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9식설과 여래장에 대한 진제의 사유 一考 (the Theory of Nine Types of Consciousness and Tathāgatagharbh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0.08
32P 미리보기
9식설과 여래장에 대한 진제의 사유 一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26권 / 141 ~ 172페이지
    · 저자명 : 최은영

    초록

    중국불교 유식학 연구자들은 9식설의 출발을 진제(眞諦 : Paramārtha 499-569)에게 자리매김하면서, 그가 동아시아에서 전파한 유식설은 이미 여래장사상과 결합한 사상을 중국에 전파하였다고 보기도 한다. 이것은 진제 유식학과 현장계열의 법상유식의 차이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출발점을 제시하는 견해의 하나이다. 또 다른 흐름은 변용된 동아시아 심식설의 형성자를 지론종 남도파 및 그와 관련된 진제의 제자들인 중국의 섭론학자들에게 두는 견해이다. 두 견해는 여전히 평행선으로 연구결과가 이어지고 있으며 어느 쪽으로 완전하게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진제가 9식설 혹은 그와 관련해서 아마라식(阿摩羅識)이라는 용어를 제창했다고 하는 견해는, 진제이후 전개된 다른 문헌의 증거들을 통해 형성된 측면도 있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로 진제의 어떤 문헌에서도 제9식이 아마라식이라는 용어가 등장하지 않지만, 존재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결정장론』「구식품」에 의거하여, 중국에서는 아마라식과 제9식이 진제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홍전될가능성이 매우 높았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아마라식은 實性인 淨識으로서의 성격이 분명하며, 곳곳에서 전의법이라고 하고 있으므로 아려야식과의 관련성 속에서 여래장의 염정성을 검토해보고자 했다. 진제문헌 속에서 여래장은 정식이지만 전의에 의한 것이며, 중도적 성격으로 표현되고 있는 곳도 있어서 염정성이 함께 한다고 볼 수 있는 문맥이 발견된다. 따라서 진제에게서 여래장과 동등한 지위라고 생각되는 아려야식의 성격은 염정화합식으로 보았다고 추정할 수 있다.

    영어초록

    Many scholars of the Yogacara school in Chinese Buddhism place Paramārtha(眞諦: 499~569) at the start of the theory of nine types of consciousness, regarding his transmission of the theory of consciousness only into East Asia as already combined with the thought of Tathāgatagharbha in China. This reflects an important perspective on the starting point for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between Paramārtha’s tradition and Xuanzhuang’s(玄奘, 602~664) Faxiang(法相) tradition in the study on the school of only consciousness. Another perspective regards the scholars in the southern branch of the Dilun School and the disciples of Paramārtha in the Shelun School in China as responsible for the formation of the transformed theory of mind and consciousness in East Asia. These two perspectives still continue to produce equally important research results, there being no expectation about which perspective will become dominant.
    Concerning the supposition that Paramārtha proposed the theory of nine types of consciousness or the term of amala-vijñanā(阿摩羅識) in relation to it, this is thought to have been formed through the other textual evidences developed after Paramārtha. This article ascertains the comparatively high probability of the wide circulation in China of the observation that the term of amaluoshi and the ninth type of consciousness were proposed by Paramārtha.
    On the other hand, the amala-vijñanā is explicit in its character as the pure consciousness that is real nature, being mentioned as the dharma of zhuanyi(轉依) in various places, which makes it possible to investigate its nature of pollution and pureness in relation to alaya consciousness. The tathāgatagharbha is pure consciousness, but it is also dependent on zhuanyi, in which context there is found the possibility of reading that pollution and pureness go together. Therefore, we can surmise that alaya consciousness, which is thought to be equal in status with tathāgatagharbha by Paramārtha, can be seen with high probability as the consciousness in which pollution and pureness are combi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