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초기 禮制 연구와 『國朝五禮儀』의 편찬 (The Study on the Ritual Systems in the Early Chosun Dynasty And the Compilation of 『National Five Rite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0.12
40P 미리보기
조선 초기 禮制 연구와 『國朝五禮儀』의 편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55호 / 41 ~ 80페이지
    · 저자명 : 김해영

    초록

    이 글은 『國朝五禮儀』의 편찬 과정과 편찬에 참용된 예제와 예서, 『국조오례의』 상의 각종 의식의 예제적 연원을 오례 전반에 걸쳐 살핀 것이다. 이로써 『국조오례의』의 편찬물로서의 성격을 밝히는 한편, 지금까지 오례의와 관련해서 이루어진 기존의 연구가 『국조오례의』를 전반적 수준에서 고찰하지 못함으로써 간과하거나 잘못 이해했던 바를 지적하고자 하였다.
    예제에 대한 정비가 ‘오례의’를 편찬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고 이에 따른 制禮 작업이 추진되는 것은 조선왕조에 이르러서였다. 조선왕조는 건국 이후 우선 국가 祀典의 개혁과 정비를 당면 과제로 추진하였고, 그 결과 태종조에 각종 제사 의식과 관련 규례가 일단 정비되었다. 태종조에 정비된 각종 제사 의식과 관련 규례는 오례의 체계에서 보면 길례에 해당되지만 세종조에 착수된 ‘오례의’의 편찬 작업과는 원래 무관한 것이었다. 세종조 찬정의 오례의는 온전한 형태로 『세종실록』에 수록되지 못하고 길례를 제외한 나머지 4례만이 수록되게 되며, 길례 의식과 관련 규례는 태종조 찬정의 것이 수록되게 된다.
    『국조오례의』는 세종조에 찬정된 오례의를 기초로 편찬되었다. 세종조 찬정의 오례의는 편술 체계에 있어서 『通典』(唐, 杜牛 撰)의 禮典을 모방하였으며, 내용면에서도 『통전』, 예전에 재록된 開元禮의 오례 의식을 많이 수용하였다. 그 결과 『국조오례의』 또한 『통전』, 예전과 편술의 체계가 같으며, 『개원례』를 근거로 한 예제가 많이 수용되게 된다.
    조선 왕조의 오례의 편찬 과정에서 참용된 서적은 그 전모를 알 수 없으나, 『통전』, 『문헌통고』, 『의례경전통해』, 『예서』 정도가 중국 송대까지의 각종 예제의 연혁을 비교적 자세히 다루고 있어 많이 활용되었다. 특히 『통전』과 『문헌통고』가 오례의의 편찬에 많이 참고되었으며, 예제 정비와 관련되어 언급되는 각종 서명이나 중국 역대 왕조의 예제는 실제로는 『통전』이나 『문헌통고』의 해당 내용을 차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국조오례의』 서문에 『통전』과 더불어 특별히 서명이 언급된『제사직장』 『홍무예제』『고금상정례』는 실제로 조선왕조의 오례의 편찬에 끼친 영향은 미미하였다. 『제사직장』과 『홍무예제』는 ‘時王의 제도’라는 이유로 중시되기는 하였으나 오례 의주를 ‘詳定’하는 데 소용되기에는 내용이 소략하였다. 『고금상정례』 또한 일부 예제가 참용되기는 하였으나, 지금까지 이해된 바와는 달리, 오례적 구성을 갖춘 편찬물이 아니었고 내용 또한 결함이 많아 실제로는 그다지 참고가 되지 못하였다.
    『국조오례의』와 『세종실록』, 오례를 비교해보면, 길례의의 경우 차이가 현저한 반면에 나머지 4례의는 상당히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세종실록』 오례의 길례의는 나머지 4례의와는 편찬 배경이 다른 데서 기인하는 것이다. 한편 길례의의 경우 개국 초기부터 사전의 개혁이 단행되고 일찍이 태종조에 관련 의식과 규례가 정비되는 등 가장 주력을 쏟았던 예제였던 때문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국조오례의』 상의 길례의는 나머지 4례의에 비해 조선왕조 특유의 의식과 규례를 비교적 많이 지니게 된다.

    영어초록

    The objective of this writing is to look into the compiling process, the related ritual systems and reference books of 『National Five Rites(國朝五禮儀)』, and the selection background of those five ritual ceremonies in 『National Five Rites』.
    It was in the reign of Sejong that Chosun Dynasty decided to make 'five rites' to meet the needs of reorganization of the traditional ritual systems. After the foundation of the country, the dynasty had been promoting the reform and revision of national sacrificial rites as its urgent problem, and finally, completed it in the Taejong period. The national sacrificial rites, which were revised in the reign of Taejong, were put on 『Sejong Annals(世宗實錄)』, being categorized as congratulatory rites in terms of Five Ritual systems, but they had no relation with the compilation of the 'Five Rites' which began in Sejong. And we need to note the fact that the congratulatory rite, one of the five rites in 『Sejong Annals』, wa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four rites. It was written in a different time and had a different background of compilation.
    'Five Rites' of Chosun Dynasty was compiled in the same way that Lye Jeon(禮典) part among the 『Tong Jeon(通典)』 was compiled, and the contents of the five ritual ceremonies on the contents of the Lye Jeon were much used for the 'Five Rites' which was published in the Sejong period. As a result of that, many example rites from 『Gae Won Lye(開元禮)』 are now seen in 『National Five Rites』. It is not known that how many or what kinds of books were referred to for the compilation of 『National Five Rites』, but such books as 『Tong Jeon』, 『Mun Heon Tong Go(文獻通考)』, 『Eui Lye Gyung Jeon Tong Hae(儀禮經傳通解)』, and 『Lye Seo(禮書)』 are considered as main sources for 'Five Rites' in the Chosun period. Out of those books, especially 『Tong Jeon』 and 『Mun Heon Tong Go』 are thought to have been mostly used.
    Though 『Je Sa Jik Jang(諸司職掌)』, 『Hong Mu Lye Je(洪武禮制)』, 『Go Geum Sang Jeong Lye(古今詳定禮)』 were referred to along with 『Tong Jeon』 in the preface of 『National Five Rites』, they were actually not so much helpful in compiling 『National Five Rites』. 『Je Sa Jik Jang』,and 『Hong Mu Lye Je』 were considered important as 'present emperor's laws', but they were not so elaborated as to be used as the samples for detailed items of 『National Five Rites』. Similarly, example rituals in 『Go Geum Sang Jeong Lye』 were not much used because of its different editing system from 『National Five Rites』 and its poor contents.
    When we compare 『National Five Rites』 with 'Five Rites' in 『Sejong Annals』, we can see that while the contents concerning the congratulatory rites in the two books are very different, those of the other four rites are rather similar to one another. It is because the congratulatory rite part of 『Sejong Annals』 had a different compilation background, and because unlike the congratulatory rite, the other four rites had little friction with the previous coustoms. On the contrary Chosun primarily concentrated on the congratulatory rite through the reform and reorganization of relevant ceremonies and regulations. That was why the congratulatory rite on 『National Five Rites』 could relatively keep its unique style.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