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옥인 소설에 나타난 서술 심급과 이중적 서사 전략 -「후처기」, 「전처기」, 「현실 도피」를 중심으로 (Narrative Agents and Dual Narrative Strategies in Im Ok-in’s Short Stories - Adapting feminist narratology to Writing of Second Wife (「후처기」), Writing of First Wife (「전 처기」) and Escapism (「현실 도피」))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4.08
34P 미리보기
임옥인 소설에 나타난 서술 심급과 이중적 서사 전략 -「후처기」, 「전처기」, 「현실 도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62호 / 142 ~ 175페이지
    · 저자명 : 서은혜

    초록

    임옥인의 일부 소설은 가부장제에 순응적이면서 한편으로 그것의 모순을 비판하는 이중적이고 착종된 시선이 한 작품 안에 공존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이글에서는 바이겔(Sigrid W igel)의 ‘사팔눈의 시선(Der schilende B lick)’, 수전랜서와 보리스 우스펜스키의 관점과 태도로서의 시점이라는 개념을 통해 이러한임옥인 소설의 이중성이 어떤 서사적 장치와 서술심급을 토대로 형성되는지를살펴보았다.
    「후처기」는 자존심 강한 주인공의 내면을 내적 초점화를 통해 상세히 서술하면서 서술자와 인물의 거리가 그 어떤 소설보다도 가깝게 설정되어 있어 독자의 공감을 자아낸다. 그러나 결말부에서 보이는 극단적 정도를 나타내는 수식어구 삽입과 조감자적 초점화자의 위치로의 변화를 통해, 서술자와 인물 사이의 소원함의 거리가 늘어난다. 이는 여전히 전처의 자식에 대해 ‘위험한’ 질투와 경계를 여과 없이 드러내는 주인공이 당시 사회로부터 배제되고 격리될 수밖에 없다는 내포작가의 냉정한 현실 인식이 개입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전처기」 역시1930년대 중후반 여성지 독자들에게 인기 있던 서간체 양식이 사용된 소설로, 수신자인 남편과 발화자인 여성 주인공 사이 ‘복종–멸시’의 양극단의 축을 교차적으로 오가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주인공의 남편에 대한 절절한사랑과 극단적 원망을 교차적으로 전경화–후경화하고, 아이를 낳지 못해 후처를맞이하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졌던 당시 관습에 대한 주인공의 날카로운 비판을수용하고 인정할 수 있는 것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임옥인이 월남 이후 작가, 생활인으로서 안정되던 시기에 발표된 「현실도피」는 권위적 이종제시 서술자의목소리로 추희라는 주인공의 인생 행로를 도피적인 것으로 논평한다. 그러나 그뒤에는 여성에게는 교육 기회를 주지 않거나, 아이를 낳지 못할 경우 받게 되는부당한 대우라는 사회적 배경을 제시하고 있어 그 모순을 독자가 감지하도록 만들고 있다. 또한 결말부에 가서 시종일관 추희를 비판했던 이종제시 서술자가 추희의 말을 사용하는 자유간접화법을 사용함으로써, 서술자의 논평과는 대비되는내포작가의 주제의식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서술심급 설정과 서술자–인물 사이의 유동적 거리 조절을 통해 작가는 젠더 이데올로기의 경계를 넘나드는 여성의 고유한 삶과 감정에 대해 우회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describe dual narrative strategies against patriarchy in Im Ok-in’s several short stories. To describe this phenomenon, I will use serveral academical concepts such as Sigrid Weigel’s Der schilende Blick, Susan S. Lanser and Boris Uspensky’s the point of view as a perspective.
    Writing of Second Wife (「후처기」) was written in order to change social recognition about second wife as a bad mother, and it was also influenced by Choi cheong-hee’s Pulse of the ground (「地脈」). Im use inner focalization in this story and the distance of main character and the narrator is very close. The ending part, however, Im used several adverbs which showed estranged attitude between same character and narrator and change the location of focalizer. It showed recongition of implied author who thought main character who showed jealousy to first wife’s children was likely to be isolated in the end.
    Im used the method of epistolary novel in Writing of First Wife (「전처기」), which was popular in women readers in 1930s. In this story, the intimacy between sender and receiver are fluidly changed along the spectrum of ‘obedience-contempt’, which was shown in Susan S. Lanser’s Narrative Act. It had an effect of making an circuit in criticizing patriarchy, which women who could not preganat being expelled made natural.
    Escapism (「현실 도피」) was published when Im had stable life as an author and as a professor. She used authorial heterodigetic narrator who criticize main character’s choices as am escapism. The story, however, described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such as deprivation of education chance and the role of daughter-in-law. The narrator used free indirect discourse in ending part, implying implied author’s message who agreed main character’s pos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