도현

    초록

    인류의 영원한 주제라 할 수 있는 性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다양한 예술의 형태로 꾸준히 표현되어 왔다. <주장군전>은 조선 전기의 문인 송세림이 지은 가전체 소설로, 男根을 의인화하여 性행위를 적나라하게 묘사한 파격적 작품이다. 특히 작품의 창작 시기가 성리학의 질서가 공고해진 16세기 초라는 점에서 매우 이례적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주장군전>에 나타난 性담론의 특징과 의미를 탐색하였다.
    첫째, <주장군전>의 형성 배경과 창작 동기를 살펴보았다. <주장군전>은 송세림의 소화집 『어면순』에 실린 작품이다. 특히 <주장군전>은 서거정의 『태평한화골계전』, 강희맹의 『촌담해이』, 채수의 <설공찬전>에 이어 창작되었다는 점에서 주목해야 한다. 이 작가들은 모두 귀족 계층인 사대부들이었고, 엄격한 유교적 윤리가 지배했던 시대에 살았기 때문이다. 송세림은 <주장군전>을 통해 인간에 내재한 성적 욕망을 가식 없이 드러내려 했다.
    둘째, <주장군전>에 나타난 성담론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송세림은 이 작품에서 과감하고 노골적인 표현형식으로 인간의 원초적 본능을 일깨우고 있다. 또한, 은유법과 중의법의 수사 기교를 통해 오락성을 극대화하였다. 특히 성행위와 관련하여 각 신체 부위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언어유희는 당대의 금기를 깨뜨린 직설적이고 도전적인 표현방법이다. 이러한 해학적 내용을 통해 작가는 당대 사회를 비판하고 풍자했으며, 문학적 카타르시스를 보여주었다. 셋째, <주장군전>의 문학사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주장군전>은 한국 최초의 창작 육담이다. 이 작품으로 인해, 이후 여성의 성기를 의인화한 <관부인전>이 탄생하기도 했다. 따라서 <주장군전>은 조선조 양반사회의 性적 관념과 태도를 엿볼 수 있는 희소성있는 작품이다.

    영어초록

    Sexuality which can be said to be an eternal theme of humankind has been expressed constantly in a form of a variety of arts transcending time and space. <Joo Janggun Jeon> is a Korean novel personifying objects written by Song Se Rim who was a writer in the early Chosun Dynasty, and it is an unprecedented work in which man's symbol is personified to describe sexual act frankly. In particular, it is very exceptional in that the period of creation of the work is the beginning of the 16th century when the order of Neo-Confucianism became established. Accordingly, this paper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sexuality discourse in <Joo Janggun Jeon>.
    First, the background of formation and motivations of creation of <Joo Janggun Jeon> were examined. <Joo Janggun Jeon> is a work contained in 『Eo Myun Soon』 which is Song Se Rim's jest book. Especially, <Joo Janggun Jeon> need to pay attention in that it was created following Seo Geo Jeong's 『Tae Pyung Han Hwa Gol Gye Jeon』, Gang Hee Maeng's 『Chon Dam Hae Yi』, Kim Si Seup's <Geum O sin Hwa>, and Chaesoo's <Seol Gong Chan Jeon>. It's because these writers were all noblemen who were aristocrats, and lived in an era when strict confucius ethics dominated. Song Se Rim attempted to frankly express sexual desire which was inherent in human beings through <Joo Janggun Jeon>.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ity discourse expressed in <Joo Janggun Jeon> were investigated. In this work, Song Se Rim is arousing basic instincts of humanity in a bold and explicit way of expression. In addition, he maximized amusement through rhetorical techniques of metaphors and ambiguous words. In particular, in relation to sexual behavior, plays on words which expressed each part of human body figuratively are methods of straightforward and challenging expression breaking taboo of the age. Through theses witty contents, the writer criticized and satirized society of the time, and displayed literary catharsis.
    Third, the meanings of <Joo Janggun Jeon> in history of literature were examined. <Joo Janggun Jeon> is the first licentious story in Korea. Because of this work, <Gwan Boo In Jeon> was also created later, which personified female sex organ. Thus, <Joo Janggun Jeon> is a work high in scarcity to see sexual ideas and attitudes of aristocratic circles in Chosun Dynasty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