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옥의 열녀전에 나타난 ‘소문’의 서사화 방식 연구 - 「수칙전」과 「협효부전」을 중심으로 - (A Study of Narrative Method of 'Rumors' in Yi Ok's Yeolnyeojeon - Centered on Suchikjeon and Hyeophyobujeon -)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2.12
37P 미리보기
이옥의 열녀전에 나타난 ‘소문’의 서사화 방식 연구 - 「수칙전」과 「협효부전」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98호 / 143 ~ 179페이지
    · 저자명 : 김영미

    초록

    본고는 이옥의 열녀전을 ‘소문’과의 관련성을 통해 살펴보았다. 열녀 이야기는 기본적으로 소문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여성의 열행(烈行)은 내밀한 규방에서 벌어진 일이기 때문에 주변에서는 자세히 알기 어렵다. 누군가가 그것을 전하여 알리지 않는다면 열녀로 칭찬받으며 정려(旌閭)될 수 없다. 이때 ‘전하여 알려지는’ 형태가 ‘인용의 인용’ 방식인 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옥이 소문을 어떻게 활용하여 「수칙전」과 「협효부전」을 서사화하는지 분석해 보았다.
    「수칙전」은 소문이 발생하여 확산되는 과정을 서사화하였다. 일반적인 전(傳)은 서두부에서부터 이미 입전 인물의 대략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수칙전」에서는 이수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서사가 진행됨에 따라 사람들의 궁금증을 계속 지연시키며 끊임없이 호기심을 유발한다. 사람들의 호기심이 결국 소문으로 확산되는데 이 과정에서 이수칙에 대한 정보는 와전(訛傳)되어 전달되기도 한다. 그리고 서사는 소문이 가장 팽창된 지점에 이르러 가장 권위 있는 왕의 공식적인 정보 제공으로 마무리된다. 소문의 속성을 활용한 추리소설적 서사 기법을 운용하고 있는 것이다.
    「협효부전」은 호랑이 이야기를 통해 여성의 열행을 강조한 열녀전이다. 일반적인 열녀전의 열녀들은 어떤 상황에서도 열에 대해 한 치의 흔들림도 없으며, 자신의 감정을 전혀 드러내지 않는 이념적인 여성들이다. 그런데 「협효부전」의 여성은 호랑이를 매개로 서럽게 울음을 토해낸다. 이때 호랑이 설화는 ‘전해진’ 이야기로, 호랑이는 간접인용으로만 전해지는 증명할 수 없는 소문 그 자체이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이 호랑이 앞에서 어떤 감정을 드러내더라도 감정적 여성이라는 혐의를 벗어날 수 있다. 결국 호랑이는 소문의 상징인 동시에 일종의 여성의 감정 투사체 역할을 하고 있다.
    이상으로 정리해 보면, 이옥은 ‘소문’의 속성을 활용하여 소문의 실체를 확인해 나가는 서사를 보여주었다. 또 한편으로 호랑이를 상징화하여 효열 같은 이념으로 감출 수 없는 인간 본연의 감정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s Yi Ok's yeolnyeojeon through its relationship with rumors. Stories of virtuous women are closely related to rumors. Since women's virtuous practice occurs in an inner circle, it is difficult for the public to know in detail about them. Unless it is not orally transmitted, the women cannot be praised in public nor be honored with a monument (Jeongryeo, 旌閭). The 'orally-transmitted' information is rumors which are 'quote of quotation'. This paper analyzes how Yi Ok uses rumors to narrate Suchikjeon and Hyeophyobujeon.
    Suchikjeon narrates the process of spreading rumors. Generally, tales roughly introduce the character of oral transmission from the beginning. However, Suchikjeon does not follow this rule. Instead, it gradually reveals the information of Isuchik as the narrative progresses, which results in maximizing people's curiosity. Eventually, the curiosity causes people to spread rumors, and in this process, the information of Isuchik is misrepresented and transmitted. The narrative ends with the official provision of information from the most prestigious king, at the point wherein the rumors have expanded the most. It adopts a mystery narrative method using rumors.
    Hyeophyobujeon is a yeolnyeojeon which emphasizes women's virtuous practice with a story of a tiger. In general, virtuous women in yeolnyeojeon are ideological women with strong will for preserving virtues under any circumstances, and do not show any emotion. However, a woman in Hyeophyobujeon bursts into tears by the medium of a tiger. In this case, the tiger story is an 'orally transmitted' story, and the tiger is an unproven rumor itself, that is only passed on orally with indirect quotation. Thus, no matter what emotion a woman reveals in front of a tiger, she can be free from being accused of being an emotional woman. In the end, the tiger serves as both a symbol of rumors, as well as a kind of emotional projection of the woman.
    In summary, Yi Ok's narrative reveals the truth about rumors using the attributes of 'rumors'. On the other hand, by symbolizing a tiger, it examines the true meaning of 'cry' which cannot be hidden by filial duty chast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