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흥부전>에 나타난 악과 세속적 욕망 (The Evil and mundane Desire in )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08.10
24P 미리보기
&lt;흥부전&gt;에 나타난 악과 세속적 욕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판소리연구 / 26호 / 229 ~ 252페이지
    · 저자명 : 진은진

    초록

    이 글은 <흥부전>에서 악은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그리고 그것은 <흥부전>에 어떤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지 살피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흥부전>은 모방담을 기본 구조로 권선징악이나 우애와 같은 윤리의식을 강하게 드러내면서도 관념적 세계가 아닌, 당대 현실의 모습을 담아내고 있다. 따라서 <흥부전>을 선악논리로만 파악하기는 어렵다. 이와 함께 악의 범위를 넓혀 위선, 무지, 의지 박약에서 오는 나약함이나 허약성 등까지 광범위한 악으로 규정한다면 흥부도 악인으로 규정할 수가 있게 되어 <흥부전>을 선약개념으로 파악하기는 더욱 어려워진다.
    조선후기가 되면 가사와 소설에는 새로운 악인형이 등장한다. 변강쇠, 옹고집, 무숙이 등이 그러한 인물들인데 이들은 윤리 도덕에 정면으로 맞서 악인을 자처하면서 자신의 욕망에 충실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런데 이들 인물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판소리들은 실창되고 만다. 이에 비하여 놀부는 현재까지 사랑받는 캐릭터로 남게 되는데 그것은 바로 <흥부전>이 뒤집어쓰고 있는 윤리라는 외피 때문이다.
    흥부에게 있어 세속적 욕망은 윤리 혹은 선인이라는 이름으로 억압되어야만 하는 것이지만 흥부박에서 비로소 해소가 된다. 한편 놀부는 세속적 욕망을 그대로 노출시키면서 악인을 자처한다. 물질을 향한 놀부의 과도한 욕망은 물질 화폐경제로 변화하던 봉건 해체기 당대인들의 욕망이기도 했을 것이다. 따라서 악인이라는 이름을 쓴 놀부의 반사회적인 행동들을 통해서 일종의 해방감을 맛보았을 수도 있으며, 놀부박을 통해서는 그러한 욕망의 무분별한 분출에 대한 죄의식을 씻어버릴 수 있었을 것이다. 요컨대, <흥부전>은 흥부와 놀부라는 형제를 통해서 물질적 욕망을 마음껏 분출하고 있는 작품이며 윤리라는 외피를 입음으로써 세속적 욕망이 노골적으로 드러나는 것을 막아주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began from the investigation into the aspect of the evil in <Heungbujeon>. Although <Heungbujeon> shows the morality and brotherhood with the imitative narratives as its basic story, it describes also the contemporary circumstances, not the ideal worl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meaning of <Heungbujeon> from the point of the morality. If the human weakness caused by the feeble-mindedness were also defined as the evil, Heungbu also could be defined to have the evil nature. Therefore, Heungbujeon cannot be understood from the point of the good and the evil.
    At the latter part of Chosun Dynasty, the evil characters appeared newly in the lyrics and novels. Byenkangsoe, Onkojip, Musuki are those characters, and they does not feel shame at their evil and they are common in being faithful to their desires. The Pansori works, in which those characters appears, are lost, but Nolbu has remained as the beloved character because of the morality in <Heungbujeon>.
    For Heungbu, the mundane desire must be suppressed by the morality, and the good, and his desires are granted by the gourds. But Nolbu does not hide his desire and his evil character. And Nolbu's excessive desire seems to be the contemporaries' desires in those days. So the contemporaries might feel happy from Nolbu's anti-social acts, and they might feel exempted from their acts driven by their desires. In Heungbujeon, the morality does not make the mundane desires of the contemporaries shown blunt, and therefore it makes the contemporaries feel cathar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판소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