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표법 제119조 제1항 제2호의 부정사용 판단에서의 역혼동의 적용 문제 - 특허법원 2021. 10. 8. 선고 2020허5597 판결에 대한 비판점을 중심으로 - (Problems on Applying Reverse Confusion for Determining Use for Unlawful Purposes in Article 119 (1) 2 of the Trademark Act -Focusing on Criticism of Patent Court Decision 2020Heo5597 Decided October 8)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1.12
32P 미리보기
상표법 제119조 제1항 제2호의 부정사용 판단에서의 역혼동의 적용 문제 - 특허법원 2021. 10. 8. 선고 2020허5597 판결에 대한 비판점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과 기업 연구 / 11권 / 3호 / 233 ~ 264페이지
    · 저자명 : 정태호

    초록

    최근에 특허법원에서 선고된 특허법원 2020허5597 판결(이하, “대상판결”이라 함)은 상표법 제119조 제1항 제2호에서의 사용권자의 부정사용에 의한 취소심판 사건을 다루었다. 그러나 이 사건이 역혼동과 관련된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대상판결에서는 이에 대해서 구체적인 판단을 하지 않았다. 대상판결의 사안은 국내에서 선행 상표권자가 먼저 상표등록을 받고 사용한 이후에 후행 상표사용자가 국내에서 상표를 사용하여 자신의 사용상표에 대한 인지도를 취득한 것이었다. 그런데 대상판결은 국내의 수요자들이 선행 상표권자의 사용권자가 사용한 상표를 후행 상표사용자의 상표로 혼동을 일으키는 상황만 고려할 뿐, 이에 관한 역혼동을 고려하지 않고 상표법 제119조 제1항 제2호에서의 부정사용에 의한 취소심판 사건의 판단을 하였다. 기존에는 상표등록의 무효심판 사건과 상표권 침해 사건에 관해서만 국내에서 관련 판결이 존재하여 대상판결에 관하여 역혼동 적용 문제의 검토 필요성이 더욱 필요하다고 보인다.
    특허법원에서의 대상판결은 역혼동을 구체적으로 고려하지 않은 판단을 하였으므로, 이에 관하여 대법원은 역혼동을 구체적으로 고려한 판결을 선고해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외국의 글로벌 기업이 후발적으로 자신의 상표를 국내에 진입시켜 그 인지도에 의해 국내의 중소기업의 선등록상표의 실효성을 상실시키고 사실상 상표등록의 취소를 통한 중소기업의 상표의 탈취행위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대법원은 역혼동을 고려하여 상표법 제119조 제1항 제2호에 관한 판단 법리를 판시해줄 필요가 있다.
    결국 상표법 제119조 제1항 제2호에서의 부정사용에 의한 취소심판 사건에서 역혼동을 고려한 판단 법리를 대법원이 판시해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대상판결에 대한 상고심인 대법원 2021후11209 사건은 매우 중요한 케이스라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Patent Court decision 2020Heo5597(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he subject decision”), which was recently sentenced by the Patent Court, dealt with the case of a trial for cancellation of trademark registration based on the licensee’s use for unlawful purposes in Article 119 (1) 2 of the Trademark Act. However, even though this case was related to reverse confusion, the subject decision did not make a specific determination on it. In the case of the subject decision, the preceding trademark right holder first obtained trademark registration and used it in Korea, and then the subsequent trademark user used the trademark in Korea to acquire recognition for his own trademark. By the way, the subject decision only considered the situation in which domestic consumers confuse the trademark used by the licensee of the preceding trademark right holder with the trademark of the subsequent trademark user and made the decision of a trial for cancellation of trademark registration based on the licensee's use for unlawful purposes in Article 119 (1) 2 of the Trademark Act without considering the reverse confusion in this regard. Previously, relevant decisions exist only in cases of trademark registration invalidation trials and trademark right infringement in Korea, so it seems necessary to further review the issue of reverse confusion application for the subject judgment.
    Since the subject judgment in the Patent Court did not specifically consider reverse confusion, it is necessary for the Supreme Court to make a decision that specifically considers reverse confusion. In particular, foreign global companies may later enter their own trademarks into Korea and make domestic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lose the effectiveness of the pre-registered trademarks due to their recognition and in fact it may lead to the thef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rademark through the cancellation of trademark registration. In order to prevent such a situation, the Supreme Court needs to judge the Legal principles for application of Article 119 (1) 2 of the Trademark Act in consideration of reverse confusion.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the Supreme Court to decide on the the Legal principles in consideration of reverse confusion in the case of a trial for cancellation of trademark registration based on the licensee's use for unlawful purposes in Article 119 (1) 2 of the Trademark Act. Therefore, the Supreme Court 2021Hu11209 case, which is the final appeal against the subject decision, can be considered a very important ca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과 기업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