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크라취와 킨트호이저의 추상적 위험범론 (Abstrakte Gefährdungsdelitke bei Kratzsch und Kindhäuse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3.09
22P 미리보기
크라취와 킨트호이저의 추상적 위험범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40권 / 3호 / 123 ~ 144페이지
    · 저자명 : 안수길

    초록

    추상적 위험범은 법익을 해칠 위험이 전무한 행위에도 형벌을 부과할 위험을 내포하고 있어서 비례원칙・책임원칙에 어긋날 소지가 크다. 그럼에도 추상적 위험범은 여론의 지지를 받는 “공격적인 형사정책을 펴는 사람들”의 “좋은 무기”로 상용되고 있다. 비유하자면, 추상적 위험범은 형법이론에서는 ‘애물’이지만 형사정책에서는 ‘총아’인 것이다. 이 어색한 간극을 해소하려면 추상적 위험범의 레종 데트르(raison d’être)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그러한 탐색을 수행해 온 학자 대다수는 추상적 위험범이 비례원칙・책임원칙에 위험을 야기한다는 사실을 인정하고서 그 위험을 감쇄하기 위해 추상적 위험범을 제한적으로 해석하거나 그 유용성을 강조하는 길을 택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주류에서 벗어나 추상적 위험범은 비례원칙・책임원칙과 상충하지 않으며 따라서 그 사정권을 축소하거나 그 정당성을 예외적으로만 시인할 필요는 없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디트리히 크라취(Dietrich Kratzsch)와 우어스 킨트호이저(Urs Kindhäuser)를 들 수 있다. 두 학자는 추상적 위험범의 필요성이나 유용성만 부각하는 피상적인 논거를 넘어서서 형법의 불법론을 근본적으로 성찰함으로써 추상적 위험범의 존재 근거를 확보하려 한다. 이 글에서는 두 학자의 불법론과 그에 기초한 추상적 위험범론을 ― 김영환 교수가 계승하는 전통적인 ‘자유주의적 법치국가’ 사상에 기초하여 ― 분석・평가해 보았다.

    영어초록

    Abstrakte Gefährdungsdelikte sind heute zum Lieblingskind des Strafgesetzgebers geworden. Zwar lässt sich kaum bestreiten, dass sie eine legitime Ausdrucksweise des Strafrechts sind. Dass sie aber in Konflikt mit dem Schuldprinzip geraten können, kann man auch nicht leugnen. Heftig diskutiert wird daher, ob und inwieweit sie sich legitimieren lassen. Um diese Frage zu beantworten, bestreben sich Kratzsch und Kindhäuser, die herrschende Unrechtslehre umzugestalten und dadurch nach neuen Ansätzen zu suchen, die abstrakte Gefährdungsdelikte rechtfertigen können. Einerseits behauptet Kratzsch, das Strafrecht müsse darauf zielen, Unrecht möglichst effektiv zu bekämpfen und damit Rechtsgüter möglichst lückenlos zu schützen. Dann hält er es für richtig und nötig, abstrakte Gefährdungsdelikte aktiv einzusetzen, um den Zufall zu beherrschen, der die Verwirklichung des optimalen Rechtsgüterschutzes verhindert. Andererseits geht Kindhäuser davon aus, dass Strafrechtnormen nur dann materiell legitimiert werden können, wenn sie als “Selbstzwecknormen” ausgestaltet werden. Anschließend deutet er abstrakte Gefährdungsdelikte als Selbstzwecknormen, die es verbieten, die zur sorgelosen Verfügung über Güter notwendigen Sicherheitsbedingungen zu beeinträchtigen. In diesem Artikel habe ich die neuen Unrechtslehren von Kratzsch und Kindhäuser, die abstrakte Gefährdungsdelikte verteidigen, unter die Lupe genommen und untersucht, ob sie die herrschende Unrechtslehre, die abstrakte Gefährdungsdelikte bezweifelt, ersetzen können und soll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2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