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증산 전승에 나타난 도교사상 수용과 재전유 (Acceptance and Reappropriation of Taoist Thought in the Tradition of Kang Jeungsa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4.09
30P 미리보기
강증산 전승에 나타난 도교사상 수용과 재전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75호 / 217 ~ 246페이지
    · 저자명 : 나권수

    초록

    본 논문은 증산사상과 도교사상 간의 유관성을 고찰하고, 나아가 증산사상에 도교사상이 거부감 없이 수용된 기저를 추적함으로써 강증산 전승에 나타난 도교사상을 보다 입체적이고 본질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 증산의 사상체계에 수용된 도교사상 연구는 이능화의 비판적 관점, 이강오의 천지공사에 관한 도교적 설명, 김홍철의 선우위적 견해, 김탁의 등위적 논점, 정재서의 도교사를 통한 전사적 접근, 고남식의 대순사상 내에서 종단 무극도의 도교적 성격 고찰 등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선행 연구는 증산의 도교 수용을 전제하고 그의 사상체계에 드러나는 도교적 요소의 축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증산이 수용한 도교적 요소의 성격 분석, 증산사상에 내재한 도교사상의 연원 추적, 선우위 혹은 유불선 등위라는 수용 비중의 문제, 증산교단의 도교사상 재전유 양상 및 비교 등은 아직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특히, 증산의 도교사상 수용 배경에 관한 논의는 미진하다. 종래에 논의되어 온 주제들은 증산의 도교사상 수용을 일단 상정한 후 그에 따라 표출된 제양상들을 다루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에 앞서 증산은 ‘왜 도교를 비중 있게 수용하였는가’에 대한 연구 작업은 심도 있게 논구되지 않았으며, 그 이해도 아직 선명하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은 증산의 도교사상 수용 배경에 대한 이유를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증산의 종교적 세계관을 도교 경전 『태평경』에 나타난 해원을 통해 고찰함으로써 증산사상과 도교사상의 공통분모를 도출한다. 이어서 증산의 도교사상 재전유 양상을 점복신앙, 참위신앙, 권선서신앙을 중심으로 설명하여 증산의 도교사상 수용을 민중의 호응과 교화의 수단에서 찾는다. 이러한 연구는 증산의 도교 수용에 대한 배경을 규명하는 작업으로 증산사상을 보다 입체적이고 본질적으로 이해하는 데 일조할 것이며, 아울러 한국 신종교사상의 고유성을 드러내는 초석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aoist thought in the Kang Jeungsan tradition in a three-dimensional and essential way by examining the connection between Jeungsan thought and Taoist thought and by tracing the basis of the acceptance of Taoist thought in Jeungsan thought. Previous studies of Taoist thought within the Jeungsan thought system have been summarized in Lee Hyung-hwa’s critical perspective, Lee Kang-oh’s explanation of heaven and earth as a Taoist act, Kim Hong-cheol’s view of pre-eminence, Kim Tak’s view of hierarchy, Jeong Jae-seo’s holistic approach to Taoism, and Ko Nam-sik’s examination of the Taoist character of the endless mukyodo within Daesoon thought. Thes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Jeung San’s acceptance of Taoism and the expulsion of Taoist elements from his thought system. However, there remained a need to analyze the nature of the Taoist elements that Jeung San embraced, trace the origins of Taoist ideas in his thought, address the proportion of his embrace of the superiority or inferiority of the virtuous and the unvirtuous, and compare and contrast the reappropriation of Taoist ideas in his sect. In particular, the background of the acceptance of the Tao Te Ching statue by the Jeungshan sect was underdeveloped in the current literature. Previous discussions have addressed the assumption of the acceptance of the Taoist statue and the manifestations that followed. However, the question of why Jeung San embraced Taoism so heavily had not been explored in depth and was not well understood.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reasons behind Jeung San’s acceptance of Taoist thought. Specifically, it examined his religious worldview through the explanations given in the Taoist scriptures 『태평경』 and drew out the common denominators between his thought and Taoist thought. By explaining the reappropriation of Taoist thought by Jeungsan thought, and by centering on the Jumbok, True Wealth, and Kwonseonseo faiths, this study found Jeungsan’s acceptance of Taoist thought to be a means of responding to the people and edifying them. This study contributed to a more three-dimensional and essential understanding of Jeungsan thought by identifying the background of Jeungsan’s acceptance of Taoism. The study findings serve as a cornerstone for revealing the uniqueness of Korean new religious thou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