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사비기 전달린 완의 계보와 지역성 검토 (Genealogy and Regionality of Bowls with Extended Rims of the Sabi Phase, Baekj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9.03
30P 미리보기
백제 사비기 전달린 완의 계보와 지역성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110호 / 42 ~ 71페이지
    · 저자명 : 나인정

    초록

    백제 사비기 전달린 완은 당시 주요 도시인 부여·익산에서 출토된다는 점, 그 수가 다른 토기들에 비해소량이라는 점 등으로 백제 고위 계층이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기종이다. 그럼에도 사비양식토기 중 하나로 기원, 제작기법, 형식분류만 언급되었을 뿐 단일 기종으로 연구된 바가 없었다. 본고에서는 사비기 전달린 완의 출토 현황을 정리하고, 다른 정치체·시기 출토 전달린 완과 비교를 통해 그 계보와 지역성을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용도를 추정해 보았다.
    전달린 토기라는 용어는 ‘전이 달린 토기’를 통칭하여 사용해 왔기 때문에, 여기서 다루고자 하는 완 외에도 다른 기종과 혼용이 되고 있다. 이에 완이라는 기종과 전이 달린 형태를 중시하여 기왕에 ‘전달린완’이라고 부르고자 한다. 지금까지 전달린 완은 상류층의 배식용기로 판단해 왔으나, 출토 맥락을 검토한 결과, 배수 및 집수시설에서 주로 출토되어 의례적 용도로 사용했다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생각하였다.
    계보를 파악하기 위해 고구려 이배, 백제 한성기, 영산강 유역 전달린 완의 속성과 제작기법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이배에서 사비기 전달린 완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선문타날흔이 한 점도 확인되지 않았으며, 구연단의 제작방법과 전의 절단 방법이 달랐다. 이외에도 속성에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전달린 완이 고구려 유이민에 의해 직접 제작되었다는 설은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지역성을 검토하였다. 익산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사비기 주요 도시로 언급되고 있으나익산 출토 토기가 부여보다 격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있다. 그러나 규격과 형태 속성 분석 결과, 현 상황에서는 익산 출토 전달린 완이 부여 출토품보다 규격화되고, 다양화되었다고 판단하였다.

    영어초록

    Bowls with extended rims dating to the Sabi phase are believed to have been used by the Baekje elite, since examples have been excavated from the areas of Buyeo and Iksan, where major cities of the Sabi phase were located. The number of such finds are limited, compared to other types of vessels. A detailed study of this particular type of vessel has yet to be undertaken; bowls with extended rims have only been studied as an element of ‘Sabi Style pottery’, with focus on their origins, production techniques, and type classification.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genealogy and regionality of Sabi phase bowls with extended rims by comparing them with the bowls with extended rims of other phases and polities. Furthermore, an attempt was made to define the concept of the ‘bowl with extended rim’ and to establish its function.
    ‘Extended rim pottery’ was renamed as ‘bowls with extended rims’ in order to distinguish this type from other types of vessels featuring extended rims. In addition, the function of these vessels were inferred based on their excavation contexts. The existing research regards bowls with extended rims as food containers used by the elite but the majority of the examples have been recovered from drainage and water catchment facilities, thereby indicating that they served a ritual functi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Sabi phase bowls with extended rims and that of Goguryeo bowls with extended rims (‘Yibae’ vessels), bowls with extended rims of the Hanseong Baekje phase, and those from the Yeongsan River region were compared in order to explore the possible origins of Sabi phase bowls with extended rims. Paddled line patterns, which are a characteristic element of Sabi phase bowls with extended rims, could not be observed in the case of Goguryeo Yibae vessels. Furthermore the method used to cut the rims was different from that used for Goguryeo Yibae vessels. Differences could also be observed in terms of specific attributes. Therefore, while it must be acknowledged that Goguryeo culture and style generally had an influence in the Sabi phase, it is unlikely that Goguryeo craftspeople had produced the Sabi bowls with extended rims.
    In terms of regionality, although Iksan has been regarded by many researchers as the main city of the Sabi phase, there has also been the view that pottery produced in Iksan was inferior to pottery produced in Buyeo. However,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rough standard deviation analysis that the bowls with extended rims from the Iksan area were more standardized than those from the Buyeo area.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pplied to the examples from Iksan were found to be more delicate and vari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