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론장의 사회적 구성: 가브리엘 타르드의 논의를 중심으로 (Social Construction of the Public Sphere: Re-reading Gabriel Tard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03.02
26P 미리보기
공론장의 사회적 구성: 가브리엘 타르드의 논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47권 / 1호 / 5 ~ 30페이지
    · 저자명 : 이상길

    초록

    이 글은 19세기 프랑스 사회학자인 가브리엘 타르드의 공론장에 관한 논의를 소개하고, 그것이 지닌 고전으로서의 의미를 재해석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논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부분에서 우리는 타르드의 논의를 역사적 맥락 속에 자리매기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19세기 말 프랑스의 담론적, 담론외적 맥락을 재구성하면서, 타르드의 논의가 당시 지배적이었던 군중담론에 어떻게 접합되어 있었는지, 또 군중으로부터 공중으로 타르드 논의의 초점이동을 가능하게 했던 사회적 조건은 무엇이었는지 추적해보았다. 두 번째 부분에서 우리는 공론장에 관한 타르드의 논의를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조명해보았다. 그것들은 각각 공중에 대한 새로운 개념화, 여론형성과정의 분석, 근대 국민국가의 형성에 있어 공론장이 생산해낸 효과 등이다. 타르드의 관심은 공론장의 이념형이나 규범적 기초를 세우는 데 있지 않았다. 그의 주된 관심은 차라리 근대의 개인들이 공론장에서 겪게 된 새로운 경험을 분석하고, 그 경험의 가능성의 조건들이 무엇인지 미시적인 수준에서 따져보는 데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한 논의의 지평은 또 철저하게 역사적이고 사회학적이었다. 이러한 사실은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쌍방향 미디어가 발전하고 새로운 공중의 형성이 이야기되는 오늘날 공론장 연구의 또다른 방향을 시사해준다.

    영어초록

    This theoretical study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Gabriel Tarde's classical insights on the 'modern public sphere'. It consists of two parts. In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I tried to replace Tarde's sociology in its historical context of the 19th century France. I examined especially the emergence of the ‘crowd’ as a new political force and the formation of pseudo-scientific discourses like 'crowd psychology' and 'criminology'. I also paid attention to the Dreyfus Affaire, a modern event owing its dynamics to the development of popular journalism. In doing so, I attempted to reconstitute the historical moments which conditioned largely Tarde's problematic on the public and the public opinion. In the second part, I analysed Tarde's view on the construction of the modern public sphere, focusing mainly on three points. First of all, an emphasis was put upon the originality of his conception of the 'public' as 'imagined community' mediated by communication technologies. Secondly, his analysis on the public opinion formation process was examined in detail. Thirdly, I reviewed Tarde's observation on the role of public sphere in cultural formation of modern nation-state. From my point of view, Tarde's contribution to the 'public sphere stud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 First, he outlined a prominent problematic 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social change and modernity. Second, in breaking with the normative conception of public sphere, Tarde tried to analyze social conditions which made possible new experience of modern man in the public sphere. In conclusion, I argued that Tarde's system could inspire some interesting research agendas on the public sphere in the 'age of Intern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