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洛村 李道長의 학문 연원과 그 특징 (Nakchon Yi Dojang’s Academic Origin and Characteristic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5.12
26P 미리보기
洛村 李道長의 학문 연원과 그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61호 / 137 ~ 162페이지
    · 저자명 : 이상호

    초록

    이 논문은 장현광의 칠곡지역 제자 가운데 한 명인 이도장(李道長)의 학문 연원과 그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여헌학단의 학문전수와 그 특징을 확인해 보려는 것이다. 이도장은 장현광의 성주․칠곡 지역 제자 대부분이 그러하듯, 한강문하와 여헌문하를 동시에 드나 들었던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 때문에 그의 정확한 입문시기가 기록으로 드러나 있지는 않지만, 형인 이도창과 함께 함께 여헌학맥에 입문한 후 여문10현 가운데 한 명인 이주와 깊은 교유관계를 가지면서 여헌학맥을 대표하는 인물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다만 그의 학문은 오랜 관직생활과 비교적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장현광의 성리설이나 역학과 같은 핵심 학문에는 다가서지 못했기 때문에 주로 그의 경세론을 중심으로 살펴볼 수밖에 없다. 특히 이도장은 하늘을 체인하여 왕도정치를 실현하는 것을 군주의 임무로 보는 장현광의 건극론을 바탕으로, 지방 정치를 담당하고 있는 태수의 역할을 이천(二天)으로 규정하면서 동일한 임무로 해석하는 모습에서 이러한 입장은 잘 드러난다. 이와 같은 특징은 군신의 역할을 제기하는 것이면서, 동시에 중앙으로부터 지방에 이르기까지 하늘의 뜻을 체인하여 왕도정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려는 입장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향약을 중시하는 입장 역시 장현광의 학문적 특징을 잇고 있다. 『주례』를 향약의 효시로 이해하고, 이를 통해 향약의 궁극적 기능을 ‘교화’에서 찾고 있다. 향약을 교화의 측면에서 이해하고 있는 장현광의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는 대목이다. 이와 같은 특징은 지역의 규율을 바로 잡기 위한 향규(鄕規)의 성격을 더 강하게 가지고 있는 이황의 <예안향약>과는 달리, 향약의 교화적 기능에 더 충실하는 모습으로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 member of disciples on Chilgok, Yi Dojang’s academic origin and contents and to identify Yeoheon circle’s instructing academics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it. Yi Dojang is representative man who studies under both Hangang and Yeoheon, as Jang Hyeongwang’s disciples on Seongju and Chilgok. Thus, his initiation time does not correctly turn out to be record, but after he takes a hand in school ties of Yeoheon with brother, Yi Dochang, he deeply messes with Yi Joo, a man of ten sages of Yeohen school, and then he becomes one of men who represent school ties of Yeoheon.
    His studies would not get to the core studies like Jang Hyeongwang’s theories of Xing-li(性理說) and I-hsuh(易學) for he was too young to die, because of over a long public office. Mainly, we can have only upward on the basis of his governance theory. Thus, this paper studies a give and take relationship of learning on the basis of governance theory of Jang Hyeongwang and Yi Dojang. The first feature of Jang Hyeongwang’s governance theory is geongeuknon(建極論) which discusses role of subjects around king; second feature is harmony of royal court and unity of private opinions; third feature is emphasis of hyangyak focused on reformation. Of course, these features is not showed in Yi Dojang without omissions or rewrites. Jang Hyeongwang’s geongeuknon is expanding on to the region through Yi Dojang. First, based on Jang Hyeongwang’s geongeuknon that regards realizing benevolent royal government by accepting Tian-li as assignment of king, he think that role of governor-general who charges local politics is the same. This is that that defines role between king and subjects, and realizes benevolent royal government by accepting disposition of providence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local government. Second, the stance which emphasizes hyangyak succeed to Jang Hyeongwang’s academic characteristics. he thinks Zhou-li(『周禮』) as beginning of hyangyak, and looks up ultimate function of hyanghak in the reformation. This is Jang Hyeongwang’s feature. These same features differ from Yi Hwang’s YeAnHyangyak which has character of local covenant to tighten local ru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