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금산사 미륵전 벽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Murals Painting of Maitreya Hall in Geumsansa-Templ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6.12
35P 미리보기
금산사 미륵전 벽화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와 사회(구 불교사상과 문화) / 8권 / 35 ~ 69페이지
    · 저자명 : 김창균

    초록

    금산사 〈미륵전〉은 외부는 3층이나 내부는 한 층으로 이루어진 건물로서, 각층마다 ‘대자보전’ ‘용화지회’ ‘미륵전’이라는 다른 이름의편액이 걸려있다.
    장엄 역할의 미륵전 벽화는 법당 출입 창호가 있는 1층과 2·3층정면을 제외하고 외부 1·2·3층 포벽 및 중방벽에 거의 빠짐없이 그려져 있는데, 위치에 따라 소재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각 층별 그림의 주제와 내용을 살펴보았다. 단, 2·3층은 건물 구조상 내부에 그림을 그릴 수 없게 되어 있는데 비해 1층은 내부 포벽에도 그림이 그려져 있어, 1층의 경우는 이를 포함하여 고찰해보았다.
    이와 더불어 각 층별 위치별로 그림솜씨가 약간 다름이 파악되었는데, 이는 곧 시기를 달리 하여 그려졌음을 말해주는 것으로 미흡하나마 벽화에 대한 편년 또한 시도해보았다.
    〈미륵전〉 1층의 경우에는 불도들이 직접 기도하는 공간으로서 내부 포벽에도 나한도를 비롯한 묵죽도와 묵란도, 수묵산수와 화조도등이 그려져 있음을 볼 수 있으며, 중방벽은 건물 정면을 제외한 동· 남·북 3면에 많은 그림이 그려져 있다.
    〈미륵전〉은 『미륵하생경』의 ‘용화삼회’를 바탕으로 하는 미륵하생신앙을 확립하기 위하여 점찰교법을 펼치는 공간인 만큼 큰 의미는하나일 수 있겠다. 그러나 각 층마다 각기 다른 이름의 편액이 걸려있어 층에 따라 성격이 다르며 그림 또한 그에 걸맞게 그려졌다. 즉, 〈미륵전〉은 도솔천에 거주하는 자씨보살께서 석가불이 열반한 이후이 세상에 내려와 화림원의 용화수 아래에서 3회에 걸친 법회를 연후 깨우침을 얻어 미륵부처가 된 다음 중생들을 제도한다는 하생신앙의 완성처를 의미한다고 하겠다.
    미륵전 내외 벽화의 경우 비록 시기적으로는 후대에 조성되었다고할지라도 어느 정도나마 각 층별에 따른 성격을 파악하는데 자료적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고, 포벽과 중방벽의 위치별 그림의 표현기법및 양식특징에 따라 편년설정이 가능했다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영어초록

    Maitreya Hall(彌勒殿) in Geumsan-sa Temple is a building comprised of one storied on the inside and three storied on the outside. Hung on each floor are three inscribed boards of the floors’ titles : Daejabojeon(大 慈寶殿), Yonghwajeehoe(龍華之會), and Mireukjeon(彌勒殿).
    The Murals Painting of Maitreya Hall are drawn on the entirety of its walls, also known as shell walls, found between the pillars of the roof, and on the main walls, also known as middle walls, standing underneath the eaves, except for those on the front sid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loors where the entrance windows and doors are placed. The material of the murals seems to differ by location, so this study examines the subject and contents of each floor’s paintings. However,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floor appears to be impossible to paint due to its architectural structure, and thus remains unpainted, whereas that of the first floor is painted. The paintings on the first floor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ainting techniques on each floor slightly differ, which demonstrates that the murals were drawn in different time period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record the chronology of the murals, albeit in acknowledgement of its limitations.
    The first floor of the Maitreya Hall is a prayer room for temple-goers.
    The shell wall adorns a painting of Buddha’s disciples, and black-and- white ink paintings of bamboos, orchids, landscapes, birds and flowers.
    Many murals are drawn on the east, south, and north sides of the middle wall, except that which is on the front side of the hall.
    Maitreya Hall serves one important purpose: to practice Jeomchal- gyobeop(占察敎法; Buddhist fortunetelling), in order to establish a belief based on Mireuk Hasaeng-gyeong(彌勒下生經) scriptures that Maitreya will come down to the world, become Buddha, and save humankind. However, the floors have different titles and inscribed boards that signify different characters, and the paintings are drawn to match each floor’s character. In other words, Maitreya Hall represents the completion of faith that after Sakyamuni’s nirvana, Bodhisattva will come down to the world from the sky, hold three ceremonies under Yonghwa Tree(龍華樹) in Hwarim Garden(華林園), reach nirvana, become Maitreya, and redeem humankind.
    In the case of mural paintings inside and outside of the Maitreya Hall, even if these were constructed at a later period, their significance as data lies in figuring out the characters of each floor level to a certain extent.
    This study also holds significance that the recording of chronology is possible based on the technique and form of Murals Painting on different locations of shell and middle wal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와 사회(구 불교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