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怨歌」의 재해독과 문학적 해석 (Translation of and its Literary Interpret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0.01
52P 미리보기
「怨歌」의 재해독과 문학적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34권 / 34호 / 221 ~ 272페이지
    · 저자명 : 박재민

    초록

    本考는『三國遺事』에 수록된 10句體 향가 <원가>를 文證을 통해 해독하고 문학적 의미를 덧붙인 결과물이다. 어학적 해독 결과 중, 주요한 것을 각 句별로 추리면 다음과 같다.


    1句. ‘物叱好支’는 ‘갓 됴’으로 읽힌다. 의미는 ‘物 중에서 가장 좋은’.
    2句. ‘爾屋攴’에 대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온 바 있으나, 이는 양주동의 ‘이우러(시들어)’에서 이미 올바로 해독된 곳임을 확인하였다.
    3句. 이곳은 “汝於 / 多攴/ 行齊 / 敎因隱”로 분절된다. ‘多攴’은 ‘다히’를 표기한 것으로 현대어로는 ‘함께’로 풀이된다.
    4句. ‘仰頓隱’의 ‘頓(돈)’은 차자 ‘던’이 아닌, 漢字 본연의 쓰임새로서의 ‘頓’이다. ‘조아린’ 즉, ‘절한’의 뜻이다. 말미의 ‘冬’ 또한 借字로 본 견해도 많으나, 문맥상 한자 그대로의 의미 ‘겨울’로 판단된다.
    5句. ‘影攴’는 명사가 아닌 용언으로 ‘말갛게 비치-’의 의미. ‘古理因’는 명사 ‘옛날’이 아닌 용언 ‘오래되다’의 의미. ‘之叱’은 해독의 일각에서 보고 있는 ‘가(邊)’의 의미가 아니라 단순히 처격의 ‘’이다.
    6句. ‘行尸浪’은 통설 ‘흘러가는 물결’이 아니라, ‘일렁이는 물결’이다. ‘沙矣’는 借字가 아닌 한자 본연의 쓰임새로 쓰인 字로 ‘모래’로 풀이된다. ‘以攴如攴’는 서술격 조사 ‘-이다’의 차자표기이다.
    7句. 양주동에서 이미 해독이 완료된 곳이다.
    8句. ‘都之叱’는 ‘모두옛’, ‘逸烏隱’은 ‘잊혀진’, ‘第’는 ‘等第(功에 대한 報償)’의 의미이다.


    이상 1-4句의 해독을 통하여 凋落의 계절을 견디는 常綠의 잣나무, 표정이 변해버린 겨울날의 님(王)의 모습을 뚜렷이 파악해 낼 여지가 생겼으며, 특히 3句의 해독으로 그간 제기되어 왔던 <원가>와 <정과정>의 문학사적 공통 脈絡 -忠臣戀主之詞- 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5-8句의 해독을 통하여 그간 異見이 심했던 ‘月・淵・浪・沙’에 대한 문학적 풀이를 반성해 보았다. 전체적으로 ‘달빛이 말갛게 비치는 오래된 연못, (나는) 그 아래의 모래로다. 달의 모습이야 바라보나 세상 모두에게 잊혀진 等第여!’로 해독되는데, 이를 바탕으로 ‘月 = 王’, ‘淵 = 政治의 場’, ‘浪 = 政爭(或은 王의 萬機)’, ‘沙 = 信忠’임을 제기할 수 있게 되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terpreted <Wonga(怨歌)>, one of the hyanggas(鄕歌) in ≪Samgukyusa(三國遺事)≫, and considered of its literary meaning.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first half, I could envisage clearly the poetic images such as the big cone pine that overcame the season of withering and the king that changed his mind in that season. Especially,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third line, I could find a concrete relation between the two poems of loyalty, <Wonga(怨歌)> and <Jŏnggwajŏng(鄭瓜亭)>, which many scholars have considered of. In the mean time,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latter half, I reconsidered of the literary interpretation of ‘wol(月)・yon(淵)・lang(浪)・sa(沙)’, which has provoked many arguments so far. I interpreted this part as follows: "A pond reflecting the moonlight clearly, the sand under the pond. The sand is staring the moon, but the compensation has been forgotten by everyone in the world!". Based on this translation, I argued what the poetic terms imply. The moon implies the king, and the sand means the writer, Sin Chung(信忠). The pond implies the political situation, and the waves mean the political conflict. The following is the list of the newly interpreted phrases in this paper:Line 1: ‘muljilhoji(物叱好支)’ in this line should be interpreted as ‘got dyohŭn(갓 됴흔)’, which means the best of a species.
    Line 2: ‘yiokbok(爾屋攴)’ in this line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by many scholars. However, I verified that the early interpretation by Yang Judong was correct. According to him, this part is interpreted as 'yiulŏ(이우러)', which means to be withered.
    Line 3: This line should be divided into four segments: “yŏŏ(汝於) / tabok(多攴)/ haengje(行齊) / kyoineun(敎因隱)”. Especially ‘tabok(多攴)’, the second part of them can be decoded as ‘tahi(다히)’, which means together.
    Line 4: ‘Ton(頓)’ in ‘angdoneun(仰頓隱)’ was not used as a chaja(借字), a sign that indicates the Korean vernacular by borrowing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On the contrary, it functioned as a Chinese character itself in this part. ‘Tong(冬)’ at the end of the line also has been often considered as a chaja(借字). However, this word should be interpreted as a chinese character too.
    Line 5: ‘Yongbok(影攴)’ is not a noun but a verb, which means to reflect clearly. ‘Koliin(古理因)’ is not a noun either but a verb, which means to get old. ‘Jijil(之叱)’ has been translated as a border by some scholars. However, I argued that it has only a grammatical function and can be translated as 'at()’.
    Line 6: ‘Haengsirang(行尸浪)’ has been generally translated as flowing water, but in fact it means waving water. ‘Saŭi(沙矣)’ is not a chaja(借字) but functions as a Chinese character, and it means sand. On the contrary, ‘Yibokyobok(以攴如攴)’ is a chaja(借字) that indicates ‘yida(-이다)’.
    Line 7: Yang Judong already interpreted this line perfectly.
    Line 8: I interpreted ‘Tojijil(都之叱)’ in this line as ‘moduyet(모두옛)’. I also argued that 'yilloeun(逸烏隱)’ means to be forgotten, and that ‘je(第)’ has the same connotation as ‘Teungje(等第)’ that means compensation for effo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