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 저작권법 제29조 제2항, 제76조의2 및 제83조의2에서 규정하는 ‘판매용 음반’의 개념과 의미 (A Study on the Concept and Meaning of ‘Commercial Phonograms’ in Article 29(2), 76bis and 83bis of the former Korean Copyright Act)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6.12
30P 미리보기
구 저작권법 제29조 제2항, 제76조의2 및 제83조의2에서 규정하는 ‘판매용 음반’의 개념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보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정보법학 / 20권 / 3호 / 111 ~ 140페이지
    · 저자명 : 박성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구 저작권법 제29조 제2항, 제76조의2, 제83조의2의 법적 특성과관련 논의들을 검토하면서 이들 조항에서 규정하는 ‘판매용 음반’의 개념과 의미를 살펴보는데 있다. 판매용 음반의 개념과 의미는 우리 저작권법에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서 특히 제29조 제2항에서 저작재산권자의 공연권 제한과 제76조의2 및 제83조의2에서 저작인접권자의 공연권 제한과 관련하여 그러하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음반’ 과 ‘판매용 음반’의 의미에 관한 국제조약에서의 논의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그런데 우리 대법원 판결은 ‘스타벅스 사건’, ‘현대백화점 사건’, ‘롯데하이마트 사건’에서 ‘판매용 음반’의 개념과 의미에 대해서 서로 엇갈린 판결을 내놓은 바 있다.
    ‘스타벅스 사건’과 ‘롯데하이마트 사건’에서 대법원은 판매용 음반이란 시중에 판매할 목적으로 제작된 음반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제한하여 해석하였음에 반하여, ‘현대백화점 사건’에서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서비스되는 음원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이든 판매를 통해 거래에 제공된 것을 판매용 음반이라 해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국제조약에서 규정하는 ‘판매용 음반’의 개념에 비추어 저작권의 제한에 관한 구 저작권법상 제29조 제2항, 제76조의2, 제83조의2에서 규정하는 판매용음반은 모두 동일한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점을 규명한다. 아울러 대법원이 ‘스타벅스 사건’이나 ‘롯데하이마트 사건’에서 판매용 음반을 시판용 음반으로 축소 해석한 것은 제29조 제2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부득이 하게 선고된 일종의 ‘사례판결’ 이라 할 것이므로 저작권법 시행령 제11조를 개정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영어초록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cept and meaning of ‘phonogram published for commercial purpose’ (hereinafter ‘commercial phonogram’) by evaluating the existing arguments and legal characteristics of Article 29(2), 76bis and 83bis of the former Korean Copyright Act (hereinafter ‘FKCA’). The concept and meaning of ‘commercial phonogram’ is very important in the scope of the copyright and the related right.
    Therefore, this paper also reviews the international treaties pertaining to the meaning of ‘phonogram’ and ‘commercial phonogram’. Article 29(2) of FKCA provides that commercial phonogram may be played back for the public, if no fee is charged to the audience, except in the case as set forth by Presidential Decree. Article 76bis and Article 83bis of FKCA provides that any person who gives a public performance by making use of a commercial phonogram shall pay a reasonable remuneration to the performers and producers of phonograms. Korean Supreme Court’s decisions, however, did not show a consistent interpretation about the concepts of commercial phonogram. While Korean Supreme Court held that Starbucks which made phonograms to perform in each Starbucks franchise for commercial purpose could not enjoy copyright limitation delineated in the Article 29(1) of FKCA because the phonograms have never been sold to the public, the same Supreme Court held that the performers and producers of phonograms have a right to receive reasonable remuneration from the Hyundai Department Store because it performed publicly by making use of commercial phonograms in its store. The Court saw phonograms as a tangible matter such as CD in ‘Starbucks’ case. But the same Court saw that phonograms mean digital sound recording stored on computer DB system.
    This paper considers whether Korean Supreme Court’s interpretation of ‘phonogram’ and ‘commercial phonogram’ is in accordance with the definition of Rome Convention and WPPT. This perspective is needed to give the over-all view of copyright limitations(Article 29(2), 76bis, 83bis) which each cases surrounding commercial phonogram may not provide.
    In conclusion, this paper interprets systematically the concept of ‘commercial phonogram’ provided in Article 29(2) is identical to ‘commercial phonogram’ provided in Article 76bis and 83bis. This paper also emphasizes the necessity of the revision of Presidential Decre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보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