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번역의 장으로서의 『時事英語硏究』 연구 (A Study on The Study of Current English)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2.12
15P 미리보기
문화번역의 장으로서의 『時事英語硏究』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권 / 3호 / 141 ~ 155페이지
    · 저자명 : 이삼출

    초록

    이 논문은 월간 영어학습지였던 『時事英語硏究』를 1950년대와 60년대 초반 한국 사회에서 진행된 문화번역적 실천의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한다. 현재 이 시기 문화번역 현상은 주로 『思想界』와 같은 대표적인 종합문예지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종합문예지들은 근대화 모델의 구축, 계몽의 전파, 냉전체제하에서의 위치확보 등을 지상과제를 서구의 지식담론의 도움을 받아 수행하려한 이른바 ‘교양지’들이었다. 이와 달리 『時事英語硏究』는 상업적 목적의 영어학습지여서인지 이 시기 우점외국어로서의 영어의 등장과 관련된 문화번역 현상을 확인하는 연구대상으로는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이 잡지는 근본적으로 상업적 이익을 영어에 대한 문화권력적 우위를 활용하여 획득하려 한, 그 자체로 하나의 혼종적 문화산물이면서 동시에 교양과 학습의 결합이라는 특유의 혼종적, 창발적 문화를 생산한 매체로 볼 수도 있으므로 문화번역의 관점에서 충분히 연구해볼 가치가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이 논문은 특정한 영어권 지식담론이 선택적으로 번역되어 남한 사회의 지식담론으로 전유되는 과정, 이 과정에 개입되는 당대 남한 사회 지식인 혹은 이 잡지의 독자의 인구학적 현실 조건들이 편집체제에 반영되는 과정, 그리고 이들 과정을 통해 새로이 생겨나게 된 영한혼용 문체와 같은 혼종적 문화산물 등을 분석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productivity of a cultural study on an English-study-aid monthly magazine The Study of Current English by opening up the feasibility of positioning the magazine in the flux of cultural translations performed in the 1950s and 60s Korean society. Since the period is characterized by the replacement of Japanese by English as the first foreign language, most studies on cultural translations focus on analyzing major cultural magazines that carried translated English writings as their major articles. The Study of Current English, however, has never brought any serious attention from any researcher of cultural translations, even though it also contains ample evidences of cultural translations guided and shaped by the same zeitgeist of modernization, Enlightenment, cold war politics, etc. as that of the other major cultural magazines like Sasanggye. Analyzing the editorial structure, writers, writings, and readership of the magazine, this paper illuminates the cultural translation processes happened in and around the magazine by confirming the existence or germination of new hybrid discourses like ‘examination English,’ ‘current English,’ and Korean-English double orthography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