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준법투쟁에 관한 비판적 재고찰 (A Critical Review on the work-to-rul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9.11
33P 미리보기
준법투쟁에 관한 비판적 재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노동법이론실무학회
    · 수록지 정보 : 노동법포럼 / 28호 / 29 ~ 61페이지
    · 저자명 : 김태현

    초록

    준법투쟁에 관하여 판례는 1990년대 이후 소위 ‘사실정상설’의 입장을 고수해왔다. 많은 경우 근로자들은 준법투쟁이라는 법 준수 행위가 쟁의행위가 아니라고 생각하여 찬반투표 등 절차를 거치지 않고 준법투쟁에 돌입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러한 경우 그 자체로 쟁의행위의 정당성이 부정될 뿐만 아니라 업무방해죄 성립의 위험까지 부담할 수 있다. 이는 자칫 헌법이 보장하는 단체행동권에 대한 침해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법을 준수하는 행위가 정상적인 업무운영에 저해를 일으킨다면, 평소 사실상태(근무환경)에 위법적인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가라는 의문이 든다. 만약 현재의 사실상태에 잘못된 점, 불법적인 것이 있다면 그것을 바로잡아야만 비로소 ‘탈이 없이 제대로인 상태’(정상)라고 말할 수 있다. 준법투쟁은 비정상의 정상화이고, 법적 테두리 안으로 들어오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비정상인 상태를 사법체계가 보호해준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사법부가 입법의 영역에 관여하지는 못하더라도, 법해석을 통해 잘못된 것이 있다면 바로 잡도록 도와주어야 타당한 것이지, 최소한 강화는 시키지 말아야 한다. 관행에 따라 위법·탈법적인 사업운영을 하는 것을 ‘정상’적인 상태라고 전제하고 오히려 합법적인 행위를 하는 것을 쟁의행위라고 한다면, 이는 우리나라의 사법체계가 법의 이름으로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된 노동법이 보장하는 근로자의 권리를 격하시키고 불법을 보호하고 조장하는 것에 다름 아닌 것이다. 준법을 행하는 것이 위법함이 전제가 되는 위법성 조각의 대상이 되는 것이라 할 수는 없다. 사용자 입장에서도 법대로 사업을 운영하였을 때 도저히 사업을 영위할 수 없을 정도로 규제가 엄격하여 정상적인 사업을 영위할 수 없다면, 그것은 현행법이 잘못된 것이다. 그런데 그 비현실적인 규제를 사법체계가 해석을 통해 완화시켜 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앞장서 강화시켜주는 결론에 이른다면 타당하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사법부는, 사업을 합법적으로 영위하지 못하게 만드는 그 (악)법이 민주주의 원리에 따라 위헌 내지 개정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은 별론으로 하고, 현실을 도외시한 법을 준수하지 못하는 상태가 ‘정상’이라고 결론 내려서는 안 되는 것이다. (준법투쟁의 쟁의행위 해당성을 좁게 보는 법률정상설에 의하더라도, 경우에 따라 쟁의행위가 되는 준법투쟁이 있다고 설명하나,) 결론적으로 쟁의행위의 한 종류로서 강학상 ‘준법투쟁’이라는 개념은 완전히 합법적인 행위로서 쟁의행위에 해당하지 않고, 준법을 오‧남용하는 경우 파업‧태업 내지 조합활동으로 정리 가능하며, 더 이상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안전투쟁, 연장근무 거부, 집단휴가 사용, 집단 사표 제출 등 준법투쟁은 쟁의행위가 아니라고 보아야 하고, 쟁의행위에 해당하는 준법투쟁이란 없으며, 비교법적으로 보아도 준법투쟁을 별도의 쟁의행위 유형으로 논의하는 것은 더 이상은 불필요한 것이라 판단된다. 이러한 논지에서 판례는 수정될 필요가 있는바, 최근 법률정상설을 취한 하급심 판결례는 준법투쟁이 법체계 안에서 합법성 판단이 모순될 수 있는 문제점을 법원도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반갑다.

    영어초록

    As for work-to-rule, the precedent has been for the so-called “Be is Normal theory” stance since the 1990s. In many cases, workers have often started to engage in work-to-rule without going through procedures such as voting because they believe that it is not an industrial action, and in this case, not only the legitimacy of the industrial action itself could be denied but also be charged with a crime of business interference. This could possibly lead to an infringement on the right to collective action, which i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If an act of compliance with the law causes harm to normal business operations,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re are illegality issues with the usual state of facts (working environment). If there is something wrong and illegal with the current state of facts, it must be corrected then can be called a “proper state without any problem” (normal). Work-to-rule is the normalization of abnormalities, and it is only coming into the legal boundary. It is absurd to say that the judicial system will protect abnormal conditions. Even if the judiciary is not involved in the realm of legislation, it is right to correct anything wrong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and at least should not strengthen it. Assuming that illegal and evasive business operations in accordance with practice are “normal” and engaging in legal activities is a labor dispute, it would be tantamount to our nation's judicial system degrading workers' rights guaranteed by labor laws that have long been formed in the name of the law, and protecting and encouraging illegal activities. Compliance of the law cannot be regarded as the subject of the eliminatory factor of wrongfulness premised in illegality. From the employer’s point of view, when the business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law and if regulation is too strict in ways that the employer is unable to operate the business normally, the current law is misplaced. However, if the judicial system concludes that it will not ease the unrealistic regulation through interpretation but rather take the initiative to strengthen it, it would not be fair. Therefore, the judicial branch should not conclude that a failure to comply with the law that ignores reality is normal, separately from the fact that the (bad) law that makes businesses legally ungovernable may be declared unconstitutional or revised according to democratic principles. (Even under the “Should is Normal theory” with narrow views of the correspondence of labor dispute of work-to-rule as a form of dispute, in some cases there is work-to-rule that can be an industrial action.) In conclusion, as one of the industrial actions, the concept of “work-to-rule” is completely legitimate but not labor dispute, but can be categorized into a strike or a combination of activities if the law is abused, and it does not need any more. Therefore, there is no work-to-rule in forms of industrial action, such as safety struggle, refusal to work overtime, use of collective leave, and submission of collective resignation; and even by comparative consideration,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discuss work-to-rule as a form of separate industrial action. In this regard, the case needs to be revised, and the lower court's recent ruling on the Should is Normal theory is welcome in that the court also recognized problems in which the law-abiding legal judgment can be contradictory within the legal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