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관람형에서 참여형 전시로 전환하는 박물관 (Exhibitions at Museums: From an ‘Event to See’ to an ‘Event to Join’)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8.12
31P 미리보기
관람형에서 참여형 전시로 전환하는 박물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연구 / 183호 / 37 ~ 67페이지
    · 저자명 : 김재홍

    초록

    이 글은 국립박물관 전시를 통하여 관람객을 객체로 인식하는 관람형 전시에서 주체로 인식하는 참여형 전시로 전환하는 과정을 박물관 실례를 중심으로 작성하였다.
    국립박물관은 기본적으로 우리 역사와 문화를 전시품을 통해 관람객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지방 거점 도시에 소재한 국립박물관은 지역 문화의 특성을 파악하여 주제 중심의 전시를 구현하고 있다. 이에 관람객은 국립박물관 상설전시의 내용성에 직접 참여하려고 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 상설 전시실을 시대적인 순서로 개편하는 통사적 전시를 요구하기도 하였다. 박물관은 이를 수용하여 구석기부터 조선시대까지 통사관으로 구성하였으며, 더 나아가 고조선실을 개설하게 되었다.
    참여형 전시는 지방국립박물관에서 다양한 형태로 반영되고 있다. 국립나주박물관은 고분군이라는 현장에 구현된 박물관으로 지역사회의 요구를 수용하여 마한 중심 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 수장고를 유리창으로 하여 밖에서 보이게 개방하였고, 발굴현장을 체험하는 공간을 마련하여 관람객의 참여를 유도하였다. 국립충주박물관(가칭)은 현재 건립의 타당성을 주장하는 단계이나, 지역사회에서 ‘중원문화권’을 설정하고 이에 맞는 박물관 전시를 구현하려고 한다. 이에 반해 국립춘천박물관 전시실에 대한 지역사회의 반응은 일반 역사연구자와 시각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이제 박물관은 큐레이터가 중심가 되어 전시가 구성되는 단계에서 관외 연구자를 포함한 관람객이 전시 구성이나 내용에서도 의견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를 관람객 참여형 전시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관람객이 주체로 참여하는 방향성을 가지게 되었다.

    영어초록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how exhibitions at State-established museums (National Museums) have turned from featuring displays treating visitors and viewers as “opponents” (people who are to be ‘shown’ the exhibition) to holding displays acknowledging them as “active participants” (people who would join the process from the beginning, or at least before the completion of the display layout). There are several examples of them which we can find from certain museums, so some of them will be discussed here. Overall, this article will be an examination of museum exhibitions’ very evolution, from an ‘event to see’ to an ‘event to join.’ Initially, National museums’ primary function was to inform the visitors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Korea through selected-and- then-exhibited artifacts. Museums at big local cities have been developing their own themes reflecting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ir own. Then the visitors started to display a will and interest to join the development process (for Permanent exhibitions).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t Yongsan) was demanded to switch to a new exhibition format –for its permanent exhibition- in which artifacts would be positioned and displayed in a chronological order. NMK accepted the suggestion and rearranged the display to feature artifacts from the Old Stone age(Paleolithic Era) through the Joseon period in timely order, and also opened the Gojoseon display for the very first time.
    This kind of ‘participatory exhibitions’ are spreading throughout local state-established museums. National Museum of Naju is located at the ancient burial mound site, and opened as a Mahan-themed museum at the request of the local community. Walls of the storage chambers are made of glass so that visitors could see the inside, and an excavation experience is inviting visitors to have a taste of what excavations generally entail and how it feels to actually be on the field. Proposal for a National Museum of Chungju (tentative title) is aiming for a local museum that would deal with the ‘Jung’weon culture.’ Sometimes there are certain differences of opinions between the local community and professional historians. The former’s response to the display arrangement (conceived by the latter) of the National Museum of Chuncheon could be cited as such example.
    Museums are no longer conceiving displays with curators as the only brain. Historians or specialists outside the museum, or even general viewers, are actively coming up with their own ideas and vision that could potentially affect the display structure or contents. This could indeed be defined as a ‘participatory exhibition,’ and with this kind of format the visitors now have a way to reflect their views in the process and literally join the exhibition themsel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