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벽골제의 기능 (The Function of the Byeoggolj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8.02
17P 미리보기
벽골제의 기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문화 / 58호 / 113 ~ 129페이지
    · 저자명 : 김주성

    초록

    이 논문은 벽골제가 초축 당시부터 고려 후기에 이르기까지에는 방조제로서 기능하였다가 고려 후기 이후에는 저수지로 기능이 변화하였다는 점을 집중 논증하였다. 이를 요약하는 형식으로 맺음말에 대신하고자 한다.
    벽골제로 추정할 수 있는 진표 사료의 대연진에 살고 있었던 용의 존재를 주목해 보았다. 대연진의 용은 벽골제 단야낭자 전설에 나오는 용과 일맥상통하였다. 대연진의 용은 8만권속을 거느리면서 진표의 금산사 창건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 이런 용이라면 벽골제를 수호하는 용이라기보다는 차라리 더 넓은 서해바다를 지키는 용이었다고 추정하였다.
    이렇게 벽골제와 해양을 관련지으면서 백제부흥전쟁기의 피성 사료에 나오는 ‘深泥巨堰’을 주목하였다. 거언은 벽골제이며, 심니는 해안에서부터 거언에 이르는 지역에 걸쳐 뻘 밭이 널리 퍼져 있었던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다음으로 벽골제의 외양 중 원성왕대에 반원형으로 수축되었던 곳을 주목하였다. 이곳은 벽골제 중에서 제내의 수압을 많이 받는 곳으로, 직선 형태에서 반원형 형태로 수축되었다. 제외의 조류압력은 일정 주기로 반복되고 있었으나, 제내의 수압은 항시적으로 작용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문성왕대 청해진 사람들을 벽골군으로 이주시킨 것은 바닷물에 익숙한 청해진 사람들의 도움이 벽골제의 수축에 필요로 했다고 보았다. 이렇게 벽골제가 방조제로 기능을 하다가 고려 후기에 들어 저수지로 기능을 바뀌게 된다. 그것을 삼국유사 에 실린 수전기록을 통해 확인해 보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Byeoggolje functioned as a seawall in the period from the time of the erection to the late Goryeo period, and it's function changed to the reservoir after the late Goryeo period. I would like to summarize it in the form of a summary.
    I have noticed the existence of a dragon who lived in Dae Yeon-jin of the historical record about Jinpyoe. The grand lake can be presumed to be the Byeoggolje. The dragon of Dae Yeon Jin was in sync with the dragon that appeared in the legend of the Danya. Dae Yeon-jin's dragon has been helped in the founding of the temple Geumsan with 80,000 servants. It was supposed that this dragon was a dragon to protect the wider sea of the western sea rather than a dragon to defend the grand lake.
    In connection with Byeoggolje and the sea, we have paid attention to the "a mound surrounded by moss" in the Piseong historical record of the Baekje revival war. The great bank was byeoggolje, and the deep mud was widespread throughout the area from the coast to the bank. Next, I noticed the place where the half-circular shape of Byeoggolje was contracted at the King Wonseong. This semicircular shape was intended to withstand the internal water pressure. Secondly, the immigration of Cheonghaejin in the King Munseong to Byeoggol provance seemed to require the help of the people who were familiar with seawater to the repair of Byeoggol.
    In this way, the Byeoggolje functioned as a seawall, and it changed functions as a reservoir in the late period of consideration. I checked it through the paddy field record in the Samgug-yusa .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