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浮雪傳>의 저작시기에 대한 再考證 - 典故 분석을 중심으로 - (Reconsideration(再考證) on Written period of - Focus on precedent literature(典故) analysis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4.12
35P 미리보기
&lt;浮雪傳&gt;의 저작시기에 대한 再考證 - 典故 분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17호 / 41 ~ 75페이지
    · 저자명 : 이미숙(현욱)

    초록

    본고는 <浮雪傳>에 쓰인 典故를 바탕으로 저작시기를 고증하였다. <부설전>은『暎虛集』에 수록된 목판본과 월명암에 소장된 한문 필사본 2종이 있는데, 그동안 부설의 이야기는 필사본을 통해 실제 있었던 인물의 이야기로 받아들여졌고, 다양한 방법으로 소개되고 있었다. 그런데 1975년 학계에서는 필사본과 동일한 작품이 1635년에 간행된『영허집』의 賦항목에 수록되어 존재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에 월명암에서는 작품의 작가나 저작시기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고, 부설에 관한 이야기를 전면적으로 소개하는 책을 펴내 부설이 신라 시대의 실존 인물이며 월명암을 창건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필자는 작품의 저작시기와 작가의 문제를 재검증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작품에 쓰인 전고를 통해서 인용된 글들이 들어 있는 문헌들의 찬술 시기와 그 책들이 우리나라에 유통되었던 시기를 바탕으로 저작시기를 재고증하였다.
    <부설전>은 7세기에 중국에서 찬술된『古今譯經圖紀』에서부터 15세기에 우리나라에서 편집된『金剛經五家解說誼』까지 다양한 책들에서 인물의 형상 등을 인용하였다. 그 중에서 특히『緇門警訓』과『금강경오가해설의』에서 인용된 句節이 보이는데, 1415년에 저술된 “금강경오가해설의”의「金剛經五家解序說」에서 인용한 구절이 두 곳이나 있었다. 이는 <부설전>의 저작시기가 15세기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없음을 말해주는 근거이다. 그러므로 <부설전>은『영허집』에 수록되어 있는 작품을 근거로 暎虛에 의해 조선 중기에 저작되었음이 분명하게 확인되었다.
    그리고 전고를 살펴보는 과정에서 작품에 쓰인 眞德女主의 이름이 ‘勝曼’이며, 그 어머니의 이름이 ‘月明’임을 발견하였다. 승만(진덕)은『勝鬘經』에서 차용한 이름으로 <부설전>이『승만경』과 연결된다는 점과 부설의 이야기가 월명암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통해 口傳으로 전해지는 설화가 영허에 의해 엮어졌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작품에 설정된 신라 시대와 저작시기인 조선 중기가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논의할 새로운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considered written period based on the writings quoted in <BuSeol-Jeon>. Story of Buseol was delivered in the world by being received as a fact in reality based on <BuSeol-Jeon> which is delivered in Wolmyeongam(月明庵). However, in 1975, the academic world determined that the same work as <BuSeol-Jeon>, which Wolmyeongam delivered, existed in『Yeongheojib(暎虛集)』, published in 1635. Though, after that, Wolmyeongam published a book which generally introduced a story about Buseol. Here, the writer thought that reconsideration on the written period of the work was necessary, therefore, historically researched the written period by comprehending the written period of the books where the writings of the work appear, and the period that the books were distributed in our nation.
    As the result, the researcher confirmed that from the important parts of『Gugeumyeok-gyeongdogi(古今譯經圖紀)』, written in China during the 7th century to『five annotation commentary of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sūtra(金剛經五家解說誼)』. written in Korea during the 15th century were quoted in the important part of <BuSeol-Jeon>. Particularly, there were writings which were quoted in『five annotation preface of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sūtra(金剛經五家解序說)』. Therefore, it was comprehended that the writer of <BuSeol-Jeon> quoted by reading『five annotation preface of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sūtra』. Here, it was clearly confirmed that the written period of work could not go back to before 15th century.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BuSeol-Jeon> was written in the 16th century based on the works, recorded in『Yeongheojib』.
    And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the quoted writings, the name of Queen Jindeok in the work was Seungman, and her mother's name was Wolmyeong. Her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story was arranged by Yeongheo, through the point that the meaning of Queen Jineeok was connected to『Śrīmālā-siṃha-nāda-sūtra(勝鬘經)』, and the story of <BuSeol-Jeon> was related to Wolmyeong. Also, this research could prepare an opportunity to interpret the relation between Silla period, the story of the work, and the mid-Joseon, written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