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손룡자(公孫龍子)』해석의 제문제(諸問題) 비판 (A Critical Study of Interpretations by Various Scholars of “Gongsunlongzi.”)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2.03
22P 미리보기
『공손룡자(公孫龍子)』해석의 제문제(諸問題) 비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63권 / 309 ~ 330페이지
    · 저자명 : 강지연

    초록

    본고는 『공손룡자(公孫龍子)』 해석이론 중 주목받고 계속 논의되던 이론 중 그레 이엄(A,C Graham), 핸슨(C. D. Hansen), 모종삼(牟宗三), 노사광(勞思光)의 해석론의 한 계를 드러내고 비판하고자 했다. 그레이엄(A.C.Graham)의 ‘전체-부분’이론을 따를 때 변 비불변(變非不變)명제를 해석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그는 공손룡(公孫龍)이 ‘전체-부분’ 관계를 ‘종류와 속성’ 관계로 오해했다고 본다. 이런 해석 방식에서는 공손룡 이 「백마론(白馬論)」에서 “백마비마(白馬非馬)”, “백마유마(白馬有馬)”를 부정하고, 「통변 론(通辯論)」에서 “이유일(二有一)”을 부정한 것에 대해 설명할 수 없게 된다.
    핸슨(Hansen)의 경우에는 “백마비마(白馬非馬)”, “백마마야(白馬馬也)”, 이 두 명제가 동시에 모두 참인 명제로 가능하다 본다. 그런데 “백자필백(白者必白)” 논제를 비재질화(非材質化), 추상화의 해석을 하지 않고 해석할 방법이 없다. 이 때 백을 모두 핸슨(Hansen)식으로 재질화하여 해석할 경우 이런 문제가 발생한다.
    모종삼(牟宗三)의 경우, “백마비마(白馬非馬)”논제에서 ‘비(非)’를 ‘다르다’고 해석하고 “백마비마(白馬非馬)”에서 ‘비(非)’는 반대관계와 부등관계를 의미한다고 본다. 그런데 그의 ‘류(類)’ 이론은 풍우란의 공상론(共相論)과 결정적으로 어떤 차이점을 가지는지, 이것에 관한 설명이 불분명하다.
    마지막으로 노사광(勞思光)은 지(指)를 ‘류(類)’로 해석해야 된다고 말한다. 그 의미는 “하나의 개체는 반드시 한 종류에 속해야 된다.”라고 본다. 이 경우 「통변론(通辯論)」에서 이미 “류(類)” 라는 단어가 출현했는데, 왜 「지물론(指物論)」에서 ‘지(指)’라는 단어로 ‘류(類)’개념을 대신했는지 이 문제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그는 「견백론(堅白論)」에서 석(石)은 ‘속성’으로, 견(堅), 백(白)은 ‘류(類)’ 명으로 보면서 실체와 속성으로 구분한다. 그런데 실체와 속성은 일종의 주종(主從)관계인데, 이것으로 두 공상 간의 병렬 관계를 비판할 수 있는지,그것이 의문이다. 이것은 ‘류(類)’, 집합론적 해석의 일반적 문제라고 본다.
    이런 비판은 자연스럽게 풍우란(冯友蘭)의 이론에 대한 재조명으로 나아간다. 풍우란의 ‘공상론(共相論)’은 그동안의 많은 비판에도 불구하고 나름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종합해보면 청대 이후 많은 학자들이 『공손룡자(公孫龍子)』에 대한 의견이 분분했지만 여전히 심원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은, 풍우란(冯友蘭)의 ‘공상(共相)론’을 꼽아야 한다고 본다. 이 점을 고려할 때, 아직까지도 그의 학설은 간단히 평가될 수 없다.

    영어초록

    Over the years, serious attention along with the resulting hot debate has been given to the works of interpretation by various scholars of “Gongsunlongzi.”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show and criticize some limitations found in theories of interpretation of Gongsunlongzi by A. C. Graham, C.D. Hansen, Mao Zongsan, and Lao Siguang.
    Following Graham’s part-whole interpretation of the White Horse Dialogue, we are bound to fail in interpreting the “bianfeibubian” proposition. Further, Graham seems to adopt the position that Gongsun Long misunderstood the whole-part relationship as pertaining to the kind-attribute relationship. By contrast, Chad Hansen views the two propositions that are seemingly contradictory to each other: “a white horse is not a horse” and “a white horse is a horse (baima ma-ye)” as truths simultaneously. Notwithstanding this distinctive peculiarity, this interpretation is problematic in that we have no alternative way of interpreting the “the whiteness should be white” except to interpret the proposition in the non-stuff or stractification terms. This line of interpretation appears problematic when following the Hansen’s way of reducing all universals to stuffs.
    Mao Zongsan interprets the “fei” of the “baimafeima” differently and sees the White Horse Dialogue as pertaining to the relationship of exclusion or inequality between types. However, Mao’s theory of “kinds” fails to demonstrate how different his theory is from Fung Youlan’s theory of “gongxiang (universals)”Lao Siguang argues that “zhi (meaning “finger", “pointer", “concept” or “to indicate”) should be interpreted as referring to “kinds. (lei)” His point is that one individual should belong to its kind. However, his argument fails to answer the question of why the word “zhi” seems to replace the concept of “kinds (lei)” in the discourse on “Zhi and Wu” given that the word “kinds(lei)’ already appears in the discourse on “Tongbian.”All the foregoing critiques indeed lead us to reassess Fun Youlan’s theory. We cannot dismiss his theory just because there have been many criticisms leveled against his theory in the past in that his theory seems to have its own merits. In view of the foregoing, still Fung Youlan’s theory of “gongxiang” remains to be seminal and persuasive to some degree in the matter of interpretation of Gongsunlongz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