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진한(秦漢)시기 좌사(佐史)에 대한 재고찰 (Rethinking Zuoshi of the Qin and Han Period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3.05
36P 미리보기
진한(秦漢)시기 좌사(佐史)에 대한 재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논총 / 80권 / 2호 / 63 ~ 98페이지
    · 저자명 : 김지은

    초록

    ‘좌사(佐史)’는 사료상 ‘좌’(佐)·‘사’(史) 혹은 ‘좌사’로 병칭되어 표기된 경우도존재한다. 이런 이유로 종래 연구자들 역시 ‘좌사(佐史)’인지, ‘좌’·‘사’인지 명확하게 구분·구별하지 않고 혼용해서 사용하였다. 우선 본고에서는 ‘좌사’는 관질 체계에서 최하층의 ‘좌’·‘사’를 포함한 동일한 질록(秩祿)을 받는 ‘하급 관리군’을 총칭할 때 사용된 용어임을 확인하였다. 즉, ‘좌사’는 별도로 존재한 것이 아니며, ‘좌·사’로 구분·구별해야한다는 것이 필자의 기본 입장이다. ‘좌’·‘사’는 현리(縣吏) 중 최말단에 배치된 질(秩) 이 같으며, 직무에서도 상호 유사한 사례들이 곳곳에서 확인된다. 하지만 첫째, ‘좌’의 자격 조건은 법률상 성인을 뜻하는 ‘장’(壯)일 뿐이지만, ‘사’의 자격 조건은 사자(史子)의신분으로서 일정한 학습 기간을 거친 이후 시험의 합격이 전제되어야 한다. ‘좌’의 직무는 ‘좌’자의 의미대로 상급관인 색부의 보좌인 반면, ‘사’의 직무는 ‘사’자의 의미처럼 문서의 기록 및 작성에 해당한다. 셋째, ‘좌’는 색부의 보좌라는 구체적인 ‘직’이 있는 리원이지만, ‘사’는 ‘직’이 없는 ‘자격’·‘자격 소지자’로서 ‘리’가 아니다. 바로 ‘직’과 ‘자격’이라는 차이점 때문에 ‘좌’·‘사’는 비록 동질이지만, 표기할 때는 습관적으로 ‘좌’가 ‘사’보다 선행되거나, ‘좌’가 ‘사’보다 상급처럼 보이기도 했던 것이다. 하지만 시험을 통해 취득한 ‘자격’·‘자격 소지자’의 의미를 가진 ‘사’는 결코 쉽게 획득할 수 있는 자격이 아니었다. 따라서 문서 행정이 발달하고, 문서의 처리량이 증가함에 따라 세습제에 의해 임용되던 ‘사’만으로는 행정상의 수요를 감당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런 이유로 ‘사’의 성격에도 변화가 발생해 전한 중기 이후부터 ‘사’는 종래 ‘자격’의 의미와 함께 저급 식자능력의 유무 표현할 때도 사용되게 된다.

    영어초록

    “Zuoshi” (佐史) is sometimes written as “Zuo” (佐) and “Shi” (史) or “Zuoshi” (佐史) in historical records. For this reason, conventional researchers have also used the term interchangeably without clearly distinguishing whether it is “Zuoshi”(佐史) or “Zuo” (佐)·“Shi” (史).
    First of all, this article confirms that the term “Zuoshi” (佐史) is used to refer to a group of ‘lower-level officials’ who receive the same zhilu (秩 祿), including the lowest-level “Zuo” (佐)·“Shi” (史) in the bureaucratic system. In other words, it is my basic position that “Zuoshi” (佐史) do not exist separately and should be categorized and distinguished as “Zuo” (佐) and “Shi” (史). There are many similarities in the duties of the “Zuo” (佐) and “Shi” (史) prefectural officials, who are the last of the prefectural officials. First, however, the qualification for the position of “Zuo” (佐) is only zhang (壯), which legally means an adult, while the qualification for the position of “Shi” (史) is the status of a shizi (史子), which requires passing an examination after a certain period of study. The duties of a “Zuo” (佐) are to be an assistant to a superior officer, “Shefu” (嗇夫), in the sense of “Zuo” (佐), while the duties of a “Shi” (史) are to record and create documents in the sense of “Shi” (史). Thirdly, while “Zuo” (佐) is an official with a specific ‘job title’ as an assistant to the “Shefu” (嗇 夫), “Shi” (史) is a ‘qualification’ or ‘qualification holder’ without a ‘job title’ and is not an official. Be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position" and “qualification”, although “Zuo” (佐) and “Shi” (史) were equivalent, “Zuo” (佐) was habitually written before “Shi” (史) or “Shi” (史) seemed to be more senior than “Shi” (史), when writing. However, “Shi” (史), which means ‘qualification’ or ‘qualification holder’, was never an easy qualification to obtain through examinations. Therefore, as document administration developed and the amount of documents processed increased, “Shi” (史), which was appointed by the hereditary system, could not handle the administrative demands. For this reason, the nature of “Shi” (史) also changed, and from the middle Han period onwards, “Shi” (史) was used to express the presence or absence of low-level literacy skills alongside its traditional meaning of ‘qualif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