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일의 문화재보호법제에 관한 고찰 - 1955년 문화재반출방지보호법(KultgSchG)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egal System of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in Germany - Focused on the Law Concerning Controls on the illicit Export of Cultural Property (KultgSchG) in 1955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1.06
28P 미리보기
독일의 문화재보호법제에 관한 고찰 - 1955년 문화재반출방지보호법(KultgSchG)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법과정책연구 / 11권 / 2호 / 397 ~ 424페이지
    · 저자명 : 송호영

    초록

    문화재는 한번 외국으로 반출되면 상당기간 그 존재가 은폐되어 버리는 속성이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문화재를 반환받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리하여 각국은 문화재의 반출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문화재보호법을 제정ㆍ시행하고 있다. 본 논문은 독일의 문화재보호법제, 특히 1955년 제정된 문화재반출방지법을 중심으로 한 독일의 문화재보호법제의 현황과 그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우리 법에서의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작성된 것이다. 본고의 Ⅰ.은 그러한 논문의 목적을 밝히고 있다. 논문의 Ⅱ.는 독일의 문화재보호법제의 현황을 전반적으로 개관하고 있다. 독일은 연방국가라는 점에서 연방정부와 주정부와의 권한분배관계 그리고 독일이 유럽연합의 회원국으로서 상위조직인 유럽연합의 입법에 영향을 받는 관계라는 점에서 우리의 법제와는 구조적으로 다른 특색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독일의 국내법상 문화재보호관련법과 국제적 차원 및 유럽공동체차원의 문화재관련법을 나누어 개관하였다. 논문의 Ⅲ.에서는 독일의 문화재법제가 발전한 과정을 살피고 있다. 즉 1902년 헤센기념물보호령으로부터 1919년 바이마르공화국의 예술품수출령을 거쳐 나찌정권의 제3제국시기의 문화재ㆍ예술품에 대한 반달리즘과 전후시기의 법적 상황에 대해 연대기적으로 살펴보았다. 논문의 Ⅳ.에서는 문화재반출방지법의 내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다루었다. 즉 문화재반출방지법의 적용범위, 등록절차, 등록에 따른 법적 효과 및 기타사항 등에 대한 법률의 세부내용과 그 운용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동 법률의 핵심은 “독일의 문화보유”로 징표될 수 있으면서 그 반출이 “본질적인 손실”로 평가될 수 있는 “예술품 및 기타문화재”와 “기록물”에 대해서는 州의 최고관청이 관장하는 문화재목록 또는 기록물목록에 등록을 하도록 하고, 그러한 대상이 일시적으로라도 반출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연방내무부장관의 허가를 받도록 한 것이다. 논문의 결론에 해당하는 Ⅴ.에서는 이상에서 살펴본 독일의 문화재보호법제 전반에 대한 입법적 배경과 전개과정 및 그 내용에 대해서 요약하였다.

    영어초록

    Once cultural properties are taken to a foreign country, they tend to be concealed away, so that it is very hard to repatriate home country. Because of that many countries have enacted and implemented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laws in order to prevent cultural properties from exporting illicitly.
    This hereby article is about analysis of the legal regulation regarding the German Cultural Property Law, especially focused on the Law concerning Controls on the Illicit Export of Cultural Property (in German Kulturgüterschutzgesetz: KultgSchG) in 1955. Through this the Author will seek suggestive points for the korean cultural property law by examining legal situations and contents in German Cultural Property Law. Part I of this article reveals such purpose of this study.
    Part II take a general view of the current legal system of the cultural properties in Germany. German legal system is structurally different from korea's in terms of that German legislative authorities are distributed into federal and state governments due to federal state and Germany should take the laws of European Union into consideration when it enact the domestic laws as a member of EU. Accordingly this article gives an outline of German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Laws, dividing into the domestic laws and the law of international level as well as European community one.
    Part III presents the process that cultural property legislation is developed in Germany. It chronicles from Hessen Monument Protection Act (in German Denkmalschutzgesetz) in 1902, Arts Export Act (in German Verordnung über die Ausfuhr von Kunstwerken) of the Weimar Republic in 1919 through the cultural vandalism at the time of Nazi regime (3rd Period of the Empire) to the legal situation of the post world war period.
    Part IV details German Law Concerning Controls on the Illicit Export of Cultural Property (KultgSchG). The author scrutinizes the scope of application, registration procedures, the legal effect of the registration and other details of the law and its operation. The core of German KultgSchG is that, the “art and other cultural property” and “documentary” able to be symbolized as “German cultural retainment” and of which the export is evaluated “intrinsic loss” must be registered on the list of documentary which supreme state (Bund) office take charge of and even when those things need to be exported temporarily, it is required to receive federal approval of the Secretary of the Interior.
    Part V,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ummarize the legislative background, development process and contents of German KultgSchG. It also considers some implications from the German law for the Korean Cultural Property La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과정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