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금산사 『제반문』의 ‘거영산작법절차’ 연구* (A study on ‘Geoyeongsanjakbeopjeolcha’ in Jebanmun of Geumsansa)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3.06
38P 미리보기
금산사 『제반문』의 ‘거영산작법절차’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사연구 / 23호 / 355 ~ 392페이지
    · 저자명 : 설동철

    초록

    1694년에 간행된 금산사 『제반문』의 擧靈山作法節次는 영산작법을거행하는 절차이며, 영산작법은 대중이 함께 법화경을 독송하는 節 次로, 이때 경전을 설해줄 會主(說主)를 모시는 의식이 거영산작법절차이다.
    금산사 『제반문』에는 거영산작법절차 이전에 혼령을 맞이하는 영혼식(迎魂식)이 편제되어 있는데, 이것은 영산작법이 해당 혼령에게경전을 들려주는 데 목적이 있음을 보여준다.
    18세기 초반 『범음산보집』은 금산사 『제반문』의 이전 시대부터 일어난 변화를 반영하여, 거영산작법절차가 괘불이운과 설주이운으로 분화되었으나 그 형식과 절차에는 개선될 점이 적지 않다. 괘불이운을 하면서 登床偈·坐佛偈·獻座偈 등을 하는 것, 說主가 괘불을설치한 법상에 오르면 인사하는 것은 가능하나, 登床偈를 하고 다시獻座偈를 더하는 것은 屋上屋이라고 할 수 있다. 또 괘불의 붓다에게 등상게를 하는 것도 적절한 행위라고 할 수 없다.
    금산사 『제반문』의 거영산작법절차는 以前의 『오종범음집』의 설명을 일부만 수용하여 당시 현실을 반영하고 있는데, 괘불이운 대신금산사 『제반문』의 거영산작법절차를 복원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영어초록

    ‘Geoyeongsanjakbeopjeolcha(擧靈山作法節次)’ in Jebanmun(諸般文, outline of Buddhist Rituals) of Geumsansa(Geumsan Temple) published in 1694, is the procedure for performing Yeongsanjakbeop(靈山作法, the rule of conduct for Vulture Peak ritual)’. Yeongsanjakbeop is the procedure by which the public recites Saddharmapuṇḍarīka Sūtra(法華經, The Lotus Sutra) together, for which the ceremony to welcome the master who will preach the sutra is Geoyeongsanjakbeopjeolcha. Jebanmun of Geumsansa organizes the ceremony to welcome the spirits(迎魂式) before Geoyeongsanjakbeopjeolcha, which shows that Yeongsanjakbeop aims to tell the spirits the scriptures. Beomeumsanbbojip (the collection of Brahma voice) in the early 18th century, reflected the changes that occurred from the time before Jebanmun of Geumsansa was published.
    Geoyeongsanjakbeopjeolcha was divided into carrying the Buddhist scroll painting and carrying the master, but there are not a few things to be improved in its formality and procedure. It is acceptable to chant the gāthā for going up onto the dharma table, the gāthā for seating the Buddha, and the gāthā for offering a seat while carrying the Buddhist scroll painting, and to say hello when the master goes up onto the dharma table where Buddhist scroll painting is put. But it should be redundant to add the gāthā for offering a seat to the gāthā for going up onto the dharma table. Also, it cannot be appropriate to chant the gāthā for going up onto the dharma table to the Buddha statue in the Buddhist scroll painting.
    Geoyeongsanjakbeopjeolcha in Jebanmun of Geumsansa reflects the reality at that time by accepting only part of the explanation from the previous Ojongbeomeomjip (五種梵音集, the Collection of the five kinds of the Brahma voice). It is necessary to restore Geoyeongsanjakbeopjeolcha in Jebanmun of Geumsansa instead of carrying the Buddhist scroll painting.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