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CISG 제79조와 Hardship : 최신 CISG 자문위원회 의견 제20호를 중심으로 (CISG Article 79 and Hardship :Focusing on the CISG AC Opinion No. 20)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1.07
37P 미리보기
CISG 제79조와 Hardship : 최신 CISG 자문위원회 의견 제20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거래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거래법연구 / 30권 / 1호 / 155 ~ 191페이지
    · 저자명 : 김규진

    초록

    이 논문에서 필자는 CISG의 대표적인 면책 조항인 제79조와 hardship의 관계에 대한CISG 자문위원회의 최근 의견인 제20호 의견을 자세히 검토하고 그 타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작업을 위해 먼저 각국 국내법제와 국제통일규범상 발견되는 hardship 법리에 대해 알아보았고, 그 후 CISG 제79조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CISG 제79조의 ‘이행장애’라는 개념에 hardship이 포함되는 것인지의 여부는 입법 당시부터 문제가 되던 쟁점이었으나이에 대한 명확한 결론 없이 제79조가 제정되었다는 점과 그로 인해 현재까지도 논란이 계속되고 있음을 알아보았다. 이에 더하여 해당 쟁점에 대한 CISG 자문위원회 의견 제7호와제20호의 내용을 알아보았고, 특히 제20호 의견에 대해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제20호 의견은 문제가 되는 쟁점에 대해 상당히 명확한 결론을 제시한다. 즉, CISG 제79 조 상의 ‘이행장애’에는 hardship이 포함되며, hardship에 관련한 쟁점에 관해서 CISG 상의흠결은 없으므로 그 적용요건과 효과는 모두 전적으로 CISG, 특히 CISG 제79조 만을 적용하여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론에 기초하여 제20호 의견은 CISG가 적용되는계약의 경우 hardship을 이유로 하여 계약 수정이나 재협상이라는 구제수단은 결코 허용 받을 수 없다는 결론을 피력한다.
    제20호 의견은 CISG 제79조와 hardship의 관계에 대한 자문위원회의 공식 입장을 제7호의견에서보다 더욱 명확하게 발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진술로 보이나 필자는 해당의견의 결론에 동의하기 어렵다. 특히 제20호 의견에서 언급하는 hardship은 해당 의견을미루어 보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hardship 개념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개념으로 보이므로, 이 의견은 오히려 hardship에 관한 한 CISG에는 내부적으로 치유하기는 힘든 흠결이있다는 결론을 반증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필자는 CISG에는 hardship에 관한 한 흠결이 존재하고, 그러한 흠결은 CISG 제7조 제2항 등에 근거하여 PICC hardship 조항 등을적용하여 해결하거나, 혹은 아예 CISG 개정을 통해 별도의 hardship 조항을 두어 해결하는것이 옳다고 결론지었고, 앞으로 CISG의 개정 논의가 있는 경우 이 점이 활발하게 논의되기를 희망하며 논문을 마무리 하였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latest official opinion of the CISG Advisory Council, Opinion No. 20,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cle 79”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CISG”) and “hardship”. For this purpose, I first looked into the hardship doctrines found in domestic laws and international uniform laws. Then I looked into Article 79 of the CISG, focusing on its legislative history and also the academic discussions on its applicability to the hardship situations. In addition, the contents of Official Opinion No. 7 of the CISG Advisory Council was examined. Lastly, I reviewed and critically analyzed the Official Opinion No. 20 of the CISG Advisory Council.
    The Opinion No. 20 offers a fairly straightforward answers to the two problems often discussed: (1) whether Article 79 can be applied to hardship situation, or, put it in another way, whether the term “impediment” in Article 79 includes the concept of “(economic) hardship” and (2) if the term impediment includes the concept of hardship, then what remedies can be allowed to a party suffering from a hardship under Article 79. In summary, Opinion No. 20’s position is that Article 79 clearly applies to hardship situations and that the only remedy available for hardship under the CISG is that allowed under the article, that is, the exemption from the liability of damages. Opinion No. 20 is especially clear about its position that contract renegotiation or adaptation is not available remedy of hardship for the CISG contracts.
    Acknowledging the fact that Opinion No. 20 provided us with clear answers to the so far much debated issues, I found that it is difficult to agree with the conclusion of the Opinion.
    First, while the Opinion bases its conclusion that no gap exists regarding the remedies for the hardship in the CISG on the proposition that Article 79 applies to hardship, the very issue of the applicability of Article 79 to the hardship situation is still debatable. Secondly, Opinion No. 20 seems to overlook the evident fact that the concept of “hardship” developed under various hardship doctrines is inherently different from the concept of force majeure, which is essentially the same as the “impediment” of Article 79. In my opinion, what CISG Advisory Council actually wanted to claim in Opinion No. 20 was that they do not wish to allow hardship doctrine to be applied to the CISG contracts. Although the decision might be warranted in terms of policy, it must go through the revision of the CISG, not through its interpretation. Until the revision of the CISG clearly reflecting such policy, I believe the gaps can be seen in the CISG regarding the issues related to hardship, and that those can be cured according to Article 7(2) of the CISG or other relevant provis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