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雲養 金允植의 ‘傳’ 硏究 (A Study on the Unyang(雲養) Gim Yunsik(金允植)’s ‘Jeon’(傳))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7.09
31P 미리보기
雲養 金允植의 ‘傳’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93권 / 123 ~ 153페이지
    · 저자명 : 연민희

    초록

    雲養 金允植(1835~1922)은 구한말 온건 개화파의 중심인물로 격변하는 정세의 중심에 있었던 인물이다. 운양이 활약하던 시대의 조선은 이전의 어느 시대에도 비교할 수 없는 변혁과 전환의 시기였다. 이때, 운양은 정치 개혁의 시무에 핵심적 역할을 했으며, 문학 활동의 이론과 실제 양면에서 높이 평가되고 후세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의 문집으로는 『雲養集』이 있으며, 그가 남긴 대표적인 저술로는 일기인 『陰晴史』와 『續陰晴史』가 있다. 본고는 운양이 저술한 <權兼山傳>, <李元永傳>, <權處士傳>, <金宜煥傳>, <塾師小山先生傳> 등 다섯 편의 전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이 작품의 실상을 분석하여 특징과 의의를 도출하였다. 운양의 전에 등장하는 입전자들은 유협, 악사, 한미한 가문의 선비들이다. 운양은 유협인 권겸산을 통하여 사회의 부조리를 척결하려는 의지를 드러냈으며, 악사인 이원영을 통해서는 예술가로서의 고뇌와 재주의 비범함을 찬양하는 기존의 예인전과는 달리 방탕한 삶을 산 자의 표본으로 예인을 선택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또한 권처사, 김의환, 소산선생을 통해 도덕적 가치를 추구하고, 배운 것을 몸소 실천하는 군자의 모습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이는 당시의 사회상을 입전자들의 삶에 빗대어 묘사하거나, 운양 자신이 지향해야할 삶의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형식면에 있어서는 도입부-행적부-논평부라는 기존의 전통적 전의 양식을 고수함과 동시에 약간의 변화를 주었는데, 이는 입전자의 특성에 따라 다양성을 추구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적절한 대화체 사용은 작품의 생동감과 현장감을 살리거나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동시에 작자의 내면세계를 적절히 드러내는 효과를 내기도 하였다. 때로는 하나의 사건을 가지고 처한 입장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는 인물간의 대비를 통해 인물의 성격과 태도를 매우 선명하게 표현하기도 하였다.

    영어초록

    Unyang Gim Yunsik(1835~1922) was a central figure of the moderate enlightenment group during the last period of Korean empire who witnessed the drastic social change at that time. In the era when Unyang was playing an active role, Joseon was undergoing a period of transformation incomparable to any previous era. At this time, Unyang played a key role in the political reforms, and he was highly esteemed both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literary activities. For this, he is highly regarded and said to have influenced the posterities.
    He left several works including Unyangjip, a collection of his works, Eumcheongsa and Sok Eumcheongsa, both of which are his diaries. In this paper, five tales written by Unyang - Gwongyeomsan jeon [A Tale of Gwon Gyeomsan], Yi Wonyeong jeon [A Tale of Yi Wonyeong], Gwoncheosa jeon [A Tale of a Reclusive Scholar Gwon], Gim Uihwan jeon [A Tale of Gim Uihwan], Suksasosan seonsaeng jeon [A Tale of Mr. Suksasosan] - are analyzed to discover their features and significances. The protagonists from Ungyang's tales are from insignificant social class such as wanderers, musicians and reclusive scholars. With such characters like Gwon Gyeomsan, Unyang revealed his intention to root out the absurdity prevailing in the society. With Yi Wonyong, a musician, he described this artist as a libertine unlike the previous tales praising the agony and the extraordinary talent of artists. In addition, he pursued moral values through characters such as the scholar Gwon, Gim Uihwan, and Mr. Sosan and expressed the life of a gentleman who practiced what he learned. This is to portray the social image of the time, or to represent the ideal life that Unyang himself should have aimed for.
    As for the formation these tales, he adhered to the traditional style with introduction - execution - comment - part and changed it a little, which seems to pursue divers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tagonists. In addition, his colloquial writing style seems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iveliness and sense of presence of those works, to heighten dramatic tension, and to expose the inner thoughts of the author. The personality and attitude of a person are very clearly expressed through the contrast between other characters who are view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in the same ev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