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無形文化財(人間文化財) 保有者의 認定解除處分의 法理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Legal Theory of the Derecognit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Holders(Living Human Treasures))

5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0.06
55P 미리보기
無形文化財(人間文化財) 保有者의 認定解除處分의 法理에 關한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행정판례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행정판례연구 / 25권 / 1호 / 109 ~ 163페이지
    · 저자명 : 한견우

    초록

    역사적으로나 예술적으로 높은 가치와 문화적 기능을 지닌 사람을 무형문화재 보유자로 지정하여 그 기능을 후계자에게 전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형문화재의 보존과 전승을 도모하고 국민의 문화적 향상과 인류문화의발전에 이바지한다. 따라서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하 [무형문화재법]이라 한다)은 무형문화재 보유자의 인정과 해제를 규율함으로써무형문화재의 보전과 진흥을 위하여 전형 유지를 기본으로 하면서, 1) 민족정체성 함양, 2) 전통문화의 계승 및 발전, 3) 무형문화재의 가치 구현과 향상 등을 기본원칙으로 한다.
    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해제와 관련해서 [무형문화재법](제21조 제1항) 은 보유자 인정해제사유를 규율하면서, “전통문화의 공연 · 전시 · 심사 등과관련하여 벌금 이상의 형을 선고받거나 그 밖의 사유로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경우”(제2호)에 “무형문화재 보유자의 인정을 해제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법규정과 관련해서 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의 해제처분에 따른법리를 다음과 같이 명확히 정리할 필요가 있다 : 1) 전통문화의 공연·전시·심사 등과 관련하여 벌금 이상의 형을 선고받은 경우와 그 밖의 사유로 금고이상의 형을 선고받은 경우에 보유자 인정이 해제된다. 2) 이러한 해제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인정해제하여야 하는 필요적 · 강제적 처분의 형식으로 법문에 규정되어 있으나, 대법원 판례에 의하면 이러한 해제처분의 법적 성질을 재량행위로 판단한다.
    그런데 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해제처분과 관련해서 1) 해당 법조문을합헌적인 방향으로 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무형문화재법] 제21조 제1항 제2호 후단의 ‘전통문화의 공연 · 전시 · 심사 등’과 무관한 법률 위반행위(범법행위)로 인한 보유자 인정해제사유는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최근 대법원이 [무형문화재법] 제21조 제1항 제2호와 관련된 단서 규정에 의한 보유자 인정해제처분의 법적 성질을 ‘재량행위’로 판단한 점을 법률개정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더욱이 현재도 보유자 또는 전수교육조교가 부재한 무형문화재가 단절로 인하여 해당 무형문화재의 변질 · 쇠퇴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점과전승활성화의 지속성에 심각한 장애가 될 수 있는 점 등을 고려할 때, 경미한잘못으로 인하여 어렵게 인정된 무형문화재 보유자의 지위가 하루 아침에 날아가 버리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특히 최근 문화재청 자료에 의하면, 무형문화재 보유자의 규모가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해서 무형문화재 보유자 등의 과도한 인정해제가 되지 않도록 입법기술적으로 뿐만 아니라 실무적으로도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By designating people with historically and artistically high values and cultural functions as holders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Living Human Treasures), the functions can be passed on to successors, It promotes the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contributes to the cultural improvement of the people and the development of human culture. Therefore, the 「Act on the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ct]) regulates the recognition and release of holders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Living Human Treasures), while preserving the traditional types for the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e basic principles are cultivating identity, succeeding and developing the traditional culture, and realizing and improving the value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Regarding the removal of holders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Living Human Treasures),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ct] (Article 21(1)) regulates the reasons for the removal of holders, “1) in cases where a sentence of fine or higher is definitely sentenced for a performance, exhibition, or review concerning a traditional culture, and 2) when a sentence of imprisonment or higher is sentenced for other reasons. And It stipulate that in these cases, “the approval of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holder(Living Human Treasures) must be cancelled.” In connection with these regulations,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legal principles according to the cancellation of the recognition of holders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Living Human Treasures) : 1) In the case of a sentence of fines or more for reasons relating to performances, exhibitions, and examinations of traditional culture, or in the case of a sentence of imprisonment or higher for other reasons, the recognition of the holder must be canceled. 2) If there is a reason for such cancellation, it is prescribed in the law in the form of necessary and compulsory disposition that must be dismissed, but according to the Supreme Court case, the legal nature of such disposition is judged as discretion.
    However, it is desirable to revise the relevant legal provisions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ality in relation to the disposition to disqualify holders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Living Human Treasures). In other words, it is desirable to remove the reason for the removal of the holder's recognition due to the violation of the law (criminal act) irrelevant to the performance, exhibition, reviewing of traditional culture at the end of Article 21 (1) 2 of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ct].
    Lastly,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hich are still lacking holders or vocational education assistants, can lead to the deterioration and decline of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due to disconnection, and that they can seriously impede the continuity of transmission, it is a slight mistake. Therefore, the status of holders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Living Human Treas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