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강 정구의 교육사상 재검토 (Reconsideration on the Educational Thought of Jeong Go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4.06
32P 미리보기
한강 정구의 교육사상 재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25호 / 155 ~ 186페이지
    · 저자명 : 박균섭

    초록

    한강 정구는 퇴계 이황-남명 조식 두 문하의 제자로서 16세기 후반에서17세기 초반 영남학계를 대표하는 학자이다. 정구가 교육사상의 지평을 확고히 할 수 있었던 바탕에는 이황과 조식 각각의 학문적 명성과 지위에 힘입은 바 크다. 하지만 정구의 학문세계와 교육사상을 이황-조식의 프레임 안에서만 그려내는 작업은 마땅치 않다. 정구의 학문세계와 교육사상은 가학의연원을 잇고 영남학통을 계승하는 차원에서 수기-치인의 교육론을 펼쳤음을알 수 있다. 가학의 연원으로는 청주정씨와 한훤당 김굉필의 학문적 내력을들 수 있다. 영남학통의 계승은 이황과 조식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정구의 교육사상 연구는 이황-조식의 학문적 자장 안에서 가르침의 역학을 살피는 구도를 넘어, 제자의 입장에서 스승을 어떻게 기억하고 무엇을 현양하였는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연구자료 보강 및 해석의 엄밀성을 통해 정구가 이황의 제자로서 차지하는 위상, 그리고 정인홍을 대표로 삼는 조식의 문하에서 정구가 차지하는 위상을 제대로 설명할 수 있다.
    정구의 학문적 정체성과 교육사상을 제대로 포착하기 위해서는 그의 형이상학적 관점에 대한 논의, 그리고 예학과 실천윤리를 강조했던 앎과 삶의 세계를 주목해야만 피상적인 논의, 겉도는 논쟁을 넘어설 수 있다. 향후 정구의교육론을 수기-치인의 교육사상을 살피는 과정을 통해, 그리고 문도론을 스승-제자를 기억하는 방식을 통해 규명하는 심층 연구가 요망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educational thought of Jeong Goo. As the disciple of Yi Hwang and JoSik, Jeong Goo was recognized as a scholar to represent Yeongnamscholastic mantle in Chosun dynasty. Jeong Goo could establish hisacademic identity as the central axis of the Yeongnam scholarship. Butthe educational thought of Jeong Goo cannot be limited to the scopeof Yi Hwang and Jo Sik. Jeong Goo’s academic identity has the originof family scholarship and the tradition of Yeongnam scholarship.
    Family scholarship was based on the ethos of Kim Goeng-pil, andYeongnam scholarship was based on the enlightenment of Yi Hwangand Jo Sik. In this field, it is important to know that he declared aseparation from Jeong In-hong who was Jo Sik’s head student. JeongGoo has voluminous works about the Confucian ethics. But there werefew his metaphysical works, so the discourse of his educationalthought is embroiled in controversy. Jeong Goo tried to restore thespirit of Neo-Confucianism by living restrained moral life andpracticing the strict code of eth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