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식학의 三性ㆍ三無性觀 ―圓測의 『해심밀경소』 제4품ㆍ제5품을 중심으로― (The Perspective of Vijñaptimātratā concerning Three Properties and Non Three Properties Oriented with Fourth and Fifth Chapter of the Commentary of Saṃdhinimocana-sūtra by Wŏnchǔk)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4.02
29P 미리보기
유식학의 三性ㆍ三無性觀 ―圓測의 『해심밀경소』 제4품ㆍ제5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69권 / 161 ~ 189페이지
    · 저자명 : 김명실

    초록

    유식학의 삼성설에서 변계소집상은 언설에 의한 착각과 집착의 세계를, 의타기상은 識과 연관된 연기의 세계를, 원성실상은 본래적인 깨달음의 세계를 나타낸다. 삼무자성은 무아ㆍ무자성 공의 진정한 취지를 나타내기 위해서, 삼성에 갖추어진 이면의 무자성을 나타낸 것으로 각각 상무자성, 생무자성, 승의무자성이다. 삼성ㆍ삼무성관은 유식학적 공관과 중도설의 재천명, 전식득지의 구조적 원리 제시, 了義의 제3 법륜 ― 법상종의 삼시교판의 근거가 된다.
    원측은 『해심밀경』의 삼성ㆍ삼무성설을 해석함에 있어서, 방대한 경론의 내용을 인용하여 그가 평소 지향했던 중관과 유식의 和會, 新ㆍ舊 유식의 융합 차원에서 해석하였다. 또한 여러 유식경론에서 다르게 설명되는 삼성설을 크게 所執雜染不倒門과 所執緣生不變門의 둘로 분류하여 회통하였다.
    이 경전에서 원성실상은 凝然不作의 성격이 아니라 무루 유위법이 포함된다. 圓測은 무위법이 진여ㆍ열반을 모두 포섭하여 변이하지 않으므로 원성실상이라 하고, 유위법은 모든 聖道를 다 포섭하여 경계에 전도되지 않으므로 원성실상이라고 해석하였다.
    또한 변계소집상과 의타기상 관찰은 가행위에서 四尋思와 四如實智를 짓고, 원성실상 관찰은 十地 분상에 있다고 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Three Properties and Non Three Properties of vijñaptimātratā school oriented with the fourth and fifth chapter of the Commentary of saṃdhinimocana-sūtra which is written by Wŏnchǔk. Considering the theory of Three Properties in vijñaptimātratā school parikalpita-lakṣaṇa represents the realm of illusion and desire induced by language, paratantra-lakṣaṇa represents the realm of dependent along with mind and parinispanna-lakṣaṇa represents the world of intrinsic enlightenment. Non Three Properties exposes the attributes of asvabhāva hidden in the background of Three Properties so as to reveal the true object of emptiness in selflessness, on the otherhand Aasvabhāva. are composed of utpatti-niḥsvabhāvatā, lakṣaṇa-niḥsvabhāvatā, and paratanta-niḥsvabhāvatā. The viewpoint of Three Properties and Non Three Properties is a re-elucidation of the perspectives of śunyata and Middle Way and also is regarded as a suggestion of structured principle of Attaining Wisdom by Conversion of Mind. It eventually provides the foundation of Doctrinal Classification of Three Temporal Division of Fa xiang zong(法相宗) which is the third Dharma Wheel of Ultimate Knowledge.
    Wŏnchǔk annotated the Three Properties and Non Three Properties of vijñaptimātratā quoting the contents of vast scriptures, and as a result he, as he used to insist, suggested the integration of new and old Trend of vijñaptimātratā scho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