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丙子胡亂 金化 栢田戰鬪 考察 (A Consideration on Gimhwa Baekjeon(栢田) Combat during the Manchu Invasion of 1636(Byeongjahoran, 丙子胡亂))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5.09
32P 미리보기
丙子胡亂 金化 栢田戰鬪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군사 / 96호 / 251 ~ 282페이지
    · 저자명 : 권순진

    초록

    본고는 병자호란 김화 백전전투에 대한 연구이다. 김화 백전전투는 병자호란시 구 김화현 남쪽의 백전일대에서 벌어진 전투로 용인 광교산전투와 함께 병자호란 2대 승전지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軍과 學界의 관심부족으로 인해 그 전투사가 제대로 조명되지 못한 점이 없지 않았다.
    연구결과 첫째, 전투의 명칭에 관해서는 ‘백동전투’와 ‘탑동전투’또는 ‛김화전투’ 불려져 왔다. 그러나 淸이라는 공동의 적에 대해 兩軍이 인접한 지역 즉 백전 일원에서 치열하게 치러진 전투였음으로 앞으로는 “김화 백전전투”라 칭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전투지역은 각종 고문헌기록을 통해 볼 때 비무장지대 내의 백동/탑동으로 명시하기 보다는 구 김화현의 남쪽 현재 읍내리 백수봉 일원 및 성주고개, 충렬사 일원을 백전전투지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둘째, 홍명구군과 유림군의 방어배치면에서 살펴보면 홍명구군은 산성에 입보하여 수세적 자세를 취하기 보다는 決死의 마음으로 배수의 진을 치고 적극적인 전투를 하겠다는 의지가 강했다고 볼 수 있겠다. 반면 유림군은 유리한 방어진지의 선점과 효과적인 장애물설치 및 사격통제, 기만작전으로 이 전투를 승리로 이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전투지역에 대한 정밀조사가 시급히 선행되어 향후 호국 및 국난극복의 생생한 역사의 현장으로 전적지화 해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is is a study on Gimhwa Baekjeon(栢田) combat during the Manchu Invasion to Choseon(Byeongjahoran, 丙子胡亂). As the Gimhwa Baekjeon combat was a battle that broke out in the whole area of Baekjeon to the south of the former Gimhwahyeon during Byeongjahoran(the Manchu war of 1636), it has been known as the top two combat sites with victory during Byeongjahoran together with the Mt. Gwanggyo combat of Yongin. However, it existed a point that the history of its combat failed to be properly illuminated due to the lack of an interest by both the military and the academic circl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 name of a battle has been called ‘Baekdong combat’, ‘Tapdong combat’, or ‘Gimhwa combat.’ However, it is thought to be likely good to call it as “Gimhwa Baekjeon combat” in the future because of having been the battle that both the armies fiercely fought in the adjacent area, namely, in the whole area of Baekjeon as for a mutual enemy named Cheong(淸). Also, seeing it through many ancient literature records, the battle area is judged to be more appropriate to regard the Baekjeon combat site as the whole area of Baeksubong in Eupnae-ri of the present to the south of the former Gimhwahyeon, and the whole area of Seongju gogae and Chungryeolsa temple, rather than clearly stating it as Baekdong/ Tapdong within DMZ(de-militarized zone).
    Second, examining it in the aspect of the defense deployment in the Hong-myeong-gu army and the Yu-rim army, the Hong-myeong-gu army can be said to have been strong in a will to positively fight with burning the bridges with the desperate mind rather than taking the defensive attitude by entering to be protected by fortress. On the other hand, the Yu-rim army could steer this combat to victory with preoccupying the advantageous defensive position, with installing effective obstacle, with the fire control, and with the deception operation.
    Finally, it is judged to be necessarily made a battlefield as a site of vivid history with patriotism and a conquest for a national crisis by being imminently preceded a detailed investigation on a battle zo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군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