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춘앵전> 춤 자리 연구 (A Study of ‘Chunaengjŏn’s Figured Ma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3.12
22P 미리보기
&lt;춘앵전&gt; 춤 자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춤학회
    · 수록지 정보 : 영남춤학회誌 / 11권 / 3호 / 87 ~ 108페이지
    · 저자명 : 서정록

    초록

    본 연구는 “<춘앵전(春鶯囀)>에서 화문석(席)은 왜 사용되는가?”라는 의문에서 시작 되었다. 『순조무자진작의궤(純祖戊子進爵儀軌)』에 등장하는 상당수의 정재(呈才) 작품들이 당나라와 직간접적으로 연관이 있는데, 이러한 점에 이 당시 정재가 창작될 때, 당나라의 고사에서 영감 받은 <춘앵전>도 당나라의 작품을 재현해 보려는 노력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당나라 춤의 춤 공간은 두보(杜甫)의 작품인 <성서파범주(城西陂泛舟)>과 백거이(白居易)의 <청전장이십운(靑氈帳二十韻)>나 <자지기(柘枝妓)>과 같은 시들에 보인다. 당나라 시대 춤추는 공간의 명칭은 무연(舞筵)이다. 이것은 중동지역과 중앙아시아에서 유래한 것으로 카펫을 의미한다. 중앙아시아 춤 즉 호악(胡樂)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당나라 춤에는 무연(舞筵)이 널리 사용되었으며, 후대에도 무연(舞筵)을 깔고 추는 춤을 당나라 춤의 특징 중 하나로 꼽게 되었다. 그러므로 당나라 춤의 재현을 목적하고 있는 『순조무자진작의궤』정재 창작자는 문헌의 기록을 토대로 무연(舞筵)을 화문석으로 해석하여 창작하였다고 볼 수 있다. 당나라에서 <춘앵전>을 호악(胡樂)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인식하고 있고 여기에『순조무자진작의궤』에서 인용하고 있는 당나라의 <춘앵전> 창작 고사에 보이는 악사(樂士) 백명달(白明達) 역시 중앙아시아 출신이라는 사실에서 이러한 추정에 또 다른 근거가 된다. 이러한 창작 방식의 배경에는 『순조무자진작의궤』정재 제작 당시 조선의 지식인들 사이에 나타난 북학파(北學派)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이며, 이들의 대표적 사고방식이라 할 수 있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정신과 중국과 중국 너머의 세계에 대한 관심이 <춘앵전> 제작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이 당시 창작된 정재들은 문헌의 면밀한 연구를 토대로 제작되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nimated by a curiosity about the dance mat of Ch’unaengjŏn (The Spring Warbler's Song, 春鶯囀). The question is as follows: Most dance pieces in Sunjo Muja Chinjak Ŭigwe(Collection of Royal Protocols in 1828, 純祖戊子進爵儀軌) are related to Tang China. According to the Ŭigwe, Ch’unaengjŏn was also inspired by the story of a Tang court dance, the Chunying Zhuan (The Spring Warbler's Song, 春鶯囀).
    When the creator of the dance made the dance, he consulted many chinese documents such as the Chinese encyclopaedia, Yuanjian leihan (淵鑒類函). When we consider Tang court dances, most dances pieces were performed on a carpet. Famous poems from the Tang period such as Du Fu(杜甫)’s Boating on the Reservoir West of the City (城西陂泛舟), Bai Juyi (白居易)’s Twenty Rhymes of Blue Tent (靑氈帳二十韻), and the Mandarin Melonberry Branch Dancers (柘枝妓) show a carpet utilized for dance, called wuyan (舞筵).
    Wuyan was introduced to China from Persia, Saracen, and Central Asia, which shows the influence Central Asia had on much Tang’s court music and dance pieces. The dances from the Central Asia which were called huyue (胡樂, barbarian music and dance) became popular in China. During this period, the carpet for dance, wuyan was also introduced in China. Later, the carpet for dance, wuyan, became considered as a symbol of the Tang court dance. In addition, the choreographer of Chunying Zhuan, Bai Mingda (白明達, Aqqari Manda), came from Central Asia.
    In this sense, the Korean creator of Ch’unaengjŏn might have come across to these facts through Chinese documents. However, he interpreted the carpet as a figured mat. This way of thinking within Korean traditional dance, which is based on references, can be called “Create the new while do not contradict the spirit of the classics (Pŏbgo Ch’angsin 法古創新)”, which influenced the creation of Ch’unaengjŏn along with an interest in both China and abroad. Through the acknowledgement of these influences, we can see that creation in this period followed a detailed study of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춤학회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