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랑스 최초의 한인단체 ‘在法韓國民會’ 연구 (A Study on the First Korean National Association in Franc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7.11
34P 미리보기
프랑스 최초의 한인단체 ‘在法韓國民會’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60호 / 133 ~ 166페이지
    · 저자명 : 김도형

    초록

    제1차 세계대전이 종결되면서 전후 처리를 위한 강화회의가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되었기 때문에, 3·1운동 전후 유럽지역 한국독립운동의 중심지는 파리가 될 수밖에 없었다. 1919년 4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성립과 동시에 파리강화회의에서 외교활동을 펼치기 위한 기관으로 파리위원부가 창설되었다. 파리위원부에서는 강화회의에 참석한 열강들을 상대로 우리민족의 독립을 호소하는 외교 선전활동을 펼쳤다. 파리위원부는 유럽 각국 정치가들과 사회단체·언론기관을 대상으로 선전활동을 펼쳤고, 또한 한국통신국을 설치하여 선전책자를 발간하는 등 유럽지역에서 활발한 외교활동을 전개하였다.
    1919년 10월 러시아 북해 무르만스크(Murmansk)에 있던 한인 노동자 500명 가운데 200명이 영국 에딘버러(Edinburgh)에 오게 되었다. 영국에 온 한인 노동자 200명은 파리위원부에 자신들을 구제해 줄 것은 요청하였다. 이에 서기장 황기환을 파견되어 영국 외무부와 협상을 하여 그 가운데 35명을 프랑스로 데리고 오게 되었다.
    프랑스에 온 한인 노동자들과 유학생들은 파리 동쪽에 있는 마른(Marne)도 쉬이프(Suippes)라는 곳에서 ‘재법한국민회’라는 프랑스 최초의 한인단체를 결성하게 된다. 재법한국민회는 그동안 두 가지의 역사적 사실 때문에 주목을 받았던 단체이다. 첫 번째는 재법한국민회의 주요 구성원들이 러시아 북극해의 무르만스크에서 영국 에딘버러로 왔고, 다시 프랑스로 들어왔다는 특이한 역사적 사실 때문이다. 두 번째는 재법한국민회 소속의 한인 노동자들이 노동을 통해 힘들게 번 돈의 대부분을 파리위원부의 외교활동을 위해 열성적으로 지원하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최초로 결성된 한인단체인 ‘재법한국민회’에 대한 역사적 사실이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재법한국민회의 주요 구성원인 무르만스크에서 온 한인 노동자들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프랑스에 오게 되었는가를 역사적으로 밝혔다. 프랑스에 온 한인 노동자들은 러시아 시베리아지역에서 노동을 하다가, 볼세비키 혁명과 제1차 세계대전에 휘말려 북극해의 끝자락인 무르만스크까지 와서 철도회사에서 잡역을 하였다. 그후 제1차 대전이 종결되면서 500명의 한인 노동자들은 영국군에 소속되어 노동을 하다가, 그 일부인 200명이 영국 에딘버러로 오게 되었다. 파리위원부에서는 에딘버러에 있던 한인들을 모두 프랑스로 데리고 오려고 하였지만, 중간에 일본이 개입되어 그 일부인 35명만을 데리고 올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그 후 10여 명이 합류하면서 50명 안팎의 한인 노동자들은 프랑스에 와서 전후 수선공사에 투입되어 힘든 노동에 종사하게 되었다.
    재법한국민회는 결성된 직후인 1920년 3월 1일 쉬이프에서 3·1독립선언 기념식을 개최하게 되었다. 기념식에는 유럽 각지에서 활동하던 한인들이 참석하였을 뿐만 아니라, 파리위원부 관계자들과 조소앙이 참석하였다. 그리고 재법한국민회에 소속되었던 대부분의 한인 노동자들과 유학생들도 기념식에 참석하여, 3·1독립선언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독립운동을 위한 결의를 다졌다.
    재법한국민회의 활동 가운데 역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은 역시 파리위원부를 지원하는 것이었다. 파리위원부가 선전 책자를 발간하고 또 각국의 정치가·언론인 등을 대상으로 외교활동을 펴기 위해서는 많은 자금이 필요로 했다. 이때 파리위원부가 필요한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한 것은 재법한국민회에 소속되었던 한인 노동자들이었다. 이들은 대부분 힘든 노동에 종사하지만 파리위원부의 독립운동 후원에도 적극 동참하였던 것이다. 1920년 당시 6개월 동안 6천 프랑의 거액을 파리위원부에 독립운동 자금으로 제공하였던 것이다. 재법한국민회 소속의 노동자들은 독립운동 자금으로 수입의 상당 부분을 파리위원부에 제공하였다. 이는 당시 국외 어느 지역에 있는 한인들보다도 독립운동을 위해 많은 자금을 바쳤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Since the First World War ended, the Paris Conference for post-war treatment was held in Paris France, and the center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Europe before and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was forced to become Paris. In April 1919, 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 Paris was formed as an agency for diplomatic activities at the Paris Conference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 Paris has carried out a diplomatic propaganda campaign to appeal for the independence of the Korean people against the enthusiasts who participated in the Paris Conference. 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 Paris conducted propaganda activities for politicians, social organizations and media organizations in Europe, and also established the Bureau of Information for the Republic of Korea(Paris) to publish propaganda books and conducted active diplomatic activities in Europe.
    In October 1919, 200 of the 500 Korean workers in Murmansk, came to Edinburgh, England. 200 Korean workers who came to the UK requested that they rescue themselves to the 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 Paris. Hwang Gi-hwan, the secretary, was dispatched to negotiate with the British Foreign Office, bringing 35 of them to France.
    Korean workers and Korean students from France will form the first Korean National Association in France, called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in France,” in Marne, East of Paris, at Suippes. It is an organization that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due to two historical facts. The first is due to the unusual historical fact that the main members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in France came to Edinburgh from the Arctic Ocean of the Russian Arctic Ocean and back to France. The second reason is that the Korean workers belonging to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in France have enthusiastically supported most of their hard-earned money through labor for the diplomatic activities of the 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 Paris. Nonetheless, the historical facts about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in France’, the first Korean organization to be established in France, have not been established.
    Historically, it has been revealed how Korean workers from Murmansk, who are the main members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in France, came to France. Korean workers in France worked in the Siberian region of Russia, then came to Murmansk, the end of the Arctic Ocean, engaged in the Bolshevik Revolution and World War I, and were handled by the railway company. After the end of the First World War, 500 Korean workers were working in the British Army, and 200 of them came to Edinburgh, England. The 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 Paris tried to bring all of the Koreans in Edinburgh to France, but inevitably Japan had to intervene and bring only 35 of them. And then 10 people joined, and about 50 Korean workers came to France to engage in post-war repair work and engage in hard labor.
    On March 1st, 1920, immediately after the formation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in France, the March 1st Independence Declaration Ceremony was held at Suippes. The ceremony was attended not only by Koreans from all over Europe, but also by the members of the 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 Paris and the Jo So-Ang. Most of the Korean workers and students who were members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participated in the ceremony and reaffirme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Declaration and made a commitment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It is also the support of the 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 Paris that has the most important historical significance among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in France. A lot of money was needed to publish diplomatic activities for politicians, journalists and other countries. At this time, it was the Korean workers who belonged to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in France, Most of them were engaged in hard labor, but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sponsorship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 Paris. In the 1920s, during the six-month period, they provided a huge sum of 6,000 francs to the 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 Paris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Workers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provided much of their revenues to the 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with the aid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t can be said that it provided much more money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than the Koreans in other regions. Because of this historical fact, the reality of the reincarnated Korean National Association must be reveal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