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예제 폐지에 관한 연구 -영국의 경우- (A Study on the Abolition of Slavery in Englan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3.07
43P 미리보기
노예제 폐지에 관한 연구 -영국의 경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민주법학 / 52호 / 143 ~ 185페이지
    · 저자명 : 강경선

    초록

    이 논문은 영국에서의 노예제 폐지를 주제로 한다. 영국은 1807년에는 노예무역을, 1833년에는 노예제를 폐지하였다. 이것은 미국보다 약 30년 앞선 일이다. 노예제 폐지는 자유와 평등이라는 민주주의의 발달과 깊은 관계를 맺는다. 대서양노예무역은 중상주의를 배경으로 한다. 유럽의 강국들이 각국의 재정을 풍부히 하기 위해서 무한경쟁하는 그 원리 속에 노예제와 노예무역이 성립했다. 노예와 관련해서 후발국가였던 영국은 1660년 왕립아프리카회사를 세우고 노예무역에 관한 독점적 거래권을 부여한다. 그런데 1688년의 명예혁명과 권리장전을 거치면서 군주의 권한은 약화되고, 의회의 지위가 향상된다. 군주의 대권에 기초한 무역독점권은 의회법에 근거를 두지 않았다는 이유로 법원에 의해 불법으로 선언된다. 이와 동시에 아프리카회사는 의회에 독점무역을 승인하는 입법권을 청원한 반면, 이제까지 불법시된 자유무역상인들은 이를 저지하는 청원을 의회에 제기한다. 이렇게 의회는 독점무역이냐 자유무역이냐에 관한 논쟁의 중심이 된다. 많은 시민들을 기초로 하는 의회는 당연히 자유무역 쪽으로 기울게 되고 독점무역은 종료하게 된다. 그리고 18세기 자유무역과 함께 영국의 노예무역은 전성기를 맞는다. 이 기간 중에 도덕에 입각한 노예제 반대의 목소리는 파묻혀 있었다.
    미국의 독립혁명과 함께 영국에서 잠복하고 있던 노예반대운동이 점화되었다. 미국의 독립선언이 담고 있는 인간의 자유와 평등과 같은 인권선언을 기초로 식민지에서 주권국가로 독립했다는 것 자체가 노예에서 자유로의 이행을 상징하였다. 사람이 사람을 지배할 수 없다는 것이 자명한 진리로 대두되면서 노예제가 반시대적 유물이라는 것이 폭로되었다. 프랑스에서 혁명이 발발하고 노예제를 일시 철폐한 것과 아이티가 최초의 흑인 공화국으로 독립하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이와 같은 시대변화를 배경으로 민주주의와 인권의 선진국으로 자부했던 영국에서 노예폐지운동이 본격화된다. 이 기간 퀘이커 등 교회들, 시민들, 교수, 문인, 일반시민, 여성, 아이, 그리고 노예였던 흑인들까지 포함하는 범국민적 노예반대의 의식과 정서가 형성된다. 자유주의가 입헌주의와 인권선언에까지 도달하기 시작한 이런 대중의 열망을 반영해서 의회도 마침내 1807년 노예무역을 폐지하고, 1833년에는 노예제도 자체를 폐지하기에 이른다. 여기에도 자메이카의 노예해방운동의 조짐과 1832년의 선거권 확대를 통한 보통선거의 진전이라는 국민주권과 민주주의 발달이 개재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abolition of slavery in Britain, where the abolition of the slave trade and slavery respectively took place in 1807 and 1833. The British abolition went ahead of USA for about 30 years. The ending of slavery has deep relation with development of democratic values, especially freedom and equality. The Atlantic trade and the slavery system took roots under the principle of unlimited competition to secure whatever makes each country wealthier in the age of European mercantilism. The Royal African Company got the charter in charge of trade and forts from the king in 1660. From the Glorious Revolution on, through the Bill of Rights, the status of the king went on the decline whereas that of the Parliament was upwards. The monopoly right of the African Company was declared unlawful by the Lord Chancellor on the ground that the privilege of the company was based not on the statute of the Parliament but on the prerogative of the king which was no more valid. The Company then tried to make petitions the Parliament to enact a rule for it. Other traders(interlopers) wanted the House to do nothing for the Company. The Parliament stood at the center of the arguments between two parts. The Parliament undoubtedly took sides with the interlopers because it is the representative organ of the people not of the king or the noble. As a result, the monopoly of the Company came to an end. From that time forwards, the slave trades in England went on the peak. The voices of the anti-slavery resultantly were overwhelmed by the cheers of the traders who got high profits during that period.
    Anti-slavery movement got activated by the American Revolution.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he French Revolution which declared the freedom and the equality expedited the movement of the abolition in England. Quakers and churches, universities, writers, citizens, women, children, and even the ex-slave blacks, felt sense of anti-slavery in common. Reflecting the nationwide aspirations for the abolition, the Parliament, under the initiative of William Wilberforce, at last abolished the slave trade in 1807. The Parliament advanced to come to a full period to the slavery in 1833. The plan to emancipate slaves in Jamaica and the revision of the Act of the Parliament to expand the right of vote in 1832 made way easy for the abolition. In sum, democracy made possible the abolition of the slave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