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콩쥐팥쥐전>의 형성과정 재고찰 (The Formation of Revisite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2.12
33P 미리보기
&lt;콩쥐팥쥐전&gt;의 형성과정 재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소설연구 / 34호 / 251 ~ 283페이지
    · 저자명 : 권순긍

    초록

    <콩쥐팥쥐전>은 1919년 대창서원에서 소설로 출판되기 전에 다양한 민담들이 존재했었다. 가장 오래된 고형은 결혼이 없는 계모박해담의 형태일 것이다. 계모에 의해 해결이 불가능한 여러 과제들이 제시되지만 하늘의 도움으로 이를 해결한다는 것이다. 과제는 구연자나 상황에 따라 김매기, 밑 빠진 독에 물 채우기, 베 짜기, 벼 말리기, 쌀 찧기 등 얼마든지 확대될 수 있다. 고형에 해당하는 민담 중에 이른 시기에 채록된 것으로는 심의린이 1926년 『조선동화대집』에서 재화한 <콩쥐 팟쥐>가 있다.
    귀인과의 결혼이 추가되면서 계모와 팥쥐의 박해는 불가능한 과제를 주어 해결토록 하는 것이 아닌 살해하는 것으로 발전된다. 여기에 맞선 콩쥐도 어쩌지 못하고 울기만 하는 수동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스스로 변신을 거듭하는 적극적인 방식으로 계모와 팥쥐에게 복수를 한다. 이렇게 본다면 콩쥐팥쥐 이야기의 원형은 계모가 제시한 많은 과제들을 하늘의 도움으로 해결하고 복을 받아 귀인과 결혼하자 이를 시샘한 계모와 팥쥐에 의해 죽임을 당했지만 결국은 복수한다는 내용일 것이다. 단순화 시키면 계모와 팥쥐의 박해-하늘의 도움-귀인과의 결혼-살해-변신-복수가 이야기의 기본서사가 된다. 여기에 다양한 화소들이 첨삭되어 많은 콩쥐팥쥐 이야기를 생성, 유포시켰을 것이다. 임석재가 1918년과 1935년에 채록한 전북의 민담 <콩쥐 퐅쥐>와 평북의 민담 <콩중이 팍중이>가 그런 콩쥐팥쥐 이야기의 원형에 해당된다.
    원형이 되는 콩쥐팥쥐 이야기는 극단적인 선악의 대립, 동일한 행위의 반복, 구원자의 등장, 금기 등의 민담적 특징을 다수 지니고 있는데 1906년 언더우드 부인이 채록하여 발표한 <한국의 신데렐라>는 민담적 특징들이 많이 정제되어 소설적 경사를 보인다.
    콩쥐팥쥐 이야기가 소설화 되는 과정에서 당시 고소설의 저작자로 이름을 날렸던 박건회가 그 일을 수행했다. 박건회는 당시 조선서관의 주인으로 26편에 달하는 고소설을 창작, 개작, 번역했던 인물로, 이미 민담과 전설을 소설화한 <박천남전>과 <고려강시중전>을 펴낸 바 있다. 소설화의 방향은 민담의 요소들이 강하게 드러난 것을 합리적인 관점에서 정비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활자본 신작 고소설로서 <콩쥐팥쥐전>이 박건회에 의해 1919년에 탄생하게 된 것이다.

    영어초록

    There had been various folk-tale versions of <Kongjui Patjui Jeon> before it was published as a novel by Daechang in 1919. The oldest one does not have any story about Kongjui's marriage but only the persecution of her stepmother. The story considerably deals with the heroine's stepmother who tries every effort in giving Kongjui impossible tasks. Her tasks are later found to be resolved by the help of the heaven. To a great extent, the tasks vary involving the labor of weeding, filling with water in a bottomless jar, weaving, drying rice plants, and pounding rice. Some of its early versions include ShimUilin's 1926 <Kongjui Patjui> from <Joseon Dongwha Daejip>Later, by adding a story of her marring a noble man, it develops into a murder case, which does not mention any tasks assigned by Patjui and her stepmother. Kongjui is rather changed into a very positive character who refuses simply to wallow in grief but to revenge her half sister and her stepmother. Thu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original story was involved with Kongjui's impossible tasks resolved by heavenly assistances, later moving to her blessed marriage, her murder by the jealous family, and her revenge against her half sister and the stepmother. To make it simpler, the basic scheme of <Kongjui Patjui> can be described as 1) her persecution, 2) heavenly assistance, 3) marriage, 4) murder, 5) transformation, and 6) revenge. Later, some more additions and deletions could have been applied to its formation and extension. Among them are ImSeokJae's 1918 and 1935 versions of <Kongjui Patjui> from Chonbuk Province and <Kongjungi Pakjungi> from Pyongbuk Province.
    The original version is stylistically similar to a folk-tale because it includes such episodes as conflicts between good and evil, repetitions of same actions, an appearance of a rescuer, and taboos. In 1906, Mrs. Underwood published <A Korean Cinderella>, a novel-like version in which folk-tale features had been greatly removed.
    Well known as an author of old novels in his days, ParkGeonHoe took up his task in transforming the folk-tale <Kongjui Patjui> into a novel. He was the owner of Joseon Seokwan and worked hard in creating, revising, and translating 26 old novels. He also published <ParkCheonNam Jeon> and <KoryoKangShiJoong Jeon>, which were transformed into novel forms from chilren's or narrative story. Improving unrealistic features of folk-tale is essential in keeping novels on the right tract. As a new work derived from old novels, <Kongjui Patjui Jeon> was consequently created by ParkGeonHoe in 1919.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