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주장(全州欌) 제작기법과 조형성연구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 and Design of the Jeonjujang)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2.11
31P 미리보기
전주장(全州欌) 제작기법과 조형성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문화연구 / 30호 / 297 ~ 327페이지
    · 저자명 : 소병진

    초록

    장롱(欌籠)은 전통한옥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생활 필수품으로 이를 제작하는 장인을 소목장(小木匠)이라 불러 집을 짓는 대목장(大木匠)과 분류하였다. 장롱은 조선시대부터 유행하기 시작하였고 혼수용품으로 잘 만들어진 장롱은 부의 상징이기도 하였다.
    옛부터 전통한옥이 잘 보존되어 전승되어오는 전북 전주에는 전주장(全州欌)이라는 소목장이 그 맥을 이어오고 있었지만 근대기를 거치면서 점차 사라지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그 기법이 사라져가는 전주장에 나타난 제작기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2가지 유형(골주형 2층버선장, 널판형 2층태극장)의 원형을 찾아 실측도면을 작성하고 전통도구에 의한 치목방법을 병행하면서 그 특징적인 기법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전주장에 사용된 나무는 주로 참죽나무, 오동나무, 홍송(고재의 붉은색 계통 잣나무)이었으며 그 외부 형태는 판자가 위주인 널판형과 기둥을 세운 골주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장에는 전통가구제작에서 많이 사용되는 기법인 연귀짜임, 주먹장짜임, 제비촉짜임 등이 사용되었고 문짝은 여닫이와 반닫이로 하나의 장에 2가지 기능을 나타내고 여러 형태의 철물을 부착하여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다장의 제작에는 전통도구인 대패 등 깍아내기 연장, 끌 등 홈파기 연장, 망치 등 때리기연장, 송곳 등 구멍뚫기연장, 칼 등 문양파기연장, 줄 등 갈아내기 연장 등 각 기능에 맞는 50여 점의 도구가 사용되었다.

    영어초록

    Jangrong(欌籠) is an indispensable daily necessity in traditional Hanok, and the craftsman who made it was called Somok, who were distinguished from the house-building carpenters Daemok. The wardrobe, which has been popular since the Joseon Dynasty, was a well-made wardrobe and was also a symbol of wealth. Jeonjujan g28 style existed in Jeonju, North Jeolla Province, where traditional Hanok was well preserved and passed down, and it was handed down by Somok, but it gradually began to disappear through the modern period.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study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shown in the Jeonjujang, two types of prototypes (goljustyle two-tier Beoseonjang and nulpanstyle two-tier Taeguekjang) were measured, and actual measurement drawings were conducte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 technique was studied while examining th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raditional tool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wood used for the Jeonjujang was mainly Toona Sinensis, paulownia, and red pine, and the external shape was classified into a plank type mainly made of boards and a frame type with columns. In these wardrobes, techniques commonly used in traditional windows and doors such as Yeongwi zzaim, Jumeok zzaim, Jebichok zzaim, etc were used. The doors were hinged or half of one side hinged, showing two functions in one wardrobe, and various types of steel decorations were attached to express beauty. For the manufacturing of a wardrobe, more than 50 tools were used, such as a traditional planer for cutting out timber, a chisel for digging, a hammer for striking, an awl for drilling holes, a knife for carving patterns, and a file for grinding, et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3 오후