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익산 왕궁성 구조에 대한 고고학적 재검토 (An Archaeological Study on Re-Examining the Structure of Iksan Royal Palac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4.06
25P 미리보기
익산 왕궁성 구조에 대한 고고학적 재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77권 / 92 ~ 116페이지
    · 저자명 : 소재윤

    초록

    익산 왕궁성은 백제 무왕 대 익산 천도설 등과 관련하여 거론되는 백제 궁성 유적이다. 익산 왕궁성은 그간 발굴조사를 통하여 궁성의 규모와 축조기법, 그리고 다양한 공간적 성격들이 규명되어 백제 궁성으로서 위상을 더하게되었다. 그러나 왕궁성 중축선을 중심으로 위치한 핵심지역이 궁성단계에서 사찰단계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원형의상당부분이 파괴되었다고 보고되면서 백제 사비기 궁성의 원형은 어떤 모습인지 가늠하기 어렵게 되었다.
    하지만 발굴조사된 결과를 면밀히 살펴보면, 궁성 핵심지역에 위치한 금당지와 강당지가 사찰단계에 새롭게 조성되었을 가능성은 매우 희박해 보인다. 오히려 금당지와 강당지로 추정되는 건물지는 궁성 남문에서부터 이어지는남북 중축선상에 정확히 위치하며, 건물 기단토 내 출토유물과 축조기법면에서도 백제 궁성 침전 건물로써 손색이없어 보인다. 백제 건축공법을 통해 보면, 궁성 내 백제 침전은 후에 금당지와 강당지로 재활용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인다.
    이러한 고고학적 재해석은 금당지 전면에 위치한 목탑지와 관련하여 선대유구와 장방형건물지도 재검토가 필요함을 말해준다. 이 유구들은 궁성에서 백제 사찰인 대관사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일부 궁성 건물을 훼손하고 목탑지(선대유구와 추정 목탑판축층)와 부속건축물(건물지3)로써 시차를 두고 조영된 것으로 여겨진다.
    익산 왕궁성 전반부 공간은 대형건물지가 중국의 태극전과 동일한 성격의 건물로 추정됨에 따라 뒷편에 위치한동서석축1을 기준으로 외조(外朝)와 내조(內朝)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내조는 크게 중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공간과동편의 공간으로 구분된다. 왕궁성 중축선과 대칭되는 우편에는 보조축선이 확인되어 장랑식 건물과 남북석축시설등을 따라 별도의 부속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적 구분은 익산 왕궁성의 중축선이 궁성에서 서편향된점과도 관련지어 볼 수 있다. 특히 1동 2실 내벽건물은 내조 침전을 중심으로 남편과 동편에 감싸듯이 배치되어 있어 편전 기능을 담당한 건물로 여겨지며 침전을 지원하는 부속건물들과 더불어 배치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익산 왕궁성 전반부는 중축선에 위치한 건물군과 부속공간 및 정원 등으로 이어지는 이분된 공간 구조를 갖추고있어 중국 도성 중 남조 건강성(台城)과 상당히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남조는 백제가 웅진으로 천도한 후 밀접한관계를 유지하던 왕조이었기에, 익산 왕궁성의 건축적 영향은 남조의 중심지인 남경 건강성에서 우선적으로 찾아봐야 할 것이다. 또한 외조의 평면 형태는 태극전을 정점으로 한 ‘凸’자형 공간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익산 왕궁성 이후에 축조된 일본 전기 나니와궁과도 비교검토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Iksan Royal Palace is a site of the ruins of a palace from Baekje, which is mentioned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capital relocation to Iksan during the reign of Muwang in Baekje. So far, excavation research has revealed the scale, construction techniques, and various spatial characteristics of Iksan Royal Palace and added to the palace’s status as one of the important royal palaces in Baekje.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at it originally looked like in the period during which Sabi was the capital in Baekje, as it was reported that a key area around the royal palace’s mid-axis line was destroyed during its transition from the palace phase to the temple phase.
    Nonetheless, a closer review on the excavation results shows that it is very unlikely that the sites of the geumdang (main hall) and gangdang (preach hall) located in the key area of the palace were newly constructed during the temple phase. Instead, the sites of the buildings suspected to be geumdang and gangdang are located exactly on the north-south mid-axis line, which runs from the southern gate of the palace, and they are good enough to serve as chimjeon (king and queen’s bed chambers) in the royal palace in Baekje, considering the excavated artifacts under the soil of its foundation as well as its construction techniques. Based on construction techniques used during Baekje, it seems very likely that chimjeon in the royal palace in Baekje may have been repurposed later as geumdang and gangdang.
    This archaeological reinterpretation suggests that previous architectural ruins and the site of a rectangular building should be re-examined in relation to the site of a wooden pagoda located in front of the site of geumdang. It is believed that these ruins were constructed as the site of a wooden pagoda (previous architectural ruins and the presumed rammed earth layer for the wooden pagoda) and an annex structure (Building Site 3) some time after some royal palace buildings were destroyed during its transformation of the palace into Daegwansa, a temple during Baekje.
    Spatially, the front half of Iksan Royal Palace is divided into the outer and inner areas based on the east-west stone facility 1 located in the back, as the site of a large building is speculated to be of the same nature as Taiji Dian (Hall of the Supreme Principle) in China. The inner area is spilt into two: the space centered on the midaxis line and the space on the east side. On the right, which is symmetrical to the mid-axis line of the royal palace, the annex axis line is identified, and therefore, it can be categorized as a separate annex space along the long gallery-style building and the north-south stone facility. This spatial division can also be related to the findings that the mid-axis line of Iksan Royal Palace is leaned west from the palace. In particular, a Building with two Rooms is considered to have functioned as a place for the king to normally stay, as it was arranged as if it were wrapped on the south and east. It is also speculated that it was arranged with annex buildings supporting chimjeon.
    The front half of Iksan Royal Palace has a bifurcated spatial structure of buildings located on the mid-axis line and annex spaces and gardens, which is quite similar to Jiankang, one of the walled cities during the Southern Court in China. Since Southern Court was a dynasty that maintained close ties with Baekje after the Baekje’s relocation to Woongjin, it would be worth investigating Jiankang, the center of the Southern Court, to find its architectural influence on Iksan Royal Palace. Moreover, as the planar form of the outer area is thought to be a 凸-shaped space with Taiji Dian as the apex, it would be necessary to compare Iksan Royal Palace with Naniwa-kyo during its initial period in Japan, which was built after Iksan Royal Pal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