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학아카이브와 제주도 무형유산 자료의 구축 (Establishing the Jeju Studies Archives and Jeju Intangible Heritage Material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0.04
32P 미리보기
제주학아카이브와 제주도 무형유산 자료의 구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무형유산학회
    · 수록지 정보 : 무형유산학 / 5권 / 1호 / 161 ~ 192페이지
    · 저자명 : 좌혜경

    초록

    제주특별자치도는 2011년 8월 12일에 제주학연구센터를 설립하고 2011년 10월 11일부터 제주연구원 부설기관으로 자리잡아 제주학을 통한 지역사회 발전과 학술 진흥에 이바지하고자 했다.
    제주학연구센터가 개원 초기부터 관심을 둔 것은 제주학 관련 연구물의 체계적인 수집과 DB화 그리고 보존 관리 및 제주학아카이브시스템 활용을 통한 제주학의 대내외 홍보였다.
    제주학아카이브의 활용은 학자나 일반인 대상으로 제주학 정보를 공유함과 동시에, 학문적 자료 제공, 웹사이트를 이용한 자료 제공으로 제주학 자료의 통합 교류 및 글로벌화와 같은 제주학 자료 활용을 통한 부가가치 상승으로 지식 자산화에 두고 있다.
    현재 구축된 자료 중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자료는 제주도 무형유산에 관한 자료들로서, 예를 들면 제주해녀, 제주민요, 제주무속, 또는 당, 본풀이인 신화와 같은 것이라고 생각된다.
    제주무형유산의 글로벌화(globalization)는 지방이 세계화에 조응하고 대응하기 위한 지역학의 설립과 목적에도 부합된다고 할 것이다. 가장 지역성이 강한 자료는 지역민의 정신이 담긴 무형유산 자료로 지역의 정체성이 잘 담겨있기도 하다.
    지역의 공동체의 문화로 아이덴티티가 강한 자료들은 문화다양성의 측면에서 세계화가 가능한 자료들이고, 이는 지역의 독자적인 문화가 세계 속에서 가치를 인정받고 그에 대한 대응으로 지역단위에서의 지역화(glocalization)를 위한 논리개발이 요청되어 지역문화를 학제적으로 체계화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기도 하다.
    이 글은 제주도 무형유산의 글로벌 유산으로서의 자료적 가치를 인정하고, 현재 아카이브 구축 실태를 파악하여, 차후 제주학아카이브가 제주도 무형유산의 플렛폼의 역할을 담당하고 제주도 무형유산의 지속보전을 위한 자료 구축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established the Center for Jeju Studies on August 12, 2011, and an affiliated organization to Jeju Research Institute was founded on October 11, 2011, to contribute to local community development and academic promotion through Jeju Studies.
    From its opening, the Center for Jeju Studies has focused on systematically collecting research materials relating to Jeju Studies and establishing a database for them, alongside preserving, maintaining, and promoting them at home and abroad through the utilization of the Jeju Studies Archives System.
    The Jeju Studies Archives allows scholars and the public to share information on Jeju Studies by providing academic materials and more through the website. Its purpose lies in integrating, exchanging and globalizing Jeju Studies materials alongside the assetization of knowledge through Jeju Studies-related material utilization and additional value increase.
    The materials that can be utilized most effectively among those established include Jeju intangible heritages such as Jeju haenyeo, Jeju folk songs, and Jeju shamanic rituals, shrines, and their narrative myths.
    Globalizing Jeju intangible heritages accords with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studies and the goal of regions to correspond and respond to globalization. Intangible heritage materials most strongly embody regionality, the spirit of local people, and fully represent the identity of the region. Materials imbued with local culture as well as people’s identity can be globalized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Therefore, locally distinctive cultures can be recognized around the world and this makes it necessary to develop the logic for the glocalization of the materials and to systemize local cultures in an interdisciplinary fash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material value of Jeju intangible heritages, identify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archive establishment, and propose plans for future utilization with the hope that the Jeju Studies Archives can be positioned as an established space for materials for the sustainable preservation of Jeju intangible herit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무형유산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