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불교의 수계(受戒) 전통 재고찰 (A Review on the Tradition of Ordination Ceremony in Korean Buddhism)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1.09
28P 미리보기
한국불교의 수계(受戒) 전통 재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84호 / 143 ~ 170페이지
    · 저자명 : 김진희

    초록

    이 연구는 ‘한국불교의 출가자 수계(受戒) 전통’에 대해 다루고 있다. 세존의 ‘무사득구족(無師得具足)’으로 시작된 수계제도는 삼보(三寶) 가운데 승보(僧寶)를 탄생시키는 중요한 의식이다. 인도를 기준으로 변지(邊地)에 해당하는 한국은 상당한 시간이 경과 된 후에 수계의식이 정비되었으며, 성문율인 『사분율(四分律)』의 갈마를 통해 구족계를 수지하고 『범망경(梵網經)』의 대승계를 겸수하는 수계 전통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오늘날 계율교육의 부족으로 출가자 자신이 소속된 한국불교의 수계 전통과 수구(受具)한 계율에 대한 이해가 매우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청정하고 화합된 승가를 형성하고 불법의 혜명(慧命)을 잇는 출가자 본연의 사명을 다할 수 없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한국의 최초 출가자와 이후 수계제도가 정비되는 과정을 고찰하여 한국의 수계 전통을 이해하는 기본적인 관점을 파악하였다. 그런 뒤에 한국불교 수계 전통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한국불교 계율은 남산율종을 계승하고 있다’라는 인식에 의문을 제기하고, ‘성문율과 대승계를 동시에 수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라는 주장이 간과하고 있는 점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리고 ‘현재 법과 율의 가르침에 부합하는 수계제도를 통해 승보가 탄생하고 있는가?’ 하는 것이 오늘날 현실적인 율맥의 정통성을 판가름하는 기준이 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수계 전통에 대한 재고찰은 한국 출가자로서 정체성을 확립하고 율장 연구의 방향과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틀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In Buddhism, to leave home and become monkhood(Chulga, 出家) and the ordination ceremony(受戒) system, which began with the Musadeukgujok(無師得具足) of Buddha, is an essential ritual for the birth of the Saṅgha-Jewel. Looking at this procedure based on India, Korea, which belongs to a remote place(邊地), needs some more time to arrange the ordination ceremony after the influx of Buddhism. Nevertheless, over the past 1700 years, the history of the Saṅgha in Korea has been unbroken under the tradition of becoming bhikkhus and bhikkhunis after receiving upasampadā(具足戒) based upon prātimokṣa and kammavācā of Dharmaguptaka Vinaya(四分律) and additionally accepting bodhisattva śīla of Bharma net Sutra(梵網經).
    However, the lack of education of Vinayapitaka today has created a climate that recognizes the ordination ceremony as a ritual of passage for leaving home and becoming monkhood. Therefore, monks have failed to establish their identities based on the rules and regulations they have received. If this situation has not changed, the monks and nuns of Sanghā’s original mission of forming a clean and harmonious Sanghā and transmitting the life of Buddha- Dharma will not succeed.
    Based on the awareness of this problem,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perspectives of understanding the tradition of ordination ceremony in Korea by examining the process of reorganizing monkhood and monastic precepts system for the first time. We need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Korea, historically and synchronically far from the time of Buddha, in which the ordination ceremony was not able to be formed by the complete monastic precepts system at the beginning, and then attempt to figure out where we put the standard of the legacy of Yulmaek(律脈) today. Then among the traditions of Chulga and ordination ceremony in Korean Buddhism first, this study raised questions about the perception that Korean Buddhist precepts are succeeding Nan‐shan Vinaya School(南山律宗), which is commonly referred to when illuminating the origin of the monastic precepts of Dharmaguptaka Vinaya. Secondly, this study reviewed the fact that overlooked the claim that it is impossible to receive both upasampadā and bodhisattva śīla at the same time. Understanding these issues will be the basic framework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becoming Buddhist monks and nuns in Korea and setting the direction and scope of Vinayapitaka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